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방송언어는 무엇이 다른가? 구어가 기본이다. 일상 언어와 비슷한가? 격이 다르다. 표준어, 시청자 중심의 경어, 품위 있는 말을 사용한다. 방송언어 구사 능력을 키우려면? 장르별 방송언어 특성을 분명하게 이해해야 한다.
표준 발음, 수의 표현, 경어법을 익히고, 발음·속도·어조·억양을 부단히 연습해야 한다. 아나운서로 경력을 시작해 아나운서를 교육하는 방송언어 전문가 김상준이 현장 경험과 연구 결과를 한 권에 담았다. 아나운서, 엠시, 디제이, 리포터, 캐스터의 필독서다.
지은이
김상준
현재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보도제작과 초빙교수,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부설 방송언어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을 거쳐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어교사 재직 중 1975년 KBS 공채에 도전, 아나운서 생활을 시작해 아나운서실장, 한국어연구회장, KBS전주방송총국장을 역임했다. 아나운서실 재직 시기인 1983년에는 KBS한국어연구회를 발족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했다. KBS와 YTN 시청자위원, 국립국어연구소 표준어심의위원, 정부언론 외래어심의 공동위원, 한국음성학회 회장, 한국화법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KBS의 아나운서와 기자, PD, 리포터 등에 대한 교육을 주로 맡으면서 1989년부터 중국과 미국, 일본, 러시아 등지의 한국어 방송요원의 현지 방문 교육과 국내 초청 교육으로 표준한국어 보급에 기여했다. 방송 분야에서는 뉴스를 비롯해서 『바른말 고운말』, 『KBS 문화 강좌』 등 보도와 교양 프로그램, 민속씨름 중계방송 등을 맡았다. 세종문화상 문화부문 대통령상, 국민생활개혁운동 유공 대통령상, 한글발전유공 국무총리상, 한국 방송 70주년 공보처장관상, 군심리전 방송요원교육 유공 국방부장관상, 재단법인 외솔회 제정 외솔상 등을 수상했다. 저서는 『방송언어』(2013), 『아나운서』(2013), 『한국어 발음과 낭독』 (2013), 『한국어 아나운싱과 스피치』(2008),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2007), 『남북한 보도방송 언어연구』(2002), 『방송과 우리말』(1986), 『표준 한국어 발음사전』(2008, 공저), 『화법과 방송언어』(2005, 공저), 『아나운싱』(2004, 공역) 등이 있다.
차례
2013년 개정 3판을 내면서
2001년 개정 2판을 내면서
1997년 개정판 머리말
1장 방송언어론
언어의 개념
언어와 커뮤니케이션
방송언어의 정의
방송언어의 조건
방송언어의 오류
방송과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결론
2장 방송문장론
서론
보도 문장의 특성
방송 보도 문장의 조건
다큐멘터리 방송문장의 특성
DJ 방송문장의 특성
계도 및 공지 사항
결론
3장 방송언어와 표준 발음법
표준 발음법
제1장 총칙
제2장 자음과 모음
제3장 음의 길이
제4장 받침의 발음
제5장 음의 동화
제6장 경음화
제7장 음의 첨가
4장 방송언어와 수의 표현
서론
수사와 수관형사
수의 발음과 표현
기타 수와 관계 있는 말
5장 방송언어의 경어법
서론
방송언어와 경어
경어법 해설
6장 방송언어의 실제
방송언어와 아나운싱
뉴스 아나운싱
내레이션
MC 아나운싱
DJ 아나운싱
중계방송과 현장 묘사 아나운싱
리포트 아나운싱
기상정보 아나운싱
교통정보 아나운싱
주식정보 아나운싱
시낭송
7장 방송언어의 변천과 전망
서론
방송 초기와 일제 강점기(1927∼1945)
해방과 전쟁, 전후 복구기(1945∼1961)
군사적 권위주의 시기(1961∼1993)
민간 정부 시기(1993∼현재)
미래의 방송언어 정책과 전망
결론
8장 남북한 방송언어
머리에
남한의 방송언어 이론
북한의 방송언어 이론
남북한 방송의 어휘적 차이
남북한 방송의 음성언어적 차이
남북한 방송의 언어서열적 차이
남북한 방송언어의 문체적 차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