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사회 연결망 분석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선택하는 대표적인 입문서. 사회 연결망 분석의 수량화와 척도화를 초심자의 눈높이에 맞게 풀어 썼다. 다양한 예제를 통해 그 기본 개념과 수학적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한다. 아울러 실제 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법론적 기법을 알려 준다.
2장에서는 사회 연결망 연구의 발전사를 기술하며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의 연관 관계를 설명한다. 3장은 매트릭스(matrices)와 소시오그램(sociogram) 개념을, 4장은 그래프(graphs), 점(points), 선(lines) 개념을, 5장은 중앙성(centrality)과 중심화(centralization) 개념 등을 다룬다. 6장에서는 하부 그룹(sub-group)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클리크(clique)와 서클(circles)을 살펴보고, 7장에서는 좀 더 복잡한 위상적인 구조를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위치(position) 알아본다. 8장은 다차원 지도(multi-dimensional map) 작성 방법을, 부록은 사회 연결망 분석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200자평
사회 연결망 분석의 이론과 실제를 알기 쉽게 소개한다. 점, 선, 경로 등 기본 개념뿐만 아니라 밀도, 분절화, 중심화 등의 개념이 실제 분석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여러 사례를 통해 알려 준다. 사회 연결망을 심층적으로 조사하는 데 필요한 다차원적 방법론과 분석에 활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도 두루 담았다.
지은이
존 스콧(John Scott)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 에섹스대학교의 사회학과 교수였으며 2008년부터 현재까지 플리머스대학교의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회 계층화, 경영 조직, 경제 권력, 엘리트 파워, 사회학 이론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와 강의를 해 왔으며, 사회 연구 방법론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 『기업, 계급, 그리고 자본주의』(1985), 『기록의 유물: 사회연구의 다큐멘터리 소스』(1990), 『누가 영국을 지배하는가?』(1991), 『빈곤과 부』(1994), 『사회학적 이론』(1995), 『계층화와 권력』(1996), 『기업경영과 자본주의 계급들』(1997), 『권력』(2001) 등이 있다.
≪The Journal of the European Sociological Association≫과 ≪European Societies≫의 편집자이며, 1970년부터 British Sociological Association의 평회원으로 활발하게 활동해 왔다. 그 기간 동안 소식지 편집자, 총비서, 회계감사, 의장, 위원장, 회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는 명예 부회장직을 맡고 있다. 영국의 The Royal Society of Arts와 The British Academy의 펠로이며, The Academy of Learned Society in the Social Sciences의 회원이다.
옮긴이
김효동
아주대학교 정보통신대학 미디어학과 부교수다. 러트거스뉴저지주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터넷,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스마트TV 등의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혹은 사회와 경영 조직 등에 미치는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력이 주된 관심 분야다. 주요 저서로 『디지털시대 신문의 새로운 뉴비즈니스 전략』(공저, 2006), 『디지털시대의 미디어 이용』(공저, 2006) 등이 있으며, 대학과 연구 기관 간의 하이퍼 망 링크 구조 분석, 이메일·SMS·휴대전화 등의 매체에서 나타나는 사회 연결망 등과 관련된 연구 논문을 집필했다.
김광재
한양사이버대학교 광고미디어학과 교수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광주일보≫ 취재기자, 일본 조치대학교 신문학과 연구원 등을 거쳤다. 관심 분야는 미디어 경영, 뉴미디어의 사회적 수용, 연구 방법론이다. 주요 저서로 『디지털시대 신문의 새로운 뉴비즈니스 전략』(공저, 2006), 『디지털시대의 미디어 이용』(공저, 2006), 『새로운 세상을 위한 디지털 패러다임』(공저, 2007), 『디지털미디어 혁명과 표준전쟁』(공저, 2007) 등이 있다. 역서는 『사회과학 통계방법론의 핵심 이론』(공역, 2009), 『창조산업과 기업가 정신』(공역, 2010)이 있다.
차례
옮긴이 서문
두 번째 개정판에 부쳐
01 연결망과 관계
변수에서의 관계와 속성
이 책의 개요
02 사회 연결망 연구의 발전
사회계량 분석과 그래프 이론
대인 관계의 구성과 클리크
연결망: 전체와 부분
하버드대학교의 개가
03 관계형 데이터 다루기
관계형 데이터의 정리
관계형 데이터의 저장
관계형 데이터의 선택
04 선, 방향, 밀도
소시오그램과 그래프 이론
밀도: 자아중심 밀도와 사회중심 밀도
공동체 구조와 밀도
05 중앙성과 중심화
중앙성: 지역적, 광역적 중앙성
중심화와 그래프 중심
절대 밀도에 관한 여담
법인 연결망에서의 은행 중앙성
06 컴포넌트, 코어, 클리크
컴포넌트, 사이클, 노트
컴포넌트 외곽
클리크와 교차
컴포넌트와 인용 서클
07 위치, 역할, 군집
점의 구조적 등가
군집: 응집형과 분할형
블록 모델: CONCOR와 BURT
일반화된 구조적 등위에 대하여
겸임과 참여
08 차원과 시각화
거리, 공간, 측량치
주요 구성 요소와 요인
비계량 방법
네트워크 시각화의 발전
엘리트, 공동체, 영향력
부록: 사회 연결망 패키지
GRADAP
STRUCTURE
UCINET
PAJEK
다른 소프트웨어들
결론
참고문헌
책속으로
그동안 사회학자로서 나는 사회관계 구조의 수량화를 이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제반 연구에 필요한 특정 모델들의 관계성을 좀 더 쉽게 풀어 가려고 노력해 왔다. 따라서 이 책의 목적은 연결망 분석과 관련된 수량화와 척도화를 좀 더 알기 쉽게 풀어서 이해를 돕는 것과, 연구 중에 내가 겪은 경험을 설명하고 그에 맞는 예제를 들어 보는 것에 있다고 하겠다.
_ “01 연결망과 관계” 중에서
A가 B를 친구로서 선택한다는 사실이 B가 A를 선택하는 것을 보장하지는 않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방향 그래프에서 한 점의 연결 정도는 두 개의 독특한 개념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를 내도(indegree, 內度)와 외도(outdegree, 外度)로 부른다. 이는 사회적 관계를 나타내는 선들의 방향성에 따라서 정의된다. 한 점의 내도는 이 점을 향해 연결되는 다른 모든 점들의 합이다. 그리고 외도는 한 점이 연결하는 다른 모든 점들의 합이다.
_ “04 선, 방향, 밀도” 중에서
사회적 역할이나 위치와 관련하여 요사이 부각되고 있는 핵심 개념은 구조적 등가(structural equivalence)다. 이 개념은 특정 부류의 개인들이 맺고 유지하는 사회적 관계를 일반화하고 그 특성을 구분하는 작업이라고 하겠다. … 예를 들면, 두 아버지는 동일한 자식과 관계를 맺는 것은 아니지만 아버지와 자식이 갖는 사회적 관계에 의해서 특정한 (공통적인) 사회적 행위를 하게 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이 두 아버지는 서로에게 “사회적으로 등가”라고 말할 수 있다.
_ “07 위치, 역할, 군집” 중에서
추천글
사회 연결망 분석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개론서를 추천해 달라고 할 때마다 이 책을 권한다. 사회 연결망 분석에 대해 가장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책 중 하나다. 전문가라면 항시 사용할 한 권과 학생들이나 동료들에게 빌려줄 한 권, 이렇게 두 권을 가지고 있어야 할 정도로 유용하다.
_ 로널드 S. 버트 European Institute of Business Administation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