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2004년 제17대 총선 캠페인 기간 동안 실시된 서베이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디어의 영향력과 정치커뮤니케이션 영역을 집중 해부한 이론적 진단서.인터넷의 등장에 따른 신문, 방송 미디어의 이용행태 변화와 함께 다양한 미디어가 경쟁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 속에서 유권자의 정치 참여와 관련한 이슈를 다루었다.
특히 부정적 캠페인과 관련한 유권자의 정서적인 반응과 참여의 문제를 살펴보았으며, 정보에 입각한 정치참여, 공론장에서의 활발한 의견표명 등 민주 정치과정에서의 규범적인 이슈를 이론적 논의와 함께 경험적인 데이터 제시를 통해 평가하고 있다.
1부에서는 민주주의와 미디어 선거와 관련한 제 이슈를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미디어 이용행태와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평가 결과를 소개한다.
2부에서는 미디어 효과 이론에 기초한 실증적인 검증 결과를 이론적 논의에 대한 소개와 함께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3자 효과 가설, 정치적 냉소주의 및 정치 효능감의 문제, 유권자 정서의 이슈, 침묵의 나선이론, 지식격차 가설 등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영역에서 등장하는 이론적 이슈를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진단해 본 연구 결과가 소개된다.
지은이
권혁남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박사
미국 인디애나, 플로리다주립대학교 방문교수
언론중재위원
호남언론학회 회장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현재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언론과 선거보도>(1997년 문화체육부 우수학술도서 선정)
<대중매체와 사회>(공저)
<언론사의 인적구성과 직업환경>
<미디어 선거의 이론과 실제> 외 다수.
김춘식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석·박사(정치커뮤니케이션 전공)
목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한신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언론정보학부 부교수
“Socio-communicational structure among political actors on the web in South Korea”, New Media & Society, 6 (3), 403~423.
“선거캠페인 환경 변화와 후보자의 부정적 캠페인 사용”,<한국언론학보>, 48권 6호, 343~369.
“제16대 대통령선거 후보자의 TV토론 수사분석”, <방송문화연구>, 16권 2호, 139~171.
“2002년 대통령선거 TV광고와 신문광고의 언어적 메시지 분석”, <광고연구>, 59호, 25~48.
양승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신문학과) 졸업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언론학 박사
한국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
미국 아메리칸대학교 교환교수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미디어 정치 효과: 비개인적 영향력>(2000, 역)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2002, 공역)
<대통령선거와 미디어>(2003, 공저)
<미디어와 투표행동>(2001, 공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이해>(2001, 공역) 등
이강형
미국 펜실바니아대학교 안넨버그 커뮤니케이션 스쿨 석·박사, 박사 후 연구원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석사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사
미주 동아일보기자
현재 대구대학교 언론매체학과 조교수
GangHeong Lee (2004). Reconciling “”Cognitive Priming”” vs. “”Obtrusive Contingency”” Hypotheses: An Analytical Model of Media Agenda-Setting Effects. Gazette: The International Journal for Mass Communication Studies, Vol. 66(2). 151~166.
GangHeong Lee, Joseph N. Cappella & Brian Southwell (2003), The Effects of News and Entertainment on Interpersonal Trust: Political Talk Radio, Newspapers, and Television. Mass Communication & Society, Vol. 6(4), 413~434.
GangHeong Lee & Joseph Cappella (2001), The Effects of Political Talk Radio on Political Attitude Formation: Exposure vs. Knowledge. Political Communication, Vol. 18(4), 369~394.
차례
머리말
제1부 | 민주주의와 미디어 선거
제1장 선거, 미디어, 유권자
제2장 제17대 총선 유권자의 미디어 이용행태 및 평가
제2부 | 미디어 효과 이론: 사례연구
제3장 선거보도와 제3자 효과
제4장 정치참여에 대한 미디어 이용, 정치적 냉소주의 및 정치효능감의 영향
제5장 정치와 유권자 정서
제6장 침묵의 나선이론
제7장 지식격차 가설
부 록
설문지: 언론매체 이용행태 조사
책속으로
특히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영역에서 소개되는 다양한 이론적 접근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을 통해 미디어가 유권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진단해 보는 작업은 조금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본다. 물론 연구 재원의 제약 속에도 이론적 논의와 연결시킨 정치커뮤니케이션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기는 하지만,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갖고 있는 여러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미디어의 영향력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를 한국 선거를 배경으로 살펴보는 작업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추구되어야 한다는 판단으로 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