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로이 바스카의 사상은 ‘실재’에 대한 관심으로 가득하다. 경제학을 공부하던 학생이 이론이 아닌 현실을 바라보기 위해 선택한 과학철학의 길은 ‘비판적 실재론’이라는 견해로 발전했다. 이를 통해 바스카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이론적·실천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했다. 비판적 실재론은 존재론적 실재론, 인식론적 상대주의, 판단적 합리성의 세 가지 핵심 교의를 통해 실증주의의 확실성과 탈근대주의의 회의주의 두 극단을 벗어난다. 주류 학문에서 벗어나 자신의 길을 탐독한 바스카의 사상은 금기와의 싸움이기도 하다. 기존 학문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얻고 싶은 독자들에게 추천한다.
로이 바스카(Roy Bhaskar, 1944∼2014)
과학철학자, 사회과학철학자. 1944년 런던에서 영국계 어머니와 인도계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옥스퍼드대학교 발리올칼리지에서 철학, 정치학, 경제학을 공부했다. 철학에 열정을, 정치학에 흥미를 가졌지만, 제3세계의 빈곤 등과 같은 쟁점들을 다룰 수 있는 대학원 경제학부에 진학했다. 이후 경제학에서 실재에 문의하는 것을 왜 금기로 삼는지 구명하기 위해 철학부로 옮겨 과학철학과 사회과학철학을 공부한다. 당시를 지배하던 분석철학 전통에서 훈련받았지만, 학문 분과적 전문화와 편협한 목표를 거부하고 학계 관습에 대항했다. 박사학위 논문을 개편·보충해 『실재론적 과학론』(1975), 『자연주의의 가능성』(1979), 『과학적 실재론과 인간해방』(1986) 등 3권의 저서로 출판했다. 말년에는 런던대학교 교육연구소에 “세계 석학”으로 있으면서 비판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다학문적으로 교육, 평화, 기후변화 등을 연구했다. 2014년 영국 리즈에서 사망했다.
사상 분야 과학철학, 해석학, 학제간 연구
연관 사상가 게오르그 헤겔, 찰스 샌더스 퍼스, 카를 마르크스
200자평
로이 바스카는 근래 서구 사회과학계에서 주목받는 철학자로, ‘비판적 실재론’이라고 불리는 견해를 주창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비판적 실재론을 바탕으로 과학철학의 전통적 견해들(실증주의, 합리주의, 탈근대주의, 실용주의)과 사회과학이론(원자론, 전체론, 탈근대론)에 대한 정교하고 일관성 있는 대안을 제시한 바 있다. 비판적 실재론은 존재론적 실재론, 인식론적 상대주의, 판단적 합리성의 세 가지 핵심 교의를 통해 실증주의의 확실성과 탈근대주의의 회의주의 두 극단을 벗어난다. 이 책은 로이 바스카의 이론을 10가지 키워드로 해설한다.
지은이
이기홍
1992년부터 강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공부했다. 사회과학철학, 사회과학방법론, 사회이론을 전공한다. “사회과학에서 법칙과 설명”(2016), “양적 방법의 지배와 그 결과: 식민지근대화론의 방법론적 검토”(2016), “사회과학에서 가치와 객관성”(2015), “한국사회학에서 마르크스와 과학적 방법”(2013), “양ᐨ질 구분을 다시 생각한다”(2012), “양적 방법의 사회학”(2010), “과학과 정치 또는 과학의 정치화”(2008), “설명적 사회학과 글쓰기”(2006), “추상화ᐨ비판적 실재론의 해석”(2003), “사회현실과 사회이론”(2003), “사회구조는 무엇을 가리키는가”(2002), “실재론적 과학관과 사회과학의 연구방법”(1998), “행위, 행위주체 그리고 구조”(1994), “철학의 빈곤, 과학의 빈곤”(1988)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번역서로 『사회연구의 방법론』(2015), 『사회과학의 철학』(2014), 『비판적 실재론: 로이 바스카의 과학철학』(2010), 『비판적 실재론과 해방의 사회과학』(2007), 『비판적 자연주의와 사회과학』(2005), 『초월적 실재론과 과학』(2005), 『새로운 사회과학방법론: 비판적 실재론의 접근』(2005), 『사회연구의 철학』(2000), 『사회과학방법론: 실재론적 접근』(1999), 『과학으로서의 사회이론』(1997), 『새로운 사회과학철학』(1995), 『마르크스의 방법론』(1989, 까치) 등이 있다. 저서는 『사회과학의 철학적 기초』(2015)가 있다.
차례
01 인식적 오류
02 존재론의 옹호
03 세계의 분화와 층화
04 과학적 발견의 변증법
05 비판적 실재론의 성삼위일체
06 비판적 자연주의
07 변형적 사회 활동 모델
08 사회과학의 특수성
09 설명적 비판
10 해방의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