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동운부군옥≫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백과사전으로, 모든 분야에 관한 종합적인 내용을 담은 책이기는 하지만, 여기에는 저자의 역사 인식과 민족의식이 짙게 배어 있다.
특히 <동국제서(東國諸書)>에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지금은 이미 없어져 찾아볼 수 없는 문헌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는데, 특히 ≪신라 수이전≫은 그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졌던 책이다. 이 밖에도 이 인용 서목에는 지금은 전하지 않는 중요한 문헌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으며, 원전을 인용할 때 임의로 가감을 하지 않고 원전에 충실했다는 점도 이 책의 가치를 높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정순우(丁淳佑)와 권경렬(權敬烈)도 ≪초간일기(草澗日記)≫ 해제에서 “그가 ≪대동운부군옥≫ 범례에서도 밝혔듯이 원전의 인용에 있어서 추호의 가감도 하지 않으려고 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이들 자료들을 통해서 충분히 산일된 원전의 면모를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고대 지명이나 고유의 동식물명 등도 역시 이 책을 통해 살펴볼 수가 있어서 국어학적으로나 사학적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라고 해서 ≪대동운부군옥≫이 국어학적으로나 사학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는 책임을 밝힌 바 있다.
200자평
원전이 총 20권으로 구성된 원조 백과사전으로 모든 분야의 이야기가 고루 담겨 있어 조선 당시의 시대 인식을 엿볼 수 있다. 특히 현재는 전하지 않는 문헌인 ≪신라 수이전≫ 등에 담긴 이야기를 원전 그대로 실어 그 이전 문헌의 모습까지 아우른다. ‘신화와 인물’, ‘선악의 대립’, ‘풍류가화’ 등의 주제에 따라 이야기를 선별하고 재정리했다.
지은이
권문해의 자는 호원(灝元), 호는 초간(草澗)이다. 1534년 지금의 경상북도 예천군에서 태어났다.
19세 되던 해 가을에 진사시에서 일등을 차지했다. 20세 되던 해에 부인 곽씨를 맞았다. 23세 되던 해 봄에 퇴계 이황을 한서암(寒棲庵)에서 뵙고, 그곳에 머물며 배우기를 청했다. 퇴계와의 만남은 생애에서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다. 오랫동안 직접 가르침을 받으며 학문을 하는 큰 방도에 대해 들었고, 여러 군자들과 함께 절차탁마했다. 29세 때도 우계 가에 있는 서재로 가서 퇴계를 뵙고 학문을 배우며 한 달간 머물렀다. 37세 되던 해 9월에 김부륜(金富倫)·김부필(金富弼) 등과 함께 도산으로 가서 퇴계를 배알했다. 10월에 퇴계 선생이 돌아가자 곡했다.
40세 되던 해 정월에 안동 부사에 제수되었다. ≪연보≫에 따르면 그가 부모님을 모시기에 편하도록 외직을 구했다고 했으나, 퇴계의 제자로서 퇴계의 선양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기도 했다. ≪연보≫에 따르면 몽재(蒙齋) 이안도(李安道)가 와서 퇴계 선생의 묘비에 관한 일을 의론했고, 3월에 여강(廬江)으로 가서 퇴계 선생의 사원을 지었다. 이 일은 비교적 빨리 진행되어 1년 뒤에는 묘우(廟宇)와 재당(齋堂)이 거의 이루어졌다. 이후 9월에는 도산에 모여서 여러 벗들과 서원을 짓는 제반에 대해 의논했다고 했다.
그의 나이 58세 때인 1591년 윤2월 사간원 사간에 제배되었다. 그는 사간에 제배된 뒤에 가장 먼저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과 정철(鄭澈)이 천단(擅斷)하는 죄를 탄핵했다. 양사에서는 이를 계기로 잇따라 논의를 일으켜, 마침내 그는 갑산에 귀양 가게 되었다. 그러나 곧바로 성균관 사예로 바뀌었고, 3월에 사복시정에 제수되었으며, 6월에 사헌부 집의에 제배되었다.
7월에 통정대부에 오르고, 승정원 동부승지에 제배되었다가 우부승지로 승진했고, 8월에 좌부승지로 승진했다. 사표를 올리고 예천으로 부모를 뵈러 갔더니, 용천위 상호군이 더해졌다. 초간정사에 있었다. 9월에 조정으로 돌아와 우부승지에 제배되었다. 19일에 또 좌부승지로 승진했다. 11월에 다시 부제학 물망에 올랐다. 그때 어머니를 모시기에 편하다는 점을 들어 여러 차례 외직을 구했으나 이부에서 다시 부제학 의망(擬望)에 올렸다. 한음 이덕형도 “이 사람을 외직에 보임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끝내 더 이상의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1591년년 12월 9일 부호군(副護軍)으로 생을 마감했다.
옮긴이
윤호진은 1957년 경기 남양주에서 출생했다. 국민대학교 한문학과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민대 강사, 성균관대 강사 등을 거쳐, 중국 우한대학 방문학자, 영국 셰필드대학 방문교수 등을 지냈으며, 현재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교수로 있다. 논문으로는 박사학위 논문인 <서정한시의 의미 표출 양상에 관한 연구> 외 다수가 있다. 역서로는 ≪시화총림(詩話叢林)≫ 상·하(까치, 1993, 공역), ≪조선부(朝鮮賦)≫(까치, 1994),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1∼10책(소명출판, 2003, 공역), ≪대동운부군옥≫ 11∼20책(민속원, 2007, 공역) 등이 있다. 저서로는 ≪한시(漢詩)와 사계(四季)의 화목(花木)≫(교학사, 1997), ≪남명의 인간관계≫(경인문화사, 1996) 등이 있다.
차례
해설
지은이에 대해
1. 신화와 인물
신이담의 세계
인물의 탄생
2. 선악의 대립
악인의 패망
절개를 지킴
3. 풍류가화
풍자와 해학
풍류한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토끼가 대답하기를 ‘나는 신명의 후예인지라 능히 간을 꺼내어 씻어서 보관할 수 있다. 일전에 나도 모르게 마음이 번잡해 암석 아래 씻어서 놓았는데 간이 아직 그곳에 있다. 만약 돌아가 간을 취한다면 너는 구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했다. 거북이가 믿고 곧 돌려보내니, 토끼가 벗어나 숲 속으로 들어가며 ‘어리석구나! 그대여. 어찌 간이 없이 사는 것이 있겠는가?’라고 하니, 거북이가 근심스러워하며 말없이 갔다.
-24쪽
공기(孔頎)는 술을 좋아했는데, 머리털이 빠지고 수염은 길었다. 어떤 사람이 농담으로 “어찌 턱에 머리털이 나고 머리에는 나지 않소?”라고 말하니, 공기가 “술을 마신 재앙이오”라고 대답했다. 어떤 사람이 “술이 어찌 머리에만 재앙을 끼치고 턱에는 재앙을 끼치지 않소?”라고 물으니, 공기가 “술 마신 사람이 아파하는 것을 그대 듣지 못했소? 항상 머리가 아프다고 하지 턱이 아프다고는 하지 않소. 아픈 것은 재앙을 당하고, 아프지 않은 것은 화를 당하지 않은 것이 아니겠소?”라고 대답하자, 그 사람이 웃었다.
-142~14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