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분명 미디어교육의 내용 구성과 범위가 달라지게 만드는 핵심 요인 중 하나다. 오늘날의 미디어환경은 매체, 채널, 콘텐츠 등이 모두 제한적으로만 제공되고, 미디어 생산자가 제작한 콘텐츠를 이용자가 일방적으로 소비하던 그 시절과는 매우 다르다. 해로운 콘텐츠를 피하는 것만으로도 나쁜 영향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었던 조건이 더 이상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미디어교육은 부정적인 것을 회피하기 위한 소극적 목적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미디어와 그 콘텐츠를 올바르고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미디어를 통해 활발히 소통하고 참여하는 역량까지 갖춰주는 방향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미디어교육 개념을 현재 미디어환경의 특성에 맞게 업데이트하는 한편,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 현장의 교육양상을 최대한 반영해서 좀 더 현실적인 형태로 재구조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관계자 69명을 섭외해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들이 어떤 교육을 하거나 받아왔는지, 이들이 생각하는 미디어교육은 무엇인지, 미디어교육이 좀 더 체계를 잡으려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등을 물어보았다.
지은이
양정애·김아미·박한철
차례
01. 연구배경과 연구방법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2. 연구방법
1) 인터뷰 대상 및 진행
2) 인터뷰 내용
3) 인터뷰 결과 정리와 활용
02. 미디어교육 개념에 대한 기존 문헌 검토
1. 국내 미디어교육 진행
2. 미디어교육 실천 및 연구 동향
1) 참여자 확대 및 세대별로 특화된 교육 필요성 강조
2) ‘미디어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3) 교육 주체 다양화 및 주체 간 연계 협력 강화
4) 정책적 지원에 대한 요구
3. 미디어 리터러시 재개념화
1) 리터러시 개념 자체의 확장
2) 미디어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하위역량의 확장
3) 비판적 역량 및 참여 역량의 강조
4. 소결
03. 교육 현장의 미디어교육 양상
1. 학생들의 미디어교육 경험
1) 그동안 어떤 미디어교육을 받았는가?
2) 앞으로 어떤 미디어교육을 받고 싶어 하는가?
2. 교・강사들의 미디어교육 경험
1) 교사들은 그동안 어떤 미디어교육을 해 왔는가?
2) 강사들은 그동안 어떤 미디어교육을 해 왔는가?
3. 공공기관들의 미디어교육 사업 수행
04. 미디어교육 개념의 재구조화
1. 미디어교육 구성 요소와 범위
1) 미디어교육의 핵심 요소
2) MIE의 미디어교육 포함 여부
3) 미디어교육 개념의 재구조화를 위한 제언
2. 미디어교육 층위 구분과 하위영역 구성
1) 인터뷰 내용 종합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들
2) 미디어교육 개념의 재구조화 모형과 해설
05. 미디어교육 체계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1. 미디어교육의 거버넌스
1) 산발적・중첩적 교육이 문제라는 입장의 주요 논점
2) 산발적・중첩적 교육이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의 주요 논점
3) 대안 제시 위주 유보적 입장의 주요 논점
2. 공교육 체계 안에서의 미디어교육
3. 대학(원)에서의 미디어교육: 교육자에 대한 교육
4. 미디어교육 발전을 위한 기타 제언
5. 소결: 자문회의를 통한 대략적 종합
1) 미디어교육 거버넌스 이슈
2) 학교 내 미디어교육 이슈
3) 대학 미디어교육 이슈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