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정치 체제와 이념적인 이질성을 논외로 하더라도, 남북한 사이에 체감되는 문화적 이질감과 생경함은 텔레비전을 비롯한 언론매체를 통해서도 여지없이 전달되고 있다. 그들이 구사하는 언어에서부터, 언어행위에 담겨 있는 사고의 구조와 양식에서 드러나는 이질감은 남북 간의 원활한 소통을 방해하는 중대한 요소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물론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서 현재 남북한 사이에 많은 실질적인 협력 사업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궁극적으로 통일을 향한 모든 노력에는 기본적으로 정서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부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최근 방송을 통해 엿볼 수 있는 북한의 상황과 주민들의 태도를 통해 북한이라는 사회에 대해 단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을 불가능 할 것이다. 지구상 그 어느 나라보다도 폐쇄적이고 통제된 체제 속에서 북한의 실상이란 일종의 정치적 선전을 통해 왜곡되고 걸러진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텔레비전이라는 매체는 정치적 선전의 공식적인 채널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텔레비전을 통해서 북한 주민들의 실상이나 북한 사회의 실제 모습을 파악하기는 매우 힘들 것이다.
따라서 북한과 남한의 텔레비전 뉴스를 비교 분석하는 일은 제한된 목적에만 충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텔레비전 뉴스를 통해 북한 사회의 실상을 분석하는 것도 한계가 있을 것이며, 또한 이를 통해 남북한간의 이념적 이질성을 확인하는 것도 부분적으로만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남북한간의 뉴스 비교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공식적인 채널이라 할 수 있는 텔레비전을 통해 제시되는 뉴스의 내용과 형식 즉, 미디어 담론의 차별성과 유사성을 동시에 파악하는 일일 것이다. 여기서 차별성이란 국내외 문제를 바라보는 해석적 시각의 차이를 포함하여, 대중적 의사소통의 형식과 소구 방식의 상이성을 의미한다. 반면, 유사성이란 이러한 차별성과 이질적 요소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단일 민족이라는 차원에서 확인될 수 있는 동질적 요소들을 의미할 것이다. 이런 이중적인 요소들이 혼합된 정도와 양태를 확인하는 것이 이 연구의 기본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북한의 뉴스가 남한의 뉴스에 비해 다양성과 객관성, 또는 공정성이 떨어진다는 점은 누구나 쉽게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체제옹호를 위한 적극적인 선전 도구로서 텔레비전이 이용되고 있다는 것에 일차적 원인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속성을 전제로 하더라도 북한 뉴스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분석이 필요한 이유는 북한 뉴스에 대한 남한의 단편적이고 편향된 시각 역시 북한 뉴스를 통한 북한 사회의 이해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에 비해 다양성의 차원에서 양호하다고 할 수 있는 남한의 뉴스, 특히 KBS의 뉴스 역시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닐 것이다. 뉴스 가치의 문제나, 뉴스의 연성화나 선정성, 또는 황색 저널리즘 등 자본주의 국가에서 지적되는 언론의 문제점들을 모두 안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이 책은 남북한의 뉴스보도를 비교함에 있어서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다른 한쪽을 비판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지 않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텔레비전 뉴스보도라고 하는 형식의 미디어 담론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형식을 비교분석하고, 분석기간 중에 있었던 중요 사건과 사안에 대한 보도의 시각과 해석의 차이를 파악하며, 마지막으로 보도언어에서 나타나는 표준 언어와 어법상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에 만족하기로 한다. 이러한 작업은 앞으로 남북한의 방송교류나 여러 분야의 문화 교류가 확대될 것을 기대하면서 좀더 원활한 상호 이해와 소통을 위해 요구되는 유의미한 분석 결과를 제공해 줄 것이다.
200자평
방송에서 내보내는 북한의 상황과 주민들의 태도를 통해 북한 사회를 평가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폐쇄적이고 통제된 체제 속에서 북한의 실상이 왜곡되고 걸러진 모습으로 보이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텔레비전 매체는 이 점에서 정치적 선전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책은 남북한의 뉴스보도를 비교함에 있어서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다른 한쪽을 비판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지 않는다. 남북한의 뉴스를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에서 분석함으로써 분석 기간 중에 있었던 중요 사건과 사안에 대한 보도의 시각과 해석의 차이를 살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지은이
이기현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으며, 프랑스 국립 파리 제7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에서 강사로 역임했다. 서울시정개발원. 초빙책임연구원이었으며, 2006년 현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이데올로기의 역학과 정치사회변동』, 『마르크스의 유령들에 관한 소고』, 『탈현대사회사상의 궤적』(공저), 『한국인의 일상문화』(공저), 『매체의 철학』(공저), 『사회철학대계』(제5권/공저) 등이 있다.
차례
I.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문제
3. 기존 연구의 검토
II. 뉴스 분석의 이론적 배경
1. 언론이념과 뉴스 보도
1) 언론이념의 이해
2) 뉴스의 이해
2. 북한 언론의 이념과 뉴스의 성격
1) 북한 언론의 이념
2) 북한뉴스의 성격
3. 남북한의 보도언어
1) 남북한의 언어정책
2) 남북한 보도언어
I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과 분석기간
1) 방송사 선정
2) 분석기간
2. 분석과정 및 방법
3. 분석 항목
IV. 남북한 뉴스보도의 비교분석 결과
1. 뉴스보도의 기본항목 분석
1) 보도량
2) 보도영역
3) 보도내용
4) 보도태도와 보도논조
5) 보도형식
6) 보도구성
7) 보도의 심층성
8) 보도대상지역
9) 앵커 보도
10) 사운드 바이트
11) 취재 방식과 취재원
12) 화면
2.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의 구성과 편성 81
1) 프로그램 편성 및 특징
2) 보도량
3) 뉴스프로그램의 구성 분석
4) 보도순서에 따른 뉴스프로그램의 특징
3. 주요 이슈별 뉴스 보도의 내용 분석
1) 주요 이슈별 보도량
2) 보도제시방향과 보도성향
3) 전망과 평가
4) 주요 이슈 사례분석 1:‘북한 핵문제’
5) 주요 이슈 사례분석 2:‘대북 제재’
6) 주요 이슈 사례 분석 3:‘남북교류와 경제협력’
4. 남북한 보도언어 비교분석
1) KBS의 보도언어 특징
2) 조선중앙TV의 보도언어 특징
3) 남북한 보도언어의 비교
V.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보도날짜별 뉴스프로그램 정리
2. 주요 이슈별 보도제목과 보도내용요약
3. 보도언어 정리
4. 코딩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