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국 최고의 문학 이론서 ≪문심조룡≫
≪문심조룡(文心雕龍)≫은 중국 남조 문학 이론가 유협(劉勰)이 서기 501∼502년에 지은 문학 이론서다. 상하 각 25편씩 50편으로 구성되었다. 공자의 미학사상을 토대로 제량(齊梁) 이전의 문학 및 미학 성과를 총결해 문학의 심미적 본질과 창작, 감상 등의 미학 규율을 엄밀하게 탐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심(文心)”은 작문의 용심(用心)을 말한다. “조룡(雕龍)”은 용의 문양을 조각하는 것으로 작문에서 문채의 추구를 비유하지만, 단순히 문채만을 추구하는 것만은 아니다. 작문의 용심을 말하려면 작문의 강령을 언급해야 하기에 창작론, 문체론, 문학 평론을 모두 포괄해 언급해야 한다. 문채를 말하려면 당시 남조인(南朝人)이 중요시한 문채의 특징을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따라서 본서에서 말한 “문(文)”은 시문을 지칭한다. 시문 가운데 문은 문학이 위주이고, 비문학은 그다음이다. 시부(詩賦)만이 문학인 것이 아니라, 적잖은 고대 응용문도 유협은 문학으로 여겼으며, 따라서 이 책은 고전 문학 이론의 걸작이라 할 수 있다.
≪문심조룡≫의 구조
전체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부분이 “문학의 핵심(文之樞紐)”이고, 문장의 강령에 해당하며, <원도(原道)>, <징성(徵聖)>, <종경(宗經)>, <정위(正緯)>, <변소(辨騷)> 5편이 포함된다. 이 부분은 문장의 근원이 도(道)라는 사실을 설명하는데, 유협은 도를 가장 잘 인식하는 사람이 성인이기에 성인을 학습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문장의 근원, 학습 대상, 문체의 원류에서 변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언급했다. 두 번째 부분은 문체론이다. <명시(明詩)>에서 <서기(書記)>까지 20편이며, 이는 다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전반부는 운문 10편, 후반부는 산문 10편이다. 이 부분에서는 각종 문체의 기원과 변화를 설명하고, 각종 문체의 명칭과 의미를 해석했으며, 각종 문체의 대표작을 선별하고 논술하면서 각 문체의 창작 방법을 설명했다. 총론과 문체론 두 부분을 합쳐 상편(上篇)이라 불렀으니, 따라서 상권은 25편이다. 세 번째 부분은 창작론이다. 여기서는 정리(情理)와 문채를 분석하고, 창작의 계통과 조리를 중시해 문사(文思), 풍격(風格), 체세(體勢), 통변(通變), 구성(構成), 수사(修辭), 성률(聲律), 장구(章句) 등의 창작 문제를 연구했다. 네 번째 부분에서는 문학사관, 작가론, 감상론, 작가 품덕론을 토론했다. 이 부분은 <신사(神思)>에서 <정기(程器)>까지 24편으로 되어 있고, 여기에 총서(總序)인 <서지(序志)>를 더한 총 25편을 하편(下篇)이라 불렀으니, 하권에 해당한다. <서지(序志)>에서는 본서를 쓰게 된 동기, 태도, 원칙을 서술하고 있다. 상권과 하권을 합치면 총 50편으로, 창작의 여러 방면에 대한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논술이다. 각 편의 맨 끝에는 ‘찬(贊)’을 달아 본문에서 쓰기에 적합하지 않은 별도의 의미를 제시하기도 하고, 본문을 총결하기도 한다.
≪문심조룡≫의 가장 정확하고 깊이 있는 해석, ≪문심조룡 금역≫
≪문심조룡 금역≫은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출간한 중국고전명저역주총서 가운데 한 편으로 유협의 ≪문심조룡≫에 주석을 달고 현대 중국어로 번역한 책이다. ≪문심조룡≫은 역대로 적지 않은 학자들이 주석서를 남겼는데, 현대 중문학계에서 가장 유명한 주석본은 판원란(范文澜)의 ≪문심조룡 주(文心雕龍)注≫, 잔잉(詹鍈)의 ≪문심조룡 의증(文心雕龍議證)≫(상하이구지출판사, 1989)이고, 번역이 포함된 역주본으로는 왕윈시(王运熙)의 ≪문심조룡 역주(文心雕龍譯註)≫와 저우전푸(周振甫)의 ≪문심조룡 금역(文心雕龍今譯)≫이 가장 중시되고 있다.
저우전푸의 ≪문심조룡 금역≫은 단순히 번역만 한 것이 아니라 각 편의 앞머리에 해설을 실어 내용을 총괄하고 이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또한 원문 아래에는 주석을 달아 독해의 이해를 돕는다. 특히 교감과 주석은 기존의 연구를 계승하면서도 독특한 부분이 적지 않다. 주해는 비록 간략하지만 해석이 명료하고 깊이가 있어 학계에서 학술서적으로 공인되어 대표적인 문심조룡 역주본으로 널리 읽히고 있다.
200자평
중국의 대표적인 문학 이론서, ≪문심조룡≫을 현대어로 풀이하다
≪문심조룡≫은 중국 남북조 시대의 문학가 유협(劉勰)이 쓴 문학 이론서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문 평론서이자 고전 문학사상 손꼽히는 걸작이다. 상하권 각 25편씩 총 50편으로 구성되었는데 상권에서는 문학의 총론과 문체론, 하권에서는 창작론과 문학사관, 작가론, 감상론, 작가 품덕론을 다뤘다. ≪문심조룡 금역≫은 중화서국에서 출간한 <중국고전명저역주총서> 중 하나로, 저명한 중국 고전문학가 저우전푸 선생이 ≪문심조룡≫을 현대어로 풀이하고 상세한 주석을 달았으며, 각 편 앞에 해설을 추가했다.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한중 고전 저작 상호 번역 출판 사업> 대상 도서로 선정되었다. 옮긴이 배득렬 교수는 25년간 ≪문심조룡≫을 연구해 온 전문가로서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간결하고도 정확한 번역을 완성했다. 중국 시문학에 대해 알고자 하는 이는 물론, 올바른 글쓰기를 배우고 싶은 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지은이
≪문심조룡 금역(文心雕龍今譯)≫의 작가 저우전푸(周振甫, 1911∼2000)는 저장(浙江) 핑후(平湖) 출신이다. 저명한 학자로 고전 시사(古典詩詞)와 문학 이론의 전문가이자 풍부한 경험의 편집가다. 주 저작은 ≪엄복 사상 평술(嚴復思想平述)≫,≪모 주석 시사 천석(毛主席詩詞淺釋)≫, ≪노신 시가 주(魯迅詩歌注)≫, ≪문심조룡 금역(文心雕龍今譯)≫, ≪이상은 선시(李商隱選詩)≫, 시사 예화≪(詩詞例話)≫, ≪문장 예화(文章例話)≫, ≪소설 예화(小說例話)≫, ≪중국 수사학사(中國修辭學史)≫, ≪중국 문장학사(中國文章學史)≫, ≪주역 석주(周易釋注)≫, ≪시경 역주(詩經譯注)≫, ≪저우전푸 학술 문화 수필(周振甫學術文化隨筆)≫, ≪저우전푸 문집(周振甫文集)≫(전 10권), ≪저우전푸 강담(周振甫講譚)≫(전 7권) 등이 있다.
옮긴이
배득렬(裵得烈)은 1961년 청주에서 태어났다. 청주고등학교,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석사, 박사 과정 수료), 베이징사범대학(박사)을 졸업하고, 청주 주성대학교 교수를 거쳐 2000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 문학 이론 및 ≪문심조룡≫ 관련 논문 10여 편과 ≪고사성어(故事成語)를 알면 중국이 보인다≫(학고방, 2007), ≪중국 문화 이해하기≫(충북대학교 출판사, 2013), ≪고사성어에 길을 묻다≫(구름서재, 2014), ≪중국 문학 이론의 이해≫(충북대학교 출판사, 2016), ≪문심조룡 주해(文心雕龍註解) 제1권≫(충북대학교 출판부, 2019), ≪문심조룡 주해 제2권≫(충북대학교 출판부, 2021)의 저술과 역서를 출간한 바 있다.
차례
예언(例言)
양서·유협전(梁書·劉勰傳)
총론(總論)
1. 원도(原道)
2. 징성(徵聖)
3. 종경(宗經)
4. 정위(正緯)
5. 변소(辨騷)
문체론(文體論)
6. 명시(明詩)
7. 악부(樂府)
8. 전부(詮賦)
9. 송찬(頌贊)
10. 축맹(祝盟)
11. 명잠(銘箴)
12. 뇌비(誄碑)
13. 애조(哀吊)
14. 잡문(雜文)
15. 해은(諧讔)
16. 사전(史傳)
17. 제자(諸子)
18. 논설(論說)
19. 조책(詔策)
20. 격리(檄移)
21. 봉선(封禪)
22. 장표(章表)
23. 주계(奏啓)
24. 의대(議對)
25. 서기(書記)
책속으로
유협이 말한 “문지추뉴”는 그의 걸출한 성취이자, 이전 문학 이론가를 초월한 부분이다. 그는 하나의 문론(文論) 체계를 건립하기 위해 원도(原道)라는 명제(命題)를 제시했다. “글로 도를 밝힌다(因文明道)”는 제시는 당시 문풍의 병폐를 구하는 작용으로 작동했다. “≪이소≫에서 변화를 구한다(變乎騷)”는 제시는 문학의 창신과 변화에 주목한 것이다.
유협은 병폐를 바로잡기 위해 명도(明道)와 종경(宗經)을 제시해, 형식에만 편중한 부화하고 무기력한 문풍을 반대했다. 자연(自然)을 제시해 억지로 꾸며 부자연스러운 것에 반대했다. “≪이소≫에서 변화를 구한다”를 제시한 것은 문학의 발전에는 새로운 변화가 필요함을 지적한 것이다. 문학의 병폐를 방지해야 문학이 정확한 길로 발전할 수 있다.
– <총론(總論)>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