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기후변화는 도시가 미래에 직면할 중요한 문제다. 오랫동안 유사하게 유지되어 왔던 기후가 앞으로도 유지될 것이라는 믿음은 도시계획을 비롯해 모든 사회 경제 활동의 전제 조건이었다. 기후변화는 그 동안 동일할 것이라고 믿어 왔던 근본적인 여건을 변화시킨다. 기온 상승과 강수량의 변화, 극한 기상 현상으로 인한 재해, 해수면 상승 등은 도시를 이루고 있는 주택과 기반시설, 자연환경은 물론 사회 경제 활동과 삶의 양식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도시를 지속적으로 번영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은 회복력이다.
지은이
김동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협력적 도시계획의 과정, 사회적 혁신·제3섹터와 지역 발전, 커뮤니티 기후변화 적응 등이다. 논문으로는 “Integrat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o community planning using a participatory process: The case of Saebat Maeul community in Busan, Korea” (2017), “Urban resilience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A conceptual framework”(2016), “Explo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ccupation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in Korea”(2016) 등이 있다. 저서로는 『사회적 기업과 지속가능한 지역발전』(공저, 2012) 등이 있다.
차례
미래의 도시 번영과 기후 회복력
01 기후변화
02 도시의 변화
03 회복력
04 회복력의 관점
05 도시와 회복력
06 필요성과 원칙
07 도시 기후 회복력
08 전략 공간 계획
09 시나리오 공간 계획
10 도시계획의 도전
책속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와 도시에 대한 연구는 학문적 영역이 다르다.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자들은 도시를 하나의 물리적 공간으로 이해하며 사회적, 공간적 접근에서 한계를 보인다. 도시에 대한 연구자들은 도시에서 나타나는 경제, 산업, 환경 등 다양한 문제를 다루고 있으나 도시에서의 문제들을 기후변화와 연결시키지 못한다. 이 책은 필자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4년간 진행했던 연구를 압축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필자 역시 도시 연구자의 입장에서 기후변화는 생소한 주제였다. 따라서 필자는 이 책을 통해 기후변화와 도시를 연계해 이해하는 데 누구나 처음 겪을 수 있는 문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기후변화를 도시와 함께 이해하는 데 요구되는 개념과 계획 방법에 대한 변화, 그리고 계획을 바라보는 렌즈로 새롭게 논의되는 회복력의 개념까지 포함했다.
“미래의 도시 번영과 기후 회복력” 중에서
후변화의 측면에서 적응이 지니는 어려움은 불확실성이다. 이런 불확실성은 기후변화 그 자체가 존재하는가의 불확실성이 아니라 기후변화가 야기할 영향의 규모와 정도에 대한 불확실성이다. 변화된 기후의 조건이 도시 내 부문을 구성하던 것들에 대해 어떤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가는 높은 불확실성을 지닌다. 이런 불확실성을 어떻게 파악하고 위험과 영향을 최소화할 것인가의 문제는 기존에 도시에 접근했던 관점의 변화를 요구한다. 제한된 조건에서 자원의 최대 효용을 누리고자 했던 경제적 효율성에 대한 관점을 보다 유연한 시각에서 접근할 것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최근 논의되는 새로운 개념이 회복력이다.
“도시의 변화” 중에서
사회와 현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 혹은 패러다임으로서 회복력은 전통적 가정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시작된다. 선형적이고 단일한 균형 상태를 가정하던 체계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비선형적, 다균형 또는 균형 상태의 부재를 전제하고 체계의 진화와 동태를 설명하고자 시도한다. 특히 회복력의 관점에서 사회 체계는 복잡하고 불확실하며 예측 불가능성을 지닌 복잡적응계(complex adaptative system)로 간주된다. 회복력은 이런 복잡적응계가 내·외부의 자극에 대해 체계 스스로를 성공적으로 재조직하고 적응하며, 변형하고 개선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또한 회복력의 접근 방식에서는 최적성, 효율성, 안정성, 위험관리와 통제와 같은 전통적인 사회경제적 관리 규범을 대체할 수 있는 유연성, 다양성, 적응적 학습 등의 가치가 강조된다.
“회복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