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디지털 시대를 대비한 NIE 개론서다. 2003년 출간된 ‘국내 최초의 NIE 개론서’인 < NIE 이해와 활용>의 개정판으로 초판 발행 후 11년간의 미디어와 교육 환경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활용하는 수업 자료가 인터넷 등 온라인에서 생산된 뉴스가 융합된 자료라는 데 초점을 두어 NIE를 ‘Newspaper In Education’이 아니라 ‘News In Education’으로 정의하고 인터넷, 모바일 등 새로운 플랫폼과의 융합 NIE 등의 내용을 대폭 강화했다. 교사와 학부모에게는 디지털 시대에 발맞춘 NIE에 대한 이해와 수업 전략을 제공하고, 또 다른 당사자인 미디어 기업에게는 디지털 NIE 대응 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개정판, 이런 내용을 다루고 있다
새로운 NIE의 명칭을 소개하고 있다
‘아날로그 NIE’, ‘융합 NIE’, ‘디지털 NIE’. NIE의 패러다임 변화를 나타내는 용어들이다. ‘아날로그 NIE’는 전통적 종이신문에 기반을 둔 뉴스활용교육을, ‘융합 NIE’는 종이신문과 온라인에서 생산된 뉴스의 융합자료 활용교육을, ‘디지털 NIE’는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서 생산된 뉴스와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한 뉴스활용교육을 의미한다. 미디어 변화에 따른 NIE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달라진 NIE 개념을 다루고 있다
전통적 NIE는 종이신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이 일반화된 요즘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생산된 다양한 학습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NIE의 개념도 달라졌다. 개정판에서는 NIE 의 ‘ N’의 의미를 ‘Newspaper’에서 ‘paper’가 빠진 ‘News’로 확대하고 있다. 즉, ‘Newspaper In Education’에서 ‘News In Education’으로 달라진 개념을 다루고 있다.
‘생각’과 ‘표현’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한다
학생들의 사고력과 표현력을 높이는 것은 개념의 변화에도 달라질 수 없는 NIE의 목표다. 이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을 소개한다. 개정판에서 지향하는 ‘생각’과 ‘표현’의 핵심은
탐색과 선택하는 능력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
글이나 말로서 표현하기 등 세 가지다.
개정판, 어떻게 달라졌나?
알차졌다
초판 골격은 유지하되 필요성이 낮아진 내용은 과감히 덜어냈다. 핵심적인 내용만 담긴 알찬 책이 되었다.
변화를 담았다
초판 발간 후 11년, 그간의 교육계와 언론계의 변화를 반영했다. 미진했던 이론 부분을 보강했고,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콘텐츠를 다뤘다.
쉬워졌다
쉬운 말, 쉬운 문장으로 이해력을 높였다. 학술적 기술을 쉽게 고쳐 썼다. 교육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실천 방안도 담았다.
200자평
디지털 시대 NIE는 무엇이 다른가? 디지털 플랫폼에서 생산된 뉴스가 학습 자료다. 어떻게 활용하나? 다양한 형태의 뉴스 융합 자료를 디지털 기반 교수법으로 가르친다. 어떤 효과가 있나? 더 재미있는 수업, 창의적 교육을 할 수 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미디어와 교육 환경 변화에 발맞춰 관련 콘텐츠를 대폭 보강했다.
지은이
최상희
경향신문 편집국 차장이며, 사회교육학 박사다. 1991년 12월 신문사에 입사했다. 그 후 잠시 기자를 그만두고, 1998년부터 2년여간 교편(대학, 고등학교)을 잡기도 했다. 2000년 1월 경향신문사에 경력기자로 입사해 ‘국내 최초 NIE 전문기자’로 활동해 왔다. 현재 경향신문사에서 편집기자로 일하고 있다. “2014학년도 수능시험 세계지리 출제 오류” 특종을 보도한 공로로 한국기자협회의 ‘제279회 이달의 기자상’ 취재보도 부문을 수상했다.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겸임교수(2009년∼현재), 한국신문협회 NIE한국위원회 위원(2004년∼현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종합평가 평가위원(2004년), 한국언론재단 미디어 교육 교재 집필위원(2005∼2006년),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개발사업 연구자문위원(사회과, 2010년) 등을 맡았다.
펴낸 책으로는 <<자유학기제, 미디어를 활용한 진로탐색>>(공저, 2015), <<신문으로 하는 인성 교육>>(공저, 2012), <<취업 매뉴얼>>(공저, 2010), <<신문활용교육의 이해와 실천 - 교사용 NIE 가이드북>>(공저, 2010), <<대학생 글쓰기 가이드>>(공저, 2010), <<신문 스크랩 기술>>(2006) 등이 있다. 특히, <<교과서에도 실린 나만의 메모짱>>은 중학교 1학년 개정 국어 교과서 2종에 채택되어 수록됐다.
이메일: ing386@hanmail.net
온라인 카페: ‘NIE여행(cafe.daum.net/nietravel)’
차례
개정판을 내면서
초판 머리말
01 디지털 시대 NIE란
1. NIE의 의의
2. 미디어 교육과 NIE
3. 우리나라 NIE 현황
02 신문 뉴스와 인터넷 뉴스
1. 뉴스란 무엇인가
2. 뉴스 미디어의 출발, 신문의 이해
3. 미디어 속 신문
4. 언론의 기능
5. 교육 매체로서의 신문
03 NIE 지도론
1. NIE 지도의 개요
2. NIE 지도자
3. NIE 지도의 유형과 방법
04 교육과정과 NIE
1. 유아교육과 NIE
2. 초 · 중등교육과 NIE
3. 구성주의와 NIE
4. 누리 과정 연령별 NIE 프로그램
5. 교육과정과 신문 자료의 간극
05 디지털 NIE의 방향과 활용
1. 변화하는 NIE의 교수 매체
2. ‘인터넷 NIE’와 ‘디지털 NIE’의 개념
3. 신문사 및 언론 단체의 ‘인터넷 NIE’
4. 우리나라 운영 사례
5. ‘디지털 NIE’ 수업 형태
6. 신문사의 디지털 NIE 준비
06 신문 요소별 NIE 프로그램 설계
1. NIE 프로그램의 개요
2. NIE 프로그램의 유형
3. 일반적 요소별 NIE 프로그램
4. 시각적 요소별 NIE 프로그램
5. 신문지로 꾸미기와 놀이
07 효과적인 NIE 수업 전략
1. NIE 수업 전략의 설계
2. NIE 수업 방법
3. 신문사 견학
4. 수업 전개 과정별 준비와 자세
08 NIE 수업 설계와 뉴스의 재구성
1. NIE 수업지도안의 개요
2. 수업용 뉴스의 재구성
09 NIE 활동 및 실습의 이해
1. NIE 활동의 종류
2. NIE 활동의 단계와 활용 방법
3. NIE 실습과 지도
4. NIE 실습 방법
10 뉴스 정보와 스크랩
1. 정보와 정보활용교육
2. 정보의 활용 방법
3. 스크랩 기법
4. 학생의 스크랩 지도
11 신문 만들기의 이해
1. ‘신문 만들기 학습’ 개요
2. 학교 · 학급 신문
3. 가족신문
4. 마을신문
5. 테마 신문 만들기
6. 지면 편집과 제작
7. 인터뷰
12 뉴스 읽기와 쓰기
1. 읽기의 개요
2. 신문 읽기의 방법과 유형
3. 쓰기 교육 어떻게 할까
4. 독자투고 · 사설 · 칼럼 · 해설 기사의 ‘쓰기’ 지도 실제
13 NIE와 토의 · 토론 수업
1. 토의 · 토론이란
2. 토의 · 토론의 유형
3. 토의 · 토론 수업의 운영
4. 신나는 찬반 토론
5. 토의 · 토론 수업 활동
참고 문헌
책속으로
최근 뉴스 소비 시장은 큰 변화를 맞고 있다. 스마트폰을 대표로 한 디지털 기기의 등장이 변혁의 핵심이다. 디지털 기기는 뉴스 생산과 유통 구조를 파괴하며 새롭게 뉴스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즉, 전통적 미디어들이 전하는 일방적이고 선형적인 뉴스가 아닌, 소비자 스스로 생산, 유통, 소비에 간여하는 다방향·다원적인 뉴스 생태계라는 새로운 역학관계를 만들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도 마찬가지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현재의 NIE(Newspaper In Education: 신문활용교육)도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문받고 있다. 기존 종이신문 활용 위주 수업에서 다양한 디지털 기기 활용 수업으로 접근을 요구받는다. 학습자의 뉴스 소비 환경의 변화에 맞춰 새로운 수업 방법의 조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 ‘1장 디지털 시대 NIE란’ 중에서
뉴스는 기자가 생산한다. 생산된 뉴스는 미디어가 유통한다. 뉴스를 보다 더 이해하려면 뉴스 생산 과정 못지않게 뉴스 유통 과정도 어느 정도 알아야 한다. 요즘에는 디지털 기기의 발달에 따라 뉴스 플랫폼이 다변화되는 상황에서 뉴스를 누가 생산하고 어디서 유통하는 것인지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교사와 학생들은 NIE 수업 교재인 뉴스의 생산 및 유통과정을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NIE 프로그램에서 수업 교재로써 뉴스의 탐색과 선택, 재구성의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02 신문 뉴스와 인터넷 뉴스’ 중에서
NIE를 왜 교과와 연계해야 할까. 그 답은 교과서를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국내 한 NIE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교과 14종, 교과서 78종을 분석한 결과, NIE 학습 주제가 총 118개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5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에서 나오는 학습 주제 1개의 경우 한 단원 전체인 26쪽이 NIE로 꾸며져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가 보통 140쪽 안팎임을 감안하면 상당한 비중이다. 교과서에는 신문 기사뿐 아니라 신문의 표, 그래프, 광고, 사진도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 교육과정에서 NIE가 갖는 의미는 크다. 학교 교육을 제대로 받으려면 NIE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 ‘04 교육과정과 NIE’ 중에서
일반적인 NIE(Newspaper In Education) 활동은 종이신문을 학습 자료로 활용한 수업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소위 디지털 NIE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NIE(Digital News In Education)는 NIE 프로그램을 전자 방식으로 각종 정보나 자료를 전달받아 활용하는 교육을 말한다. 디지털 NIE는 디지털이라는 도구를 이용하거나 구축된 디지털 환경을 수업에 활용한 교육 방법이다. 수업 자료는 수요자가 이메일에서 연결 기능을 통해 바로 인터넷 웹사이트로 접속하거나, 직접 인터넷 웹사이트를 방문해 이용할 수 있다.
– ‘05 디지털 NIE의 방향과 활용’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