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간의 ‘마인드’는 어떻게 생겨나고 변화하는가?
인간은 사회문화적 존재다. 인간 정신은 각자의 마음속에 있는 ‘그 무엇’이 아니다. 통념은 ‘마음’을 피부를 경계로 개인의 내부에 ‘실체’처럼 존재하는 어떤 것이라 생각한다. 마치 ‘금고’ 혹은 ‘상자’로 보는 것이다. 이런 관념은 심리학뿐만 아니라 일상세계에서도 여전하다. 최근의 심리학 연구는 인간의 정신기능, 즉 마인드를 마치 문화적, 제도적, 역사적 상황과 동떨어져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처럼 다룬다. 비고츠키와 바흐친 그리고 워츠는 이런 생각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래서 이 책에서 ‘mind’를 ‘마음’이나 ‘정신’으로 옮기지 않았다.
이 책은 인간의 ‘마인드(정신 활동)’가 도구나 타인,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발생해 변화하는지를 밝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흐친의 ‘목소리’와 ‘대화’, ‘발화’ 개념을 핵심 보조선으로 채택해 ‘매개된 행위(mediated action)’라는 ‘새로운 분석단위’를 제시한다. 이 분석단위를 통해 볼 때,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매개하는 ‘도구에 매개된 행위’,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언어에 매개된 행위’가 인간의 정신기능을 밝히는 핵심임을 주장한다.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조건과 도구에 좌우되지 않고 머리만으로 매사를 처리하는 ‘주체’가 아니다. 즉, 인간의 행위는 도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뤄지고, 외계(조건), 도구와 일체되어 행위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실제 모습이다. 이것이 바로 도구에 매개된 행위라는 것의 의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 책은 인간의 ‘마인드’를 닫힌 자기완결적 혹은 고정적 실체가 아니라, 열려 있고 불완전한, 나아가서 무언가를 항상 지향하는 행위(action)의 산물로 새롭게 볼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워치는 ‘행위’와 ‘목소리’, 기호적 매개, 그리고 매개된 행위의 문화적, 제도적, 역사적 상황을 설명해 냄으로써, 비고츠키가 생전에 이루지 못한 미래의 심리학 이론과 실천의 확장을 시도한다. 결과적으로, 비고츠키 아이디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바흐친의 대화론을 도입해 언어적 기호 매개의 ‘정치화(精緻化)’를 설명해 낸다.
까다로운 내용을 독자들이 좀 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130개에 달하는 역자 주를 덧붙였다. 엄밀히 따지면, 사회적 구성주의는 비고츠키의 지적 전통과는 다르다. 또한 사회적 구성주의는 수업 기법이 아니라 세상을 보는 하나의 틀 혹은 인식론, 인간 철학이다. 이 책은 한국 교육계가 비고츠키 이론을 사회적 구성주의라고 오해하는 상황을 불식하고 비고츠키 이론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비고츠키 이론을 편협한 방법론 수준에서 이용해선 안 된다는 것이 비고츠키 연구자인 역자 박동섭의 생각이다.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도구는 인간과 어떤 관계를 갖는가? 인간과 사회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심리학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인문학적 물음을 비고츠키와 공유함으로써 비고츠키를 제대로 이해하는 출발점을 제공한다. 이 책이 이런 통찰을 제공한다.
200자평
북미의 대표적인 비고츠키 학파 중 한 명인 제임스 V. 워치의 국내 첫 번역서다. 사회문화심리학을 펼치기 위해 러시아의 언어철학자인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의 이론을 핵심 보조선으로 채용하고, 비고츠키가 생전에 이루지 못한 인간 정신(마음)의 사회문화역사적 접근의 심리학 이론 및 실천의 확장을 시도했다.
다양한 현장 연구와 실험을 토대로 비고츠키의 아이디어와 후기비고츠키학파의 아이디어를 한눈에 조감할 수 있다. 비고츠키 이론에 대한 한국 교육계의 오해를 불식하고,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도구는 인간과 어떤 관계를 갖는가? 인간과 사회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심리학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인문학적 물음을 비고츠키와 공유할 수 있다. 비고츠키를 제대로 이해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이 책이 이런 통찰을 제공한다.
지은이
워싱턴대학교 세인트루이스의 문화인류학과 교수다. 같은 단과대학의 교육학, 러시아연구, 철학, 신경과학, 심리학 프로그램에서 공동 직책을 맡고 있다. 1975년 시카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노스트웨스턴대학교의 언어학과에 부임하기 전, 구소련에서 비고츠키의 제자이자 동료인 신경심리학자 A. R. 루리아와 함께 공동 연구를 했다. 1987년까지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의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1988년부터 1995년까지 클라크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95년에 워싱턴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비고츠키 심리학과 바흐친의 언어철학, 그리고 그 아이디어를 원류로 하는 사회문화적 접근 방식을 통해 구소련의 여러 나라와 러시아 사람들의 ‘집합적 기억’과 ‘아이덴티티’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 가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주된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Vygotsky and the Social Formation of Mind』(1988), 『Mind as Action』(1998), 『Voices of Collective Remembering』(2002) 등이 있다.
옮긴이
신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부산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츠쿠바대학교 인간 종합과학 연구과에서 교육심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때 쓴 박사학위 논문이 “공동활동에서 유아 아동들의 상황정의의 공동적 구성”이다. 담화 심리학, 질적 심리학, 담화 분석, 인지과학, 상호 행위 분석, ethnomethodology의 관점에서 학교교육과 일상의 차별과 배제의 문제 분석, 비고츠키 심리학의 현대적 복원, 비고츠키 아이디어와 상황학습론의 왜곡된 이해와 수용에 대한 담론 분석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바흐친의 대화성 개념을 통한 교실 담화 분석의 방향 모색”, “비고츠키의 아이디어에 있어서 ‘사회’의 다차원적 의미 고찰 및 복원”, “행위, 인지, 학습에 대한 대안적인 인식론으로서의 상황학습론”, “Ethnomethodology의 원류와 의미에 대한 탐구”,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학습 탐구”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비고츠키 불협화음의 미학』이 있고, 옮긴 책으로 『스승은 있다』, 『교사를 춤추게 하라』, 『14세 아이를 가진 부모들에게』, 『심리학은 아이들 편인가』, 『기업적인 사회, 테라피적인 사회』가 있다.
차례
저자 서문
서론
01 전제
왜 ‘행위’인가?
왜 ‘매개된 행위’인가?
왜 ‘목소리’인가?
왜 ‘다성’인가?
왜 ‘마인드’인가?
왜 ‘사회문화적’인가?
비고츠키와 바흐친
02 ‘마인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매개된 행위’를 강조하는 사회문화적 접근의 3가지 기본 주제
비고츠키와 워프의 가설
03 비고츠키를 넘어 : 바흐친의 공헌
바흐친의 공헌
예제
04 ‘의미’의 다성성
‘유리된 자기 이미지’의 부정
텍스트의 단성 기능과 대화 기능
권위성과 텍스트
‘문자 그대로 의미’의 역할 : 의미에 대한 바흐친의 접근
예제
05 ‘목소리’의 이종혼교성
이종혼교성
도구상자 유비와 바흐친
예제
06 사회문화적 상황, 사회적 언어, 매개된 행위
매개된 행위와 사회문화적 상황의 결합
특권화
요약
참고 문헌
찾아보기
역자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