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방송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이 창출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지상파 방송을 이동하면서 시청할 경우 고스트 현상 등으로 인하여 화면 상태가 매우 열악했으며, 빌딩 사이나 산악 지역에서는 지형에 따라 수신 상태가 매우 불량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이동 중에도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이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방안으로는 지상파 방송의 멀티캐리어 방송 방식과 위성 방송을 이용하는 방안 등이 있다. 멀티캐리어 방송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지상파 방송은 텔레비전 방송과, 라디오 방송 및 데이터 방송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방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DMB 방송의 도입이 점차 본격화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서,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개발의 필요성 대두되고 있다. 특히 FM 라디오 방송의 경우는 새로운 수요 증가로 인하여 국내 주파수 자원의 부족이 심화되고 있고, 지상파·위성·케이블 TV 등의 방송 매체에 대한 디지털화가 본격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언제·어디에서든지 이동 중에도 시청이 가능한 DMB의 필요성과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DMB 방송서비스를 위한 기술적인 요구 사항을 살펴보면 첫째로 低 전력 전송이 가능해야 한다. 둘째로 차량 등에 탑재하여 고속의 이동시에도 이동 수신이 가능해야 한다. 셋째로는 TV의 동영상 신호의 수신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라디오 방송으로 개발된 DAB에 동영상 서비스가 가능하려면 10-7~10-8이하의 에러 정정이 가능한 코딩 부호화 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멀티캐리어 전송 방식인 Eureka-147를 사용한 DAB는 지상파 방송(ModeⅠ)과 위성 방송(Mode Ⅲ) 모두가 가능한 오디오 전용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DAB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DAB 모듈에 별도의 동영상을 위한 DMB 모듈을 첨부해야만 동영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DMB의 동영상 압축 기법으로는 MPEG-4 Part 10(H.264) 표준을 사용하는데, MPEG-4 코딩이 MPEG-2 코딩보다 기술적으로 약 2.5배정도 더 복잡하지만 효율성이 약 1.5배정도 향상된다. 오디오 압축의 경우는 MPEG-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표준을 사용한다. 대부분이 무료로 서비스 예정인 지상파 DMB는 VHF 채널 12에서 약 1.536MHz의 대역폭을 갖는 3개의 멀티플렉스로 방송할 예정이다. 유료 서비스로 제공될 위성 DMB는 시스템 A(Eureka-147 Mode Ⅲ), 시스템 B, 시스템 DS, 시스템 DH 및 시스템 E 방식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보통신부에서 지상파 DMB는 채널 대역폭이 1.536MHz인 Eureka-147 ModeⅠ에 동영상을 첨부한 규격을, 위성 DMB의 경우는 휴대폰 전송 기술인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사용하고 채널 대역폭이 25MHz인 시스템 E를 잠정 규격으로 확정하였다. 아울러 DMB 수신기 전원 용량의 증대와 적정한 DMB 단말기 가격 등이 DMB 서비스 활성화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PDA나 휴대폰 등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 언제든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DMB 방송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서비스 형태라고 생각되는바, 이 책에서는 향후 도래될 DMB 방송에 대한 기술적 특성을 분석하고, DMB 구현에 따른 서비스 분석 및 기술 정책뿐만 아니라 DMB서비스로 인한 변화 요인 및 도입을 위한 고려 사항 등도 심도 있게 다루었다.
200자평
지상파·위성·케이블 TV 등의 방송 매체에 대한 디지털화가 본격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언제 어디에서든 이동 중에도 시청이 가능한 DMB의 필요성과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PDA나 휴대폰 등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는 DMB 방송의 기술적 특성을 분석하고, DMB 구현에 따른 서비스 분석 및 기술 정책뿐만 아니라 DMB서비스로 인한 변화 요인과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 등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지은이
박경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전자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KBS 기술연구소 연구원, ETRI 선임연구원, DACOM 종합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2006년 현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 『퍼스널TV 특성 및 서비스 연구』, 『디지털화에 따른 텔레비전 제작시스템 개선방안 공동연구』, 『지상파 디지털TV 방송 실시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유료방송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기술 연구』, 『디지털방송에 따른 기술 및 산업의 파급효과 연구』 등이 있다.
차례
I. 서론
II. DMB 동향 및 특성
1.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서비스 정의
1) DAB 특성
2) DAB 동향
3) DMB 정의
2. 지상파 DMB 동향 및 특성
1) 외국의 지상파 DMB
2) 국내의 지상파 DMB
3) DMB 수신기 개발
3. 위성 DMB 동향 및 특성
1) 외국의 위성 DMB
2) 국내의 위성 DMB
III. DMB 구현을 위한 기술적 특성 분석
1. DMB Audio 특성
2. DMB Video 특성 (H.264)
3. DMB 이동 데이터 서비스 특성
IV. DMB 방송 서비스 및 기술 정책
1. 지상파 DMB
1) 지상파 DMB 채널
2. 위성 DMB
3. DMB 추진 일정
1) 지상파 DMB
2) 위성 DMB
4. DMB 도입을 위한 고려 사항
5. DMB서비스 도입에 따른 변화 요인
1) 융합 현상 99
2) 시청 행위의 변화
V.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