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디어 교육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역사, 사회, 문화적 과정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어왔을까? 저자는 이것을 ‘비판적 분석’, ‘청소년의 자아 표현’, ‘미디어 제작 기능 교육’ 등의 세 가지 접근법을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실제 교수학습 장면에서 어떻게 실현되는가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있으며, 미디어 교육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이론적, 실천적 쟁점들을 교수학습 과정에 초점을 두어 고찰한다.
이를 통해 미디어 교육이 단일한 목표를 지니고 일관되게 발전해 온 것이 아니라, 미디어와 교육을 바라보는 다양한 입장들에서 각기 다른 목표를 가지고 발전해왔음을 보여줌으로써 오늘날 한국 사회의 미디어 교육 현실을 반성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200자평
미디어 교육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역사, 사회, 문화적 과정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본문은 먼저 비판적 리터러시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3가지 모델과 미디어 교육에 대한 문화 연구와 상황학습 이론의 시각을 살펴본다.
그런 다음 비판적 미디어 분석의 실제를 다양한 문제의식을 제공하며 이야기한다. 특히 미디어 교육의 다양한 접근법이 실제 교수학습 장면에서 어떻게 실현되는가를 영국의 학교와 청소년 방송국에서 이루어진 미디어 교육 사례 연구를 통해 면밀히 분석한다.
지은이
정현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교육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영국의 런던대학교 교육연구소(Institute of Education)에서 미디어 교육을 전공하여 2001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 청소년대안교육센터 교육연구팀장,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전공과정 강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일했다. 다음세대재단, 전국국어교사모임 매체연구부, 도토리미디어사랑방, 하자센터, 스스로넷, 보라매청소년수련관, 매비우스, 언론재단, 여성민우회 등 미디어 교육 관련 시민, 교사, 사회단체, 재단 등과 교류하며 프로그램 운영과 교사 교육의 자문 역할을 해왔다.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다매체시대의 국어교육과 문화 교육』(2004)이 있으며 『전자매체 시대의 아이들』(2004)을 번역했다. 공저로 『하이퍼텍스트의 언어문화 이해교육』(2006), 『학교로 간 미디어』(2005), 『미디어교육과 사귐』(2004) 등이 있다. 최근에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국어교육 내 미디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교재 및 교사 교육, 학교 안팎의 미디어 교육 실행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차례
머리말 v
1 비판적 리터러시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세 가지 모델
미디어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 2
미디어를 통한 청소년의 자아 표현 17
미디어 제작을 위한 기능 훈련 31
2 미디어 교육에 대한 문화 연구와 상황학습 이론의 시각
미디어 학습자를 바라보는 관점 50
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와 상황학습 이론의 시각 59
미디어 실천 공동체의 입문 과정으로서 미디어 교육 78
담론 분석을 통한 미디어 교육 수업 사례 연구 93
3 사례 연구 1_비판적 미디어 분석의 실제
사례 연구의 문제의식과 맥락 102
미디어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에 있어 ‘공식적 비판 담론’의 문제 107
‘공식적 비판 담론’과 ‘개인적 담론’ 124
‘공식적 비판 담론’의 문제점 140
미디어 비평 공동체의 매개자로서 미디어 교사의 지식과 위치 150
4 사례 연구 2_미디어 생산을 통한 청소년의 ‘자아 표현’의 실제
사례 연구의 문제의식과 맥락 161
청소년의 자아 표현과 제작 기능 교육: 두 가지 상이한 목표의 긴장 168
제작 기능 중심 미디어 교육의 실제 173
청소년 문화 활동의 ‘학생 중심’ 접근이 지닌 문제점 184
미디어 생산 공동체의 매개자로서 교사의 지식과 위치 213
5 사례 연구 3_미디어 교육에서 ‘읽기’와 ‘쓰기’의 통합 문제
사례 연구의 문제의식과 맥락 225
‘비판적인 독자’와 ‘비판적인 작가’ 되기 234
소집단 활동을 통한 미디어 ‘쓰기’ 학습 247
사운드트랙에 관한 토의를 통해 본 갈등 상황에서의 교사 역할 261
미디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있어 교사의 지식과 위치 265
6 에필로그
부록 288
영국 미디어 교육의 다양한 스펙트럼과 그 실천적 함의 288
미디어 교육의 시작 288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디어 교육 290
학교 밖 비형식 교육기관의 미디어 교육 295
영국 미디어 교육의 실천적 함의 299
참고문헌 301
찾아보기 318
책속으로
미디어 교육자들은 그들 자신이 미디어 장비를 과도하게 보호하려는 행동을 취하기보다는 장비를 안전하게 다룰 책임을 청소년들에게 넘겨야 한다. 기술적인 측면을 가르칠 때에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강의하는 것보다는, 직접 해 봄으로써 배울 수 있는 실습 위주의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보다 자신감을 키워주는 것이 좋다.
_ “1장 비판적 리터러시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세 가지 모델” 중에서
교사는 ‘결혼은 모두가 해야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그저 하나의 제도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분석 대상인 여성 잡지는 결혼이라는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는 ‘명제(proposition)’를 제시하고 곧바로 ‘양보’를 함으로써(“그렇지만 여러분 모두의 가족은 결혼생활이 잘 이루어지는 멋진 가족인 것 같군요.”), 학생들의 ‘부인(reprise)’(“그렇지는 않아요.”)을 이끌어내는 3단계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말을 들은 교사는 다시 마지막으로 “알았어요, 좋아요.”라고 재확인한다.
_ “3장 사례 연구 1_비판적 미디어 분석의 실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