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의 ‘한국 근현대소설 초판본’ 가운데 하나. 본 시리즈는 점점 사라져 가는 명작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를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이 엮은이로 나섰다.
박종화의 ≪대춘부(待春賦)≫는 1937년부터 1938년까지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된 장편 역사소설이다. 이 책은 1955년 을유문화사에서 간행한 ≪대춘부≫(전편·후편 총 2권)를 원본으로 삼았다.
≪대춘부≫에는 청의 침략과 조선의 항거, 항복 과정을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서술한 부분과 병자호란 이전의 신장(神將) 임경업의 명성과 활약상, 그리고 조선의 굴욕적 패배 이후 명나라와 손을 잡고 삼전도의 굴욕을 씻고자 하는 임경업과 지사(志士)들의 도전과 실패가 그려졌다. 작가는 임경업을 제시하여 우리 민족에게 치욕을 가져다 준 청에 대항한다. 여기에 일지청이라는 허구적 인물을 도입하여 소설적 재미까지 더하고 있다. 임경업과 일지청의 만남과 일지청의 활약상은 작품 전체가 주는 비장함에서 벗어나 가볍고 즐겁게 읽을 수 있는, 가장 소설다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김상헌, 이경여, 정온 등의 척화파와 최명길, 장유 등의 친화파의 현실 대응 방식, 삼학사(홍익한, 윤집, 오달제)의 의로운 죽음을 비롯한 여러 충신과 지사, 열부들의 순절(殉節), 이와 대조적인 강화 검찰사 김경증의 실정과 병자호란 이후 친청파가 되어 임경업을 모함하여 죽게 만들고 효종을 필두로 한 조정의 북벌 계획을 청에 밀고하는 김자점의 기회주의적 태도 등은 현실에 맞선 인간의 다양한 삶의 방식을 세세하게 보여 준다.
월탄은 역사소설을 통해 훼손된 민족의식을 복원하고자 했으며 민족애를 일깨우고 민족정기를 드높이고자 했다. 그에게 역사소설은 사회 현실에 참여하는 방법이었으며 나아가 민족이 처한 현실을 직시하고 현실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편이었다. 또한 민족을 억압하는 식민지 현실에 저항하는 길이었다. 그는 스스로 천명했듯이 철저한 민족주의자였다.
200자평
≪대춘부≫는 병자호란과 북벌을 다룬 월탄 박종화의 역사소설이다. 1937년부터 1938년까지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되었다. 청의 침략과 조선의 항거, 항복 과정, 병자호란 이전의 신장(神將) 임경업의 명성과 활약상, 조선의 굴욕적 패배 이후 명나라와 손을 잡고 삼전도의 굴욕을 씻고자 하는 임경업과 지사(志士)들의 도전과 실패를 그렸다.
지은이
월탄(月灘) 박종화(朴鍾和, 1901∼1981)는 1921년 <장미촌> 창간호에 시 <오뇌의 청춘>, <우윳빛 거리>를 발표하여 등단 과정을 거치고, 1922년 <백조> 동인으로 참여하여 시뿐만 아니라 평론, 단편소설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창작 활동을 시작한다. <목 매이는 여자>(1923)를 시작으로 ≪세종대왕≫(1977)에 이르기까지 총 20여 편의 역사소설을 발표했는데, 본격적으로 역사소설을 쓰기 시작한 시기는 ≪매일신보≫에 연재된 ≪금삼의 피≫(1935) 이후라 할 수 있다. 주요 작품으로 ≪대춘부≫(1938), ≪전야≫(1940), ≪다정불심≫(1940), ≪임진왜란≫(1954), ≪여인천하≫(1959), ≪자고 가는 저 구름아≫(1961), ≪아름다운 이 조국을≫(1965), ≪세종대왕≫(1969) 등이 있다.
월탄은 1949년부터 1954년까지 서울신문 사장을 지냈으며 1955년에는 예술원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70년에는 통일원 고문, 1980년에는 국정 자문위원을 맡기도 했다. 제1회 문학공로상(1955), 문화훈장 대통령장(1962), 5·16민족상 제1회 문학상(1966),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1970)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엮은이
방인석은 1972년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났다. 1998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 입학했다. <조태일 시 연구>로 문학 석사 학위를, <김수영 시의 탈식민성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대학에서 문학과 글쓰기를 가르쳤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서 글쓰기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차례
큰 별은 떨어지고
피란 길
남한산성
조선의 향기
일편단심
강화 함락
삼학사
만고 한
책속으로
의심이 버썩 난 용골대는 겁을 집어먹고 눈을 두리번거리며 사방을 둘러보면서 술을 따라 잔에 붓고 다시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의 예를 마악 시작하려 할 때다. 별안간 바람이 홱 일어나며 젯상 위의 촛불이 탁 꺼지고 군막이 푸르르 날렸다. 바로 이때다. 용골대는 앗! 소리를 치며 뭐라고 지저귀면서 올리려던 술잔을 내동댕이치고 두 주먹을 불끈 쥔 채 뛰기를 시작한다. 마부대가 뒤미처 뛰었다. 몽고가 잇대어 뛰었다. 나머지 백여 명이 영문도 모르고 눈이 뒤집혀 헐레벌떡 용골대를 따라서 뛰었다.
좌우 옆 길가에 삑삑히 늘어서서 구경하던 백성들도 처음에는 무슨 영문인지 모르고 깜짝 놀라 놈팽이들이 뛰는 바람에 쓰러지고 너머지는 사람도 많았다가 이 녀석들이 모두 뛰고 보니 백성들 역시 나라에서 되들을 붙잡는 줄 알았다.
“야아, 되놈이 뛴다!”
어느 귀퉁이에선지 소리가 일어나자,
“붙잡아라! 붙잡아!”
소리가 우뢰같이 일어나며 백성들은 앞을 다투어 용골대를 뒤쫓으며 뛰었다.
용골대는 쫓아오는 백성들의 수효가 점점 늘어나니 다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젖 먹던 힘을 다하여 내뛰기를 시작한다.
−20∼2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