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2000년대 들어 슈퍼 히어로 영화들이 히트하면서 원작인 그래픽 노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래픽 노블은 그림을 의미하는 ‘그래픽’과 이야기를 의미하는 ‘노블’의 합성어로 흥미와 오락 위주인 기존 만화보다 화려하고 독창적인 그래픽과 깊이 있는 이야기를 담아 만화의 예술성과 문학성을 한 차원 끌어올린 새로운 장르다. 각 문화권의 독특한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드로잉 스타일을 보여 줌으로써 만화 미학의 결정체라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여타의 만화 장르보다 산업적, 교육적 활용도가 높아 문화 콘텐츠로서 가치가 높다.
지은이
백란이
만화 이론가다. 세종대학교 대학원에서 만화와 애니메이션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출판 만화 작가와 만화 잡지 기자를 거쳐 하이틴 잡지 ≪M&M≫, ≪WE WE≫ 편집장으로 활동했고, 세종대학교 융합콘텐츠연구소 연구원과 (사)한국애니메이션학회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산업을 연구하는 학자로, 최근에는 캐릭터 산업과 만화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까지 관심 영역을 확대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융합 전략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연구 활동으로는 ‘한국 캐릭터 발전사’ 연구(2016), ‘네이버 애니메이션 백과사전 구축용 원고’ 집필(2015), ‘웹툰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연구(2014), ‘만화산업 중장기 정책방안 수립’ 연구(2012)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만화 『굿바이 나인틴』(1994), 『오늘은 안녕』(1993), 영상소설 『사랑의 종합병원』(1992) 등이 있으며, 연구논문으로는 “키덜트 캐릭터 소비트렌드 생성 과정과 특성 연구”(2016), “웹툰의 몽타주식 연출 연구”(2010) 등이 있다.
차례
01 미국 코믹 스트립의 개관
02 슈퍼 히어로와 미국적 이데올로기
03 작가주의 만화와 팬덤
04 대안 만화의 미학적 성취, 아트 슈피겔만의 <쥐>
05 슈퍼 히어로 만화의 새 선봉장, 앨런 무어와 프랭크 밀러
06 슈퍼 히어로와 할리우드 영화 산업
07 일본의 망가 스타일 그래픽 노블
08 일본 사이버 펑크와 세기말의 조우
09 프랑스와 다른 나라의 그래픽 노블
10 한국의 그래픽 노블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당시 성인만화는 범죄, 공포, 애정물이 주를 이뤘다. 이들은 점점 표현 수위가 높아져 마약, 성적인 묘사, 공포 등이 지나치게 노출되어 미국 의회에서 결국 ‘만화협회윤리위원회(CCA, Comics Code Authority)’를 제정해 자체 검열을 하기에 이른다. 이로 인해 많은 수의 출판사가 문을 닫고, 슈퍼 히어로 만화까지 존폐의 위기에 몰린다. 이때 만화 출판사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는 두 출판사 DC코믹스와 마블코믹스는 문제가 많은 장르인 성인만화를 버리고, 잊혀 가는 장르인 슈퍼 히어로 만화를 부흥시키기로 결정한다.
‘슈퍼 히어로와 미국적 이데올로기’ 중에서
초창기 언더그라운드 만화의 대표적 매체로 지목된 것은 1952년 EC코믹스에서 펴낸 잡지 ≪매드(Mad)≫다. 이 잡지는 기성세대에 대한 조롱과 비판을 수준 높은 풍자에 실어 독자의 반응을 이끌어 냈다. ≪매드≫가 추구하는 것은 단순히 재미를 추구하는 만화 잡지가 아닌, 분야를 막론해 조롱, 블랙 유머, 특이한 익살 등 블랙 코미디를 높은 수준의 그림으로 포장함으로써 당대 젊은이들에게 하나의 아이콘으로 군림했다.
‘작가주의 만화와 팬덤’ 중에서
이야기의 공간적 배경은 아트와 블라텍이 있는 현재, 아냐와 블라텍의 젊은 시절, 두 개의 공간과 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현재는 화자인 아트의 관점에서 상황을 그리고 있고, 과거는 블라텍의 관점에서 그려짐으로써 두 사람의 화자가 존재하는 이중 화법을 구사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이야기에 과거의 이야기를 끼워 넣은 액자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야기는 철저하게 블라텍의 진술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다큐멘터리 구성을 취한다. 현재 미국에 살며 아들에게 진술하는 블라텍의 모습과 과거 독일 아우슈비츠에서 죽음의 공포에 떨며 웅크리고 있는 블라텍의 모습이 시공간을 자유로이 부유하며 과거와 현재를 하나의 공간으로 느끼게 한다.
‘대안 만화의 미학적 성취, 아트 슈피겔만의 <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