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부 ‘정치제도로서의 미디어’에서는 오늘날 모두가 만족스럽게 생각하지 않는 민주주의와 그 민주주의가 위기에 빠진 원인을 진단하고 미디어가 민주주의의 위기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미디어가 만들어 낸 이미지의 허상과 이미지 정치로 인한 폐해에 대해 알아보고, 미디어 정치와 선거 시대에서 우리가 꼭 알아두어야 할 저널리즘의 윤리와 원칙, 법규 문제를 다루었다.
2부 ‘정치 캠페인 뉴스 메이킹’에서는 미디어와 정치 간의 관계에서 생산·보도되는 정치 뉴스의 본질에 대해서 살폈다. 또한 정치인들이 미디어의 내용과 메시지를 통제하려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갈등 그리고 정부와 권력이 언론을 통제하는 방식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했다. 우리나라 상황에서 정치와 언론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 언론의 선거 보도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했다.
3부 ‘미디어 정치 캠페인 수단’에서는 미디어 캠페인의 핵심 수단들인 TV 토론, 정치광고,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그리고 선거 여론조사의 본질과 실태 그리고 문제점들을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례를 통해 알아본다.
4부 ‘미디어 정치 캠페인 연구’는 미디어 정치 캠페인 연구와 관련된 이슈와 중요 연구과제들을 살펴보고 이것들에 대한 국내외 연구결과들을 자세히 소개했다. 미디어 정치 캠페인 연구의 향후 과제들을 분석했다.
200자평
우리나라 정치의 특징이 뭔가? 시민 없는 민주주의다. 무엇이 문제인가? 정치와 공중은 멀어지고 정치와 언론이 가까워졌다. 책임감 있는 민주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미디어 선거가 갖고 있는 본질과 과정, 효과를 알아야 한다. 저자 권혁남은 오늘날 정치와 선거에서 미디어 역할과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미디어 정치의 빛과 그림자를 일목요연하게 보여 준다.
지은이
권혁남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 박사를 받았다. 정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언론학회장, 한국언론정보학회장, 언론중재위원, KBS·MBC·EBS 경영평가위원, KBS시청자위원, 전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및 전국사회대학장협의회장,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와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방문교수를 지냈다. 언론학 저술로 『미디어 선거의 이론과 실제(개정판)』(2006), 『현대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2006, 공저), 『미디어와 유권자』(2005, 공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이해』(2004, 공저), 『대중매체와 사회』(1998, 공저), 『한국 언론과 선거 보도』(1997) 등이 있다.
차례
서문
1부 정치 제도로서의 미디어
01 미디어와 민주주의 그리고 정치
미디어 정치 시대
민주주의와 미디어의 역할
민주주의의 위기와 미디어
텔레비전의 정치적 영향력
텔레비전의 특성과 정치적 함의
참여민주주의와 미디어
02 이미지 정치와 선거
이미지 정치의 현실
이미지 정치 효과
이미지 형성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이미지 회복 전략
03 미디어 선거의 윤리와 법규
선거와 미디어 윤리
선거 보도의 객관성과 공정성
외국 방송의 선거 보도 원칙과 법규
외국 신문의 선거 보도 원칙
한국의 미디어 선거법
2부 정치 캠페인 뉴스 메이킹
04 정치 뉴스 생산과 보도
정치 뉴스의 특성
정치 뉴스 편향
상업주의 저널리즘과 보도의 획일성
선거 보도와 미디어 프레임
05 미디어 전략과 뉴스 관리
정부와 미디어의 관계
뉴스 관리
대통령과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략
06 한국 정치와 미디어
미디어 환경과 정치적 영향력
한국의 선거 취재 보도 시스템 특성
한국 미디어의 선거 보도 특성과 문제점
미디어 선거 보도의 새로운 방향
3부 미디어 정치 캠페인 수단
07 TV 토론
TV 토론과 선거
미국의 TV 토론 발달 과정
우리나라의 TV 토론
TV 토론 전략과 효과
선거 방송 토론의 쟁점과 문제점
새로운 방향과 개선 방안
08 정치광고
정치광고 시대
정치광고의 개념과 전략
정치광고와 선거 캠페인
정치광고의 빛과 그림자
정치광고의 효과
정치광고 활성화 방안
09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인터넷과 정치
미국에서의 인터넷 선거
한국에서의 인터넷 선거
소셜 미디어와 정치
사이버 정치의 빛과 그림자
10 선거 여론조사
여론조사와 선거
우리나라 선거 여론조사의 실태와 문제점
출구조사
설문 문항의 중요성
무응답률 문제
미디어의 여론조사 보도와 효과
선거 여론조사 발전을 위한 제언
4부 미디어 정치 캠페인 연구
11 미디어의 정치적 효과
미디어와 정치 효능감
미디어와 정치 냉소주의
미디어와 정치 참여
12 미디어 정치 캠페인 연구 현황과 과제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발달 과정
선거 캠페인 연구
한국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
미디어 정치 캠페인 연구의 과제
참고문헌
책속으로
민주주의는 매우 강하면서도 동시에 취약한 면을 갖고 있다. 강하고 튼튼한 민주주의는 책임감 있는 시민들이 모두 공정하고 자유로운 선거 제도로 정부의 정치 과정에 동등하게 참여할 때 가능해진다. 민주주의의 취약성은 법으로 규정된 민주주의와 실천적 민주주의 간에 괴리가 있다는 점이다.
_ <01 미디어와 민주주의 그리고 정치> 중에서
일반적으로 선거에서 후보들이 벌이는 선거 캠페인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후보 자신의 이름 인지도를 높이고, 호의적인 이미지를 심고, 캠페인 의제를 설정하고, 상대방의 신뢰와 지지를 떨어뜨리며, 이슈를 이용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상대방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이 모든 활동은 미디어를 겨냥하고, 미디어를 통해서만이 가능한 것이다.
_ <03 미디어 선거의 윤리와 법규> 중에서
오늘날의 정치 선거는 전적으로 언론, 특히 텔레비전에 의해 승패가 결정되기 때문에 모든 후보들의 선거운동은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유권자보다는 텔레비전을 겨냥하여 선거 전략을 세울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의 선거는 분명 ‘TV선거’다.
_ <07 TV 토론> 중에서
이젠 매스미디어의 편파보도나 왜곡보도가 더 이상 먹혀들지 않게 되었다. 인터넷이 언론의 일방적 여론몰이를 견제하기 때문이다. 인터넷은 수동적 소비자를 적극적인 정보 사용자로 바꾸는 놀라운 힘을 갖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자신이 전달할 정보의 내용과 전달 대상에 대해 전면적인 권한을 갖는다. 자신이 전달받을 정보도 적극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바로 이런 특성 때문에 인터넷은 시민 참여를 확대하고 연대를 회복하는 민주주의의 초석이 될 수 있다.
_ <09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중에서
관련기사
동아일보 2014년 3월 29일자 ‘새로나온 책’ / 조선일보 북스 2014년 3월 29일자 ‘북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