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디어 공공성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46개 핵심 개념을 유사한 주제에 따라 7개의 장으로 엮었다. 철학이 세계에 대해 사유하는 것이라면 미디어 철학은 미디어 현상 전체를 사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미디어 공공성은 무엇이며, 이는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폭넓게 질문하고 답한다. 학자와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는 ‘미디어 거버넌스’를 ‘미디어에 관련된 공공 주체와 개인, 제도가 미디어의 공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통적인 자원을 통제하고 권력을 행사하는 다양한 방법의 집합’이라는 시각에서 정리한다. 또 제도로서의 공영 방송, 지역 신문을 생각해 보고, 최근 부각된 ‘신문 방송의 교차 소유, 미디어렙’ 같은 실험적 미디어 제도가 공공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다룬다. 미디어 시장에서 방송 시청률과 함께 프로그램의 질적 평가가 함께 이루어져야만 공익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언론 매체가 여론 독과점으로 얻은 시장 지배력만 믿고 공공성을 훼손한다면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디지털 전환을 앞두고 정부가 수신 환경을 개선하고 사회적 소외 계층과 전환 거부층에 대한 지원책 또한 적극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미디어를 받아들이는 수용자가 자신의 권리를 실현할 수 있게 하는 미디어 교육과 수용자 운동 등도 살핀다.
먼저 알아야 할 상위 개념에서 선행 개념을 토대로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하위 개념의 순서로 배치하여 효과적으로 설명한다. 각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미디어 공공성 전체에 대한 시야를 갖추게 한다. 방송법 개정 등 미디어의 공공적 가치와 산업적 가치가 충돌하고 있는 오늘날의 현실을 직시할 통찰이 될 것이다.
200자평
전국의 언론학자 203명이 참여한 미디어공공성포럼이 미디어 공공성의 개념, 이론, 사례를 논의한다. 신문, 방송, 통신, 인터넷 등 미디어 산업과 학계에서 어지럽게 통용되는 개념을 정의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미디어 공공성이 미디어 철학, 미디어 거버넌스, 제도, 시장, 뉴미디어, 수용자, 해외 미디어 정책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 책은 미디어 공공성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46개 핵심 개념을 유사한 주제에 따라 7개의 장으로 엮었다. 철학이 세계에 대해 사유하는 것이라면 미디어 철학은 미디어 현상 전체를 사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미디어 공공성은 무엇이며, 이는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폭넓게 질문하고 답하고 있다.
엮은이
미디어공공성포럼
2008년 9월 5일 203명의 국내 언론학자들은 한국 사회의 미디어 공공성이 위기에 처해 있다고 진단하고 위기에 처한 미디어의 공공성을 회복·유지·발전시키는 길을 찾기 위해 미디어공공성포럼을 창립했다. 미디어공공성포럼은 국내 미디어 상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전 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 사조 아래 훼손되고 있는 ‘미디어의 공공적 가치’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론과 실증을 통해 확인된 성과를 바탕으로 현상 평가와 진단을 내리는 한편, 미디어 정책에 합리적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차례
1장 미디어 철학
1 공론장
2 공공성
3 공익성
4 공정성
5 상업성
6 언론의 개념
7 언론의 독립성
8 언론의 사회적 책임
9 언론 자유
10 지역성
11 권언유착
12 편집권
2장 미디어 거버넌스와 공공성
1 방송 규제
2 방송 심의
3 방송통신위원회
4 인터넷 거버넌스
5 익명적 표현의 자유
6 인터넷 심의
7 주파수 정책
3장 미디어 제도와 공공성
1 공영 방송
2 신문과 방송의 교차 소유
3 지역 방송
4 지역 신문
5 미디어렙
6 뉴스통신사
4장 미디어 시장과 공공성
1 시청률
2 신문 경영의 투명성
3 신문 공동배달
4 미디어 기업의 사업 다각화
5 신문 시장 정상화
6 여론 독과점
5장 뉴미디어와 공공성
1 개인정보 보호
2 디지털 전환
3 방송통신 융합
4 정보 공유
5 집단 지성
6 CCL: Creative Commons License
7 1인 미디어
6장 수용자와 공공성
1 미디어 교육
2 수용자 운동
3 시청자 주권
7장 외국 미디어 정책 사례와 공공성
1 미국의 미디어 공공성 정책
2 일본의 신문과 방송 겸영
3 영국 오프콤과 규제 개혁
4 독일 여론 독점 규제
5 미디어 융합 환경에서의 프랑스 규제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