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미디어 담론을 담은 논문집. 이론적 방법을 소개하고 생성된 텍스트의 특정 사례에 대한 연구를 병행했다.
지은이
앨런 벨(Allan Bell)
오클랜드대학(University of Auckland)의 영문학과에서 언어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수석 연구원이다. 그는『뉴스 미디어 언어(The Language of News Media, Blackwell, 1991)』의 저자이며, 또한 ≪사회언어학보(Journal of Sociolinguistics, Blackwell)≫의 공동 창립자이며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피터 개럿(P. Garrett)
웨일스카디프대학(University of Wales Cardiff)의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연구소에서 언어와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선임 연구원이다. 그는 많은 저널들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해오고 있으며, ≪언어 인식 학보(The Journal, Language Awareness)≫의 편집장이기도 하다. 또한 ≪교실에서의 언어 인식(Language Awareness in the Classroom, 1991)≫의 공동 편집장을 맡고 있다.
옮긴이
백선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IAMCR(국제언론학회) 국제평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면서 크리스 바커와 교류하게 되었다. PACA(태평양아시아 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고, 한국기호학회의 부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와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및 이사, 한국방송학회 회장,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원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인터넷 공간의 진화와 미디어 콘텐츠』(공저, 2007), Media Coverage and Semiotics(2007),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007), 『미디어,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007)을 비롯하여 『전쟁보도와 미디어 담론』(2005), Television News, Images and Semiotics(2004), News, Signs and Culture(2004),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004), 『한국 언론 보도의 기호학』(2004), 『텔레비전 영상 기호학』(2003), 『정치담론과 인터넷』(2003),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2002), 『사이버 선거와 인터넷』(2001), 『언론보도와 신화적 인식』(1998), 『한국 선거보도의 기호학』(1997) 등이 있다. 역서로는 『미디어 담론』(2004), 『문화연구란 무엇인가』(2000) 등이 있다. 이 중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은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고, 『한국 선거보도의 기호학』과 『문화연구란 무엇인가』는 한국언론학회 희관 저술상을 수상했다.
차례
제1장 미디어와 담론:비판적 고찰
미디어와 담론
본 저서의 적용범위
비판적 접근들
본 저서의 기고자들
반 다이크(van Dijk)
벨(Bell)
앨런(Allan)
페어클라우(Fairclough)
그레이트배취(Greatbatch)
크레스와 반 리우웬(Kress & van Leeuwen)
리차드슨(Richardson)
스캐넬(Scannell)
결론
제2장 신문에 나타난 의견과 이데올로기들
1. 목적
2. 이데올로기
3. 의견들
4. 담론 구조
5. 사례
6. 요약
7. 이데올로기 분석을 위한 제안
제3장 뉴스 기사의 담론구조
1. 분석에 대해서
2. 분석틀(framework)
3. 단일 문장으로 된 기사 분석하기
4. 기사가 실제로 말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5. 뉴스 시간
6. 결론:적용과 적용 가능성
제4장 지금, 여기로부터의 뉴스:텔레비전 뉴스 담론과 헤게모니의 구성
1. 서론
2. 뉴스와 상식
3. 헤게모니의 성문화(codification)
4. 담론으로서의 텔레비전 뉴스
5. 결론
제5장 미디어 정치 담론:분석틀
1. 비판적 담론 분석
2. 현대 정치와 정치 담론
3. 미디어에서의 정치 담론
4. 사례:<투데이(Today)> 프로그램
5. 결론
제6장 대화 분석:영국 뉴스 인터뷰에서의 중립주의
1. 서론
2. 대화 분석
3. 중립성과 영국 뉴스 인터뷰
4. 회견자 중립주의 주장
5. 중립주의 인터뷰에서의 이탈
6. 뉴스 인터뷰에서의 중립주의의 한계
7. 회견자의 독립적 주장이 지닌 상대적 취약점
8. 결론
부록:대본 기호들(symbols)
제7장 제1면(Front pages):신문 레이아웃에 대한 비판적 분석
1. 양식의 다양성(Multimodality)
2. 레이아웃의 의미체계
3. 정보 가치
4. 돌출성(현저성, Salience)
5. 프레이밍 장치:연속과 불연속 기사 항목
6. 프레이밍:신문 읽는 방식(순서, reading path)
7. 응용 구조틀
8. 결론
제8장 기호와 감탄사:텔레비전을 통한 경제해석
1. 도입
2. 텍스트 분석과 수용분석
3. 텔레비전에 나오는 경제
4. 텔레비전과 경제 연구
5. 텍스트
6. 수용
7. 결론
제9장 미디어-언어-세계
1. 이데올로기와 미디어
2. 의심:심화 이론(Depth Theories)
3. 신뢰:수용 연구와 대화 분석
4. 현상학과 미디어
5. 결론
추천글
이들 최고와 최신의 논의들은 새롭게 성장하는 미디어 담론 분야에 있어서 학생들과 연구자들에게 더할 나위 없이 가치있는 작업들인 것이다.
_ 이스트 앵글리어 대학의 로저 파울러 교수
미디어 연구 영역에서 가장 뛰어난 일부 학자들에 의해 야심차게 구성된 본 논문집은 분석의 깊이와 더불어 다양한 영역들을 다루고 있고, 세밀한 실증주의 연구들과 더불어 정교한 방법론적 설명까지 가하고 있다. 향후 몇 년 동안 본 저서는 단연코 이 분야에서 최고의 필독서가 될 것이다.
_ 기센에 있는 유스터스 리비히 대학의 영어 언어학과의 안드레아스 주커 교수
이 저서는 “미디어 담론”이라는 이름 하에 전개되는 다양한 접근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 대한 유용한 입문서이다.
_ 옥스퍼드 대학의 언어와 커뮤니케이션학과의 진 에취슨 교수
미디어 담론 분야를 주도하는 이 책의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이론적인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방법들을 통해, 선택된 수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들이나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등의 특정 사례들에 대한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 독자들은 이들 다양한 연구들의 적응력과 관련성을 시험해 보거나 비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신들의 미디어 연구에 적용해 볼 수도 있다.
_ 브래드포드 대학의 울리케 마인호프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