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유·불·도를 아우르는 전통적인 동양 사상의 진면목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초학 입문용 교재로 손꼽히는 ≪명심보감≫은 지금까지도 우리 민족과 삶의 호흡을 같이하는 고전이다. 단순히 쉬운 문장들로 구성되어 한문 학습을 돕는 역할만 했다면 그 위상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간결한 문장 안에 담긴 선인들의 보배로운 말과 글은 인격 수양을 돕고, 나아가 인생의 잠언으로 두고두고 숙독되었다. 여러 세대에 걸쳐 축적된 현인들의 지혜는 유교·불교·도교 등의 내용을 아우르고 있어 전통적인 동양 사상의 진면목을 잘 보여준다. 어느 한편의 사상에 치우치지 않고 인간의 보편적인 윤리도덕을 강조하고, 인간 본연의 착한 심성을 강조하며, 지족(知足)과 겸양의 덕성을 가져야 한다는 명언은 경세(經世)를 위한 수양서이자 제세에 필요한 교훈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서양어로 번역된 최초의 동양 고전
국내에만도 수십 종에 이르는 판본이 전하는 ≪명심보감≫은 1393년에 편찬된 이래 각국에 널리 소개되었다. 베트남이나 일본 등 동아시아는 물론이고, 네덜란드어나 독일어로 번역되어 서구에까지 유입되었다. 동양 문헌 최초로 서양어로 번역된 것이다. 선교를 위해, 중국인의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 ≪명심보감≫에 관심을 가졌던 서양인 선교사는 중국인에게 성서와 같은 존재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보다 원전에 가까운 판본, 청주본 ≪명심보감≫
오랫동안 우리나라에서 고려 충렬왕 때의 명신(名臣) 추척(秋適)의 저작으로 알려졌던 것과 달리, ≪명심보감≫은 명나라 학자인 범입본(范立本)의 저작이다. 이는 본서에서 저본으로 삼은 청주본이 소개되면서 밝혀진 사실이다. 청주본은 우리나라 최초의 판각본이자 중국의 원본을 가장 충실하게 옮긴 판본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수십 종의 판본은 판각을 거듭하면서 시대와 상황에 맞게 그 모습을 달리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실제로 유교 이념이 중시되던 시기에 간행된 초략본에는 불교 관련 내용이 거의 누락되어 있다.
1000개가 넘는 상세한 주석
발문(跋文)에서 밝히다시피 ≪명심보감≫은 “넓게 경전을 고찰하고 중요한 말을 가려 모아서 20편으로 나누어 만든 것”이다. 때문에 여러 경전에서 인용한 글이 많다. 옮긴이는 1000개가 넘는 상세한 각주를 통해 ≪명심보감≫이 담고 있는 명구와 다른 경전에 담겨 있는 같은 내용의 글의 차이를 비교한다. 아울러 청주본 외에 다른 판본에서 쓰이는 실례를 들어 판본 사이의 비교도 충실히 해내고 있다.
200자평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초학 입문용 교재로 손꼽히는 <명심보감>. 여러 판본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청주본을 완역했다. 불교 관련 내용이 거의 누락되어 있는 초략본과는 달리 완본인 청주본은 유교·불교·도교의 내용을 아우르고 있어 동양사상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1000개가 넘는 상세한 주석을 통해 다른 중국 고전과 <명심보감>의 다른 판본과의 비교를 꾀했다.
지은이
범입본은 원나라 말기에 출생한 명나라 사람으로 자가 종도(從道)다. 그에 관한 기록이 거의 없으나, 주로 활동한 시기는 명나라 초기일 것이며, 정계에 진출하기보다 지방 향촌이나 산림에 은거하여 후학들을 교육하고 저술 활동을 하면서 일생을 마친 일사(逸士)로 추정된다. 그가 편찬한 ≪명심보감≫은 명나라의 사회적 신분이 높은 상류 지식층에서 주목했고, 명나라 황제들이 사특한 종교를 배척하고 부패한 정치를 바로잡기에 적합한 양서로 인정하고 편찬했다. 그만큼 그는 사상적 편중에서 벗어나 중세 중국의 지성과 인륜도덕,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혼자 노력하고 헌신했던 인물이라 하겠다.
옮긴이
조기영은 대학과 대학원에서 한문과 한문학을 전공하고 유도회 한문연수원과 중앙승가대학 불전국역연구원 등에서 경전 공부를 했다. 권우 홍찬유 선생으로부터 지어재(之於齋), 연민 이가원 선생으로부터 인재(仁齋)라는 아호를 받았다. 연세대 국학연구원 및 강원대·충북대 등의 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했고, 연세대·강원대·경찰대·공주교대·방통대·목원대·상지대·한성대·경민대·경희대 등에 출강했다. 서정대 교수와 유도회 한문연수원 교수를 거쳐서 현재 한국고전교육원 교수로 있으며 연세대 학부대학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로는 정도전의 ≪삼봉 리더십≫과 조광조 평전인 ≪위대한 개혁≫을 비롯하여 ≪하서 김인후의 시문학 연구≫·≪하서 시학과 호남 시단≫·≪한글세대를 위한 한문 강독≫·≪한문학의 이해≫·≪정보사회의 언어문화≫·≪한국 시가의 정신세계≫·≪한국 시가의 자연관≫·≪화랑세기≫·≪동몽선습 외≫·≪백련초해≫·≪경제문감≫·≪명심보감≫·≪백유경≫·≪반야심경≫·≪알기 쉬운 불교 용어 산책≫ 등과 다수의 논문이 있다.
차례
해설
지은이에 대해
명심보감(明心寶鑑) 서(序)
명심보감(明心寶鑑) 권상(卷上)
계선편(繼善篇) 제1 [47조]
천명편(天命篇) 제2 [19조]
순명편(順命篇) 제3 [16조]
효행편(孝行篇) 제4 [19조]
정기편(正己篇) 제5 [117조]
안분편(安分篇) 제6 [18조]
존심편(存心篇) 제7 [82조]
계성편(戒性篇) 제8 [15조]
근학편(勤學篇) 제9 [22조]
훈자편(訓子篇) 제10 [17조]
명심보감(明心寶鑑) 권하(卷下)
성심편(省心篇) 제11 [256조]
입교편(立敎篇) 제12 [17조]
치정편(治政篇) 제13 [22조]
치가편(治家篇) 제14 [16조]
안의편(安義篇) 제15 [5조]
준례편(遵禮篇) 제16 [21조]
존신편(存信篇) 제17 [7조]
언어편(言語篇) 제18 [25조]
교우편(交友篇) 제19 [24조]
부행편(婦行篇) 제20 [9조]
발문(跋文)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세 개의 작은 점은 별 모양과 같으며,
가로 그은 필획은 초승달을 닮았도다.
머리 풀어헤친 신선도 이로부터 얻고,
부처가 되는 길도 저것에 말미암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