책소개
모든 이들을 위한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우리가 일상에서 예민한 감각으로 포착해서 대응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모든 아이들이 태어난 가정이나 지역적 한계와 관계없이
지적, 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 혹은 이를 위한 활동,
그것이 ‘교육복지’다.
교육복지의 이론적, 실천적 활동 무대를 제공해 준 것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사업은 교육복지가 그리는 그림을 직접 실천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 주었으며 공적 기관으로서 학교 역할의 확대 가능성, 인간 삶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영역의 학문적, 실천적 통섭 가능성을 보여 준 중요한 활동 공간으로 기능했다.
2003년 시작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2006년부터 전국 16개 시·도로 사업이 확대되고, 2008년 말 전국 100개 지역, 879개 유·초·중·고등학교로 사업이 확대되면서 현재와 같이 전국적 규모의 지역단위사업으로 발전했다.
여기에 참여한 이들은, ‘모든’ 아이들을 위한 교육을 위해 학교가 가정, 지역과 어떻게 함께할 수 있는지, 이를 통해 아이들이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이 얼마나 어떻게 넓어질 수 있는지, 참여한 이들 모두가 어떻게 함께 성장하게 되는지를 수많은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조금씩 확인해 왔다.
그러므로 이 책은 지난 여러 해 동안 ‘교육복지’를 실천하고자 함께한 사람들의 땀의 결실이며 동시에 그 성과를 공교육 전반에 확산시키기 위한 작업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교육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땀의 결실이자 새로운 출발점
이 책은 2009년에 출판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관계자 연수자료집’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중앙연구지원센터의 각종 연구활동 결과물을 토대로 마련되었다. 교육복지와 관련한 일련의 실천 과정에 필요한 조건들로 구성된 이 책에는 교육복지의 개념적 틀과 지향점, 그동안의 각종 활동의 구성, 실행 과정, 성과 등이 담겨 있다.
빈곤층을 비롯해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질 높은 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를 실현하기 위해 시작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는 수많은 현장 전문가와 학교 교사나 교육연구자들이 참여했고, 이 책 또한 교육학, 청소년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등 여러 영역의 전문가들이 함께 집필했다.
따라서 이 책은 모든 아이들이 가정이나 지역적 한계 없이, 지적·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활동을 만들어내는 ‘교육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와 지역교육전문가, 학부모, 시도교육청의 관계자 등에게 충실한 이론적·실천적 길잡이가 될 것이다.
200자평
교육복지와 관련한 일련의 실천 과정에 필요한 조건들로 구성된 이 책에는 교육복지의 개념적 틀과 지향점, 그동안의 각종 활동의 구성, 실행 과정, 성과 등이 담겨 있다.
2003년 시작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이러한 교육복지의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복지의 이론적, 실천적 활동 무대를 제공해 주었고, 이 책은 2009년에 출판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관계자 연수자료집’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중앙연구지원센터의 각종 연구 활동 결과물을 토대로 마련되었다.
따라서 이 책은 모든 아이들이 가정이나 지역적 한계 없이, 지적·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활동을 만들어내는 ‘교육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와 지역교육전문가, 학부모, 시도교육청의 관계자 등에게 충실한 이론적·실천적 길잡이가 될 것이다.
지은이
김정원(대표 저자)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한국교육개발원에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선임연구위원이다. 지은 책으로는 『학교수업과 사회계층』, 『학교교실수업의 이해』(공저)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교육과 사회』(공편역) 등이 있다.
김경애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연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민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순천향대학교 교육과학부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청소년지도방법론』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인터넷중독의 이해』(공역) 등이 있다.
김영삼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1993년부터 고등학교 역사교사로 재직 중이다.
김효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박인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서울여자대학교 교직과정부 전임강사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한국 학교조직 탐구』(공저) 등이 있다.
양병찬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지역을 살리기 위한 평생학습마을도시만들기』,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공저), 『평생교육방법론』(공저)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한계없는 학습』(공역)이 있다.
이경상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청소년학 연구방법론』(공저) 등이 있다.
이정선
한양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미국 럿거스 뉴저지주립대학교에서 교육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초등학교문화의 이해』, 『초등학교문화의 탐구』 등이 있다.
이지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평생교육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부터 한림대학교 교직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한국의 문해교육』(공저), 『학습사회의 교육학』(공저), 『생애발달과 교육』(공저) 등이 있다.
이화정
중앙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부터 백석문화대학교 평생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평생교육의 이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과 실제』, 『세계의 노인교육』 등이 있다.
허남순
성심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부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미네소타주립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사회복지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빈곤아동과 삶의 질』, 『한국의 아동복지법』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해결을 위한 면접』 등이 있다.
홍봉선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사회문제와 사회복지』(개정), 『자원봉사론』(개정), 『학교사회복지론』, 『청소년복지론』(개정), 『교정복지론』(개정) 등이 있다.
차례
머리말
1 교육복지 논의의 토대
01 한국 사회와 교육복지
1. 교육복지정책 확대의 사회적 배경
2. 교육복지의 개념, 정책 대상, 실천 원칙
02 교육복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가 정책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1. 교육복지정책, 교육복지사업,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2.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개요
3.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성과
03 취약계층 아동 ·청소년의 이해
1. 취약계층 아동의 이해
2. 취약계층 청소년의 이해
2 교육복지 활동의 실제
04 교육복지 구현을 위한 학교와 지역교육청
1. 학교 조직 구성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2. 지역교육청과 프로젝트 조정자의 역할
3. 지역교육청 및 프로젝트 조정자 직무수행의 흐름
05 지역사회와 네트워킹
1. 왜 지역 네트워크인가?
2. 교육복지 네트워크 구축 사례
3. 교육복지 네트워크 구축 방법
06 취약계층 학생에 대한 지원
1. 집중관리 학생을 위한 사례관리 접근
2. 집중지원 학생의 발굴과 선정
3. 집중관리 학생 지원
07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1.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
2.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3. 프로그램 운영 사례
08 프로그램 평가와 모니터링
1.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이해
2. 영역별 프로그램 평가의 실제 사례
3. 모니터링에 대한 이해와 활동의 실제
3 교육복지의 전망과 과제
09 교육복지의 전망과 과제
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발전 과제
2. 한국 사회 교육복지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