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계 연극사에서 입센은 근대극의 아버지로 불리며 여전한 영향력을 자랑한다. 페미니즘 극의 시초가 된 <인형의 집> 이후 사회문제를 주제로 사회극을 연속해 발표하던 입센은 1884년 <들오리>를 기점으로 새로운 작품 세계를 열었다. 입센 드라마는 <들오리> 이후 전작들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사회 고발에 치중하는 대신 고도의 상징을 활용한 인물들의 심리 묘사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한때 사업 파트너였던 엑달과 베를레의 처지는 불미스런 송사 사건을 거치며 완전히 달라졌다. 베를레는 승승장구해 부유한 목재상이 된 반면 엑달은 낡은 아파트에 처박혀 간혹 베를레에게서 받은 일감으로 용돈벌이나 하는 중이다. 엑달의 아들 내외는 베를레의 배려로 사진술을 익혀 사진관을 운영한다. 손녀딸 헤드비는 시력을 잃어 가는 중이다.
아버지 베를레의 위선을 익히 알고 있던 그레게르스는 아버지의 바람기 때문에 어머니가 병을 앓다 돌아가시자 아버지와 연을 끊고 헤이달 고원에 칩거하며 15년 세월을 보낸다. 15년 만에 집에 돌아온 그레게르스는 엑달의 아들이자 오랜 친구 얄마르와 재회한다. 얄마르의 결혼과 이후 가정생활을 베를레가 특별히 보살피고 있는 정황에 의심을 품은 그레게르스는 얄마르에게 “진실한 삶”을 선사하기 위해 묵인돼 왔던 거짓을 폭로하기로 한다. 하지만 삶에서 거짓을 들어낸 결과는 그레게르스 자신도 예상하지 못한 비극이었다.
그레게르스의 이상주의는 “평범한 사람에게서 ‘삶의 거짓’을 뺏는 것은 행복을 뺏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렐링의 주장과 부딪친다. 입센은 그레게르스의 이상주의가 결과적으로는 베를레의 위선만큼이나 해악한 것임을 보여 주며 은근히 렐링의 손을 들어 주는 듯하다. 본 적도, 경험한 적도 없는 “진실한 삶”이라는 이상에 사로잡혀 “삶의 진실”을 보지 못하는 그레게르스의 우매함이 물속에 처박혀 수초를 붙들고 허우적대는 들오리를 닮았다.
200자평
페미니즘 극의 시초로 알려진 <인형의 집>으로 근대극의 포문을 연 입센은 이후 <유령>, <민중의 적> 같은 사회극을 연이어 발표했다. 이어 발표한 <들오리>에서는 인물들의 심리 묘사와 상징에 초점을 둔 새로운 작품 세계를 보여 주었다. 입센 작품 세계를 가르는 분수령이 된 작품.
지은이
헨리크 입센(Henrik J. Ibsen)
1828년 3월 20일 노르웨이의 수도 크리스티아니아(지금의 오슬로)에서 남서쪽으로 100마일 떨어진 작은 항구도시 시엔에서 태어났다. 여덟 살 때 집이 파산해 열다섯 살까지 약방에서 도제로 일했다. 독학으로 대학 진학을 위한 수험 준비를 하는 한편, 신문에 만화와 시를 기고했다. 희곡 <카틸리나>(1848)를 출판했으나 주목받지 못하고 그 후 <전사의 무덤>(1850) 상연을 계기로 대학 진학을 단념하고 작가로 나설 것을 결심했다. 1851년 국민극장 상임작가 겸 무대감독으로 초청되었는데, 이때 무대 기교를 연구한 것이 훗날 극작가로 대성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1857년에 노르웨이 극장으로 적을 옮긴 뒤 최초의 현대극 <사랑의 희극>(1866)과 <왕위를 노리는 자>를 발표했으나 인정받지 못했다. 이탈리아에서 목사 브란을 주인공으로 한 대작 <브랑>(1866)을 발표하여 명성을 쌓았다. 이후 <페르 귄트>(1867), <황제와 갈릴리 사람>(1873) 등에서 사상적 입장을 확고하게 굳혔다. 이어 사회극 <사회의 기둥>(1877), <인형의 집>(1879) 등을 발표했다. 특히 <인형의 집>은 여주인공 노라가 남성에 종속된 여성으로서의 삶을 거부하고, 한 인간으로서 독립하려는 과정을 묘사해 여성 해방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00년 뇌출혈로 첫 발작을 일으킨 이후 병세가 악화되어 1906년 78세로 사망했다.
옮긴이
조태준
1963년 서울에서 태어나 성균관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및 동(同) 대학원을 졸업하고 앙토냉 아르토의 연극 이론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출과 객원교수를 거쳐 배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12년 미국 루이지애나 대학교(ULL) 커뮤니케이션학과 방문교수를 지냈다. 연극 이론 및 극작술, 공연 미학에 관련한 논문과 칼럼을 여러 편 썼으며, 고등학교 인정 교과서 ≪연극≫(천재교과서, 2018)을 공동 집필했고, <골고다의 딸들>(한웅출판, 1992>, <바람의 전쟁>(열린세상, 1996> 등의 번역 소설과 번역 희곡 <유령소나타>(지만지, 2014)와 <바다에서 온 여인>(지만지, 2015), <로칸디에라>(지만지, 2016), <우리 죽은 자들이 깨어날 때>(지만지, 2018), <헤다 가블레르>(지만지, 2018), <건축가 솔네스>(지만지드라마, 2019), <루나사에서 춤을>(지만지드라마, 2020)>, <로스메르스홀름>(지만지드라마, 2020)을 펴냈다. 또한 공연 창작 현장에서 극작가 및 연출가, 드라마투르그로 활동하면서 연극, 뮤지컬, 오페라, 무용 등 다양한 공연 장르를 넘나들며 다수의 작품에 참여했고 현재 극단 인공낙원 대표, 극단 하땅세 상임 연출로 활동 중이다. 대표작으로는 희곡 <창밖의 앵두꽃은 몇 번이나 피었는고>, <3cm>(지만지드라마, 2021), <푸른 개미가 꿈꾸는 곳> 등이 있으며, 연극 <유령소나타>, <루나사에서 춤을>, <목소리>, 뮤지컬 <포비든 플래닛>, <애랑연가>, <규방난장>, 오페라 <류퉁의 꿈> 등을 연출했다.
차례
나오는 사람들
제1막
제2막
제3막
제4막
제5막
해설
지은이에 대해
지은이 연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렐링 : 그러니까, 당신은 엑달 부부의 결혼 생활이 이 정도로는 충분치 않다고 보는 거군요?
그레게르스 : 물론 여느 부부만큼이나 좋은 결혼 생활이죠, 불행하게도. 하지만 그건 아직 진정한 결혼은 아닙니다.
얄마르 : 자넨 이상의 요구라는 걸 들어 본 적이 없을 거야, 렐링.
렐링 : 이 사람, 별 시답지 않은 소릴! 내 하나 물어봅시다, 베를레 씨. 당신은 지금껏 살면서 진정한 결혼을 얼마나… 그저 요행이라도… 얼마나 보셨는지?
그레게르스 :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것 같군요.
-155쪽
그레게르스 : 맙소사! 얄마르 엑달도 병자라고?
렐링 : 거의 모든 사람들이 병자지, 불행하게도.
그레게르스 : 그럼 얄마르한텐 어떤 치료법을 쓰십니까?
렐링 : 늘 쓰는 거지. 그 친구에게서 삶의 거짓이 유지되도록 해 주는 거요.
그레게르스 : 삶의 거짓? 내가 잘못 들은 건가?
렐링 : 그래요, 삶의 거짓이라고 했소. 왜냐하면 삶의 거짓이란 게, 자극적인 원리란 말이지.
-191쪽
렐링 : 그 친구한텐 최악의 상황이 되겠군. 평범한 사람에게서 삶의 거짓을 앗아 간다는 건, 그에게서 당장 행복을 빼앗는 일과 같아요.
-19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