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병사 파인할스가 동부전선에서 그의 고향으로 돌아오기까지의 에피소드를 모은 것이다. 거기에는 파인할스가 오래 함께 지냈던 슈나이더 상사에 대한 이야기, 전쟁 속에서 그가 사랑했던 유태인 여교사 일로너에 대한 이야기, 또 종전 직전의 여러 가지 사건들이 짤막한 단편처럼 이어져 있다. 이 작품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인 파인할스는 고향 집에 거의 다 돌아와서 유탄을 맞고 자기 집 문 바로 앞에 쓰러져, 항복의 의미로 그의 어머니가 내단 흰 깃발에 덮이면서 죽는다. 이 장면을 통해서 우리는 이 작품의 중심 테마가 ‘전쟁’이라는 것을 더욱 확실히 느끼게 된다. 9장으로 나눠진 이 작품은 전쟁의 무의미를 고발한다는, 한 가지 주제 아래 성립된 것이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전쟁이라는 거대한 사건의 희생자들일 뿐이다. 그들은 모두 상부의 명령을 거부하기에는 미약했던, 평범하기 짝이 없는 인간들이다. 파인할스의 부상, 유태인 여교사와의 만남과 죽음이 이 작품의 커다란 흐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 모두 전쟁이라는 거대한 명령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죽기 직전 파인할스의 마지막 울부짖음은 전쟁에 대한 고발이며 경고다. 그러나 그 고발과 경고는 무용지물이 된 채, 그는 죽고 만다.
저자 하인리히 뵐은 이 작품의 서론에서 생텍쥐페리의 문장을 인용하면서 “전쟁은 진정한 모험이 아니다. 모험의 대용품밖에는 되지 않는다. 전쟁은 일종의 병이다. 티푸스 같은 병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전쟁이라는 것이 얼마나 처참하고 무의미한 것인가를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전쟁을 극도로 혐오한다. 그러기에 전쟁을 티푸스에 비유한 생텍쥐페리나 “새로운 신으로 등장한 죽음은, 점점 배가 불러 가고 있다”고 말한 보르헤르트와 통하는 바가 많다. 뵐은 많은 사람들과 함께 체험한 전쟁을 음산하고 리얼하게 묘사하면서, 전쟁이란 모두 광적이며 비인간적인 치욕일 뿐만 아니라 귀중한 인류의 문화재와 인간 생명의 상실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전쟁 체험이라곤 전혀 없이 향락적인 생활을 즐기는 젊은 사람들에게, 뵐은 전쟁과 그 결과로 오는 부산물이 얼마나 끔찍한가를 알려 준다.
200자평
대표적 전후문학가로 손꼽히는 하인리히 뵐의 작품. 세계 최대의 비극인 2차 대전의 공포와 그 참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사람들은 영문도 모른 채 총과 대포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죽어 간다. 이 죽음에는 군인과 민간인, 독일인과 유태인의 구별도 없다. 그저 죽음만이 있을 뿐이다. 비극적인 역사를 반성하고 인간성의 상실을 슬퍼하는 뵐의 시선이 잘 드러난 성공작이다.
지은이
하인리히 뵐은 목공예를 가업으로 하는 가문의 여섯 번째 아들로 1917년 쾰른에서 태어났다. 카이저 빌헬름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1939년 쾰른대학교의 독문학과에 입학하나 곧 제2차 세계대전에 징집되었다. 전쟁 중에는 부상을 당해 야전병원 생활을 하기도 하고 꾀병과 서류 조작으로 탈영을 하기도 했다. “무의미한 전쟁을 위해서 결코 죽을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전후, 귀향해서 ‘전쟁에서 본 것’과 전후의 ‘폐허’에 대해서 쓰기 시작했다. 1949년 첫 소설 ≪열차는 정확했다≫를 출간하고 1953년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를 발표하면서 작가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했다. 이후부터 독일 사회의 불균형적인 발전과 팽배해진 물질주의로 인한 도덕성의 결여에 대해 지적하고, 가톨릭교회의 부패에 대해 정면으로 공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뵐이 보기에 독일 가톨릭교회는 정부의 자본주의 경제 정책에 순응하고 동조함으로써 독일에서 그 재정 기반을 확보해 갔기 때문이다. 특히 1959년에 발표한 ≪9시 반의 당구≫는 청산되지 않은 과거를 망각하고 재무장을 논하며 오로지 이윤 추구와 소비 조장만으로 치닫는 독일 사회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1971년에는 성취 지향적 사회에 대한 저항을 담은 ≪여인과 군상≫을 발표하고 이듬해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1974년에는 한 무고한 여성이 언론의 횡포에 의해 사회로부터 매장되어 가는 과정을 담은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를 발표하고, 1979년에는 환경 문제를 다룬 소설 ≪신변 보호≫를 발표했다.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한 활동을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행동으로도 실천했던 뵐은 1985년 동맥경화로 세상을 떠났다. 사망 이후 ‘쾰른 문학상’은 ‘하인리히 뵐 문학상’으로 개칭되었고, 쾰른 루트비히 박물관의 광장도 그의 이름을 땄으며, 독일의 열세 개 학교에는 하인리히 뵐의 이름이 붙었다.
1967년 독일 최고 권위의 문학상인 ‘게오르크 뷔히너 상’을 수상한 그는, 1971년 독일인으로는 최초로 국제펜클럽 회장으로 선출된다. 이미 독일 국내에서 정치적, 사회적 현안에 대해 의견을 표명하는 데 거침이 없었던 그는 국제펜클럽 회장이 된 후 박해받고 있는 여러 나라의 작가들을 돕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현실적으로뿐 아니라 문학적으로도 항상 사회에서 소외받고 억압당하는 약자의 편에 서고자 했던 그의 작품 세계는 1972년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더더욱 많은 주목을 받았다. 현재 그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받는 독일 작가의 하나로 꼽힌다. 1985년에 세상을 떠났다.
옮긴이
곽복록은 서울대학교 문리대 독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독문학 석사 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에서 독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서강대학교에서 독문과 교수를 지냈고, 서강대학교 명예 교수를 지냈다.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사무국장과 전무이사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독일 문학의 사상과 배경≫이 있고, 역서로는 리하르트 프리덴탈의 ≪괴테, 생애와 시대≫, 토마스 만의 ≪마의 산≫ 등이 있다.
차례
아담, 너는 어디에 가 있었나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일로너가 노래를 계속해서 부르고 있는 동안에 밖으로부터는 숨을 죽인 정적이 밀려 들어왔다.
‘예수 그리스도를 낳으신 성모….’ 그는 떨리는 손가락으로 권총을 집어 들었다. 몸을 돌려 무턱대고 여인을 쐈다. 그녀는 쓰러져서 소리 지르기 시작했다. 이제 그녀의 목소리가 노래를 더 부르지 않게 되자 자신의 목소리를 다시 찾아냈다. “죽여.” 그는 외쳤다. “다 죽여. 빌어먹을 합창단까지도 다 죽여. 막사 밖으로 끌어내.” 그는 바닥에 누워 고통 속에서 불안을 토해 내고 있는 여인 위에다 총탄을 마구 쏘아서 탄창을 비웠다.
밖에서도 학살이 시작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