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새로운 사회 전환기의 모습
포도를 재배하는 칠레의 조그마한 시골 농촌 마을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다. 외딴 시골 농촌 마을의 풍경과 그들의 일상적인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는 점에서 중남미 지역주의 소설의 색채를 띤다. 중남미 봉건주의 사회의 마지막 모습이 아직도 남아 있는 농촌 마을 사람들은 소도시로의 발전을 꿈꾸며 살아간다. 비록 소외된 곳이지만 마을 사람들은 도시로의 변화를 원하면서 힘든 하루하루를 근근이 버텨 간다. 이렇게 힘들게 살아가는 그들의 모습은 전통적인 상류 지배 계층이 붕괴되고 부르주아 계급이 몰락해 가는, 새로운 사회 전환기의 모습과 맞닿아 있다.
자기 정체성 찾기
등장인물들을 통해서 중남미 현대소설의 가장 대표적인 테마 중의 하나인 정체성 문제를 여러 각도에서 제시한다. 등장인물인 마누엘라는 이 책의 독자들에게 자기가 누구인지, 과연 남자인지 여자인지, 자신의 본모습이 정말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물어본다. 남자이지만 남자가 아닌 그는 자기 정체성을 상실한 모호한 존재다. 남자이지만 남성성을 상실한 채 여장을 하고 화장과 꾸미는 것을 좋아하는 그는 자신을 정말로 여자라고 생각한다. 전문 댄서로 나오는 그는 창녀들이 가득한 매음굴에서 춤을 추면서 기둥서방 역할을 한다. 하지만 그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여장을 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본다. 이렇게 자신의 참담한 모습을 끊임없이 되돌아보는 마누엘라의 모습은 다양한 인종과 전통이 혼합된 문화 속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으려는 중남미 지식인들의 끊임없는 노력을 떠올리게 한다.
200자평
국내 초역. 절망 속에서 나락으로 떨어져 가는 중산층의 아픔을 사실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작가는 이들의 아픔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인간 내면의 실존적 문제들을 끄집어내 함께 고민하게 한다. 남자이지만 남성성을 상실한 채 여장을 하고 화장과 꾸미는 것을 좋아하는 주인공은 끊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
지은이
호세 도노소(Jose Donoso, 1924∼1996)는 1924년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에서 부유한 명문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의사와 변호사 집안이라는 유복한 환경 속에서 자랐음에도 그의 청소년 시절은 순탄치 않았다. 잦은 여행과 반항적인 기질, 정신적인 방황으로 인해 순탄하지 못한 청소년기를 거쳤기 때문이다. 산티아고시의 영국인 학교에서 멕시코의 유명 작가인 카를로스 푸엔테스와 같이 공부를 하기도 했지만 반항심과 편벽함으로 정상적인 학교생활을 하지 못하고 여행을 떠나 부두 노동자로서 지내기도 했다. 공부를 중단하고 칠레 남단의 마가야네스에서 1년 동안 양을 치는 목자 생활을 한 적도 있었다. 정신적으로 방황하던 그는 문학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면서부터 안정을 찾고 이후 칠레 대학과 미국의 프린스턴 대학에서 공부를 마친다. 학업을 마친 후 칠레 산티아고 가톨릭 대학에서 영문학과 교수를 지냈고, 잡지 ≪에르실라≫와 신문의 편집자로 4년간 일했다.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 작가 강습 과정 교수로 2년 동안 근무하기도 했으며 프린스턴 대학과 다트머스 대학, 콜로라도 주립대학에서 문학 교수를 역임했다. 구겐하임 장학금도 두 번이나 받았으며, 1956년 단편 문학상, 1978년 스페인 비평 문학상, 1990년 칠레 국립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일반적으로 호세 도노소는 헨리 제임스와 같은 영미 문학 작가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실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중남미 붐 소설 작가들과 더 깊은 연관이 있다. 특히 도노소가 증언 성격의 수필인 ≪붐의 개인적인 이력서≫(1972)에서 밝혔듯이 동문수학을 했던 멕시코의 소설가 카를로스 푸엔테스는 그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칠레 ‘50세대 사실주의 작가’에 속한다는 문단의 평판처럼 상류 귀족 계급과 중산층의 몰락과 퇴폐를 고발하는 성격이 강했던 그의 초기 소설들은 세 번째 소설인 ≪무한지대≫(1966)와 장편소설 ≪음탕한 밤새≫(1970) 등을 거치면서 상상과 신화, 몽환적 분위기 등이 강조되는 도노소 고유의 창작 세계를 구축하기 시작한다. ≪음탕한 밤새≫는 문단의 대대적인 호평을 받으며 중남미 붐 소설의 대표적인 작품 중의 하나로 손꼽히게 된다. 이 작품은 17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칠레의 대표적인 소설가였던 그에게 새로운 국제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 그의 몇몇 작품들은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희곡 작품으로 ≪재수 없는 꿈≫(1985)을 출간하기도 했다.
옮긴이
이상원은 고려대학교 서어서문학과를 졸업한 후 콜롬비아 하베리아나(Javeriana) 대학교에서 중남미 문학(소설) 전공으로 문학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스페인 마드리드 국립대학교(Complutense de Madrid)에서 박사후과정을 마친 후 현재 배재대학교 스페인어중남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원숭이 문법학자>에 나타난 옥타비오 파스(Octavio Paz)의 메타픽션 비평>, <언어의 가변적 유희성을 통한 파스(Paz)의 시와 창작의 세계>, <중남미 서사문학에 나타난 신화의 접근방법론 고찰>, <카를로스 푸엔테스: 문화적 기호와 신화 그리고 시대정신의 비판>, <엘리손도(Elizondo): 텍스트 글쓰기와 자의식 언어의 서술적 책략>, <씨앗으로의 여행에 나타난 역전시간성의 연구>, <중남미 현대 증언소설의 문학적 담론에 관한 고찰> 등이 있으며, 저서로 ≪스페인어 문화≫(공저), ≪라틴아메리카의 문화 속으로≫(편저) 등이 있다.
차례
해설
지은이에 대해
무한지대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날씨가 추웠다. 찬바람에 직접 부딪치지 않도록 문을 아주 조금만 열었다. 거의 열린 것 같지 않은 문틈으로 한꺼번에 찬바람이 몰려들면서 밤하늘의 수많은 별이 돈 세스페데스의 붉은 재킷을 에워쌌다. 다시 빗장을 걸어 문을 잠갔다. 하포네시타가 차가운 손을 비벼대면서 테이블 사이로 걸으며 하나하나 모든 카바이드 등불을 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