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박용래 시의 깔끔하게 절제된, 혹은 흠 없이 정제된 미학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것은 음악을 위해 살뜰히 소진되고 있는 언어다. 그러고 보면 박용래는 음악을 위해 좀 더 많은 언어를 소비해야 했던 여타 시인들보다는 천성적으로 언어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음감을 이미 체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박용래 시에서 음악성은 동일한 율격과 동요풍의 반복적 운율을 통한 리듬감 있는 음악성, 대구 형식과 반복법의 쓰임, 쉼표와 접두사 사용 등에서 나온다. 또한 문장에서 조사를 생략하는 것도 시의 리듬 감각에 방해가 되는 군더더기를 제거한, 음악성의 발로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극히 의도적이거나 혹은 전혀 그렇지 않거나 식의 과감한 행갈이도 음악성에 기여한다.
그의 시는 필요 이상으로 자기를 드러내거나 과장하거나 변명하려 들지 않는다. “노적가리 지붕 어스름 밤 가다가 제 발자국에 놀란 기러기”(<들판>)처럼 그의 “그림자만 기우뚱 하늘로 날아” 시가 되었고, 박용래라는 한 개인 및 한 개성, “제 발자국에 놀란 기러기”는 “노적가리 시렁에 숨어 버렸다”. 물론 이토록 염결한 시인에게도 “살아 무엇하리/ 살아서 무엇하리// 죽어/ 죽어 또한 무엇하리// (중략)// 진한 허망일랑/ 자욱자욱 묻고// (중략)// 家出하고 싶어라/ 싶어라”(<자화상 3>)라고 말할 만큼의 짙은 회한이 있었으며, “모스러진 돌절구 바닥에도 고여 넘치는 이 비천함이여”(<그 봄비>)라고 파열돼 나오는 정서의 응혈을 내비친 적도 있었다. 그러나 한지에 넘칠 듯 말 듯 번진 먹물 자국의 여운이 아니랴.
최소한의 금욕적인 언어, “삼엄하리만큼 가늘고 섬세하고 치밀한” 서정미를 추구한 박용래의 시를 보면서 부조(浮彫) 기법으로 새겨진 판화를 떠올리게 되는 것은 왠지 알 수 없는 심연으로 다가오는 그의 시의 행간 때문일 것이다.. 간결하고 정갈하게 걸러져 나온 한 줄 시행 사이에는 얼마나 수다한 말들과 진한 파토스가 녹아 내려 있을까. 그 행간에 묻힌 시인의 서러움과 정한(情恨)과 고결한 시혼을 함께 읽어 내지 않고서는 박용래 시의 진면모를 결코 헤아리지 못할 것이다.
200자평
박용래는 전설적인 눈물의 시인이다. 바위틈의 꽃처럼 저 홀로 한가롭게 피어 유심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눈에 띄지 않는, 그런 시인이었다. 다만 죽는 날까지 그의 시처럼 잔잔하고 조심스럽지만 행간은 뜨거웠던 시인의 행보를 꾸준히 디뎌 나갔다.
간결하고 정갈하게 걸러져 나온 시행 사이에 수다한 말들과 진한 파토스가 녹아 있다. 행간에 숨은 숨결조차 그의 시에서 놓칠 수 없는 하나의 편린이다.
지은이
박용래는 1925년 8월 24일 충남 부여에서 태어났다. 1943년 강경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조선은행에 취직했다. 1946년 대전 계룡학숙에서 상업과 국어 교사로 교편생활을 시작했는데, 그곳에서 훗날의 시인 박희선 등을 만나 동백시인회라는 시 동인을 하기로 의기투합했다. 1956년 시인 박두진의 추천으로 월간 ≪현대문학≫에 <가을의 노래>, <황토길>, <땅> 등이 소개되어 등단했다. 1980년 11월 심장마비로 타계했다.
시집으로 ≪싸락눈≫(삼애사, 1969), ≪강아지풀≫(민음사, 1975), ≪白髮의 꽃대궁≫(문학예술사, 1979) 등을 남겼고, 사후에 ≪먼 바다≫(창작과비평사, 1984)가 출간되었다.
엮은이
이선영은 1990년 월간 ≪현대시학≫에 <한여름 오후를 장의차가 지나간다> 외 8편을 발표하면서 등단한 시인이다. 이후 ≪오, 가엾은 비눗갑들≫(1992, 세계사), ≪글자 속에 나를 구겨 넣는다≫(1996, 문학과지성사), ≪평범에 바치다≫(1999, 문학과지성사), ≪일찍 늙으매 꽃꿈≫(2003, 창비), ≪포도알이 남기는 미래≫(2009, 창비) 등 다섯 권의 시집을 출간했다.
현재는 시작(詩作)에 계속 몰두하는 한편 이화여대 등 대학에서 시 창작 및 글쓰기 수업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학문적으로는 시와 시인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일, 즉 시의 밀실을 염탐하는 일에 관심이 많으며 시인으로서는 박용래와 같은 지고지순한 시인을 귀감 삼아 무한 배수보다는 명징한 약수의 본분을 지키는 ‘이선영표’ 시 쓰기나마 고수하자는 신념으로 시의 길을 묵묵히 가고 있다.
차례
감새
五柳洞의 銅錢
뻐꾸기 소리
첫눈
먼 바다
점 하나
열사흘
보름
앵두, 살구꽃 피면
버드나무 길
물기 머금 풍경 1
물기 머금 풍경 2
제비꽃 2
밭머리에 서서
바람 속
論山을 지나며
잔
滿船을 위해
接分
곰팡이
自畫像 3
뺏기
건들장마
눈발 털며
郵便函
面壁 1
九節草
月暈
제비꽃
얼레빗 참빗
먹감
風磬
童謠風
나귀 데불고
장대비
曲 5篇
참매미
城이 그림
미닫이에 얼비쳐
영등할매
曲
막버스
Q씨의 아침 한때
그 봄비
강아지풀
들판
小感
손거울
담장
울안
空山
낮달
먼 곳
別離
샘터
軟柿
할매
自畫像 2
소나기
濁盃器
솔개 그림자
點描
해바라기 斷章
弦
눈
겨울밤
雪夜
뜨락
秋日
故鄕
木瓜茶
저녁 눈
三冬
水中花
장갑
靜物
두멧집
둘레
寒食
鐘소리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책속으로
●
잠 이루지 못하는 밤 고향집 마늘밭에 눈은 쌓이리.
잠 이루지 못하는 밤 고향집 추녀 밑 달빛은 쌓이리.
발목을 벗고 물을 건너는 먼 마을.
고향집 마당귀 바람은 잠을 자리.
-<겨울밤>, 95쪽
●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말집 호롱불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조랑말 발굽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여물 써는 소리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변두리 빈터만 다니며 붐비다.
-<저녁 눈>, `10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