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연출 면에서 애니메이션의 매력을 표출하는 근간은 무엇인가. 또 그런 요소들은 제작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여기에서는 먼저 애니메이션이 지니는 예술적 가치와 미학적 논의를 통해 미장센 요소들을 분석한다. 특히 애니메이션 이미지와 디자인, 캐릭터와 배경, 색채와 선, 이미지와 사운드, 타이밍, 특수효과 등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요소들을 주목해 다루면서 애니메이션의 운동 이미지와 움직임은 어떤 방식으로 창조되는지를 살펴본다. 애니메이션은 시간과 공간이 적절하고 긴밀하게 통합된 관계 속에서만 완전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은이
이상원
한성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 전공 교수다. 한국애니메이션학회 명예회장, 한국도시문화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영국 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 수학(PEP), UCA 예술대학원에서 애니메이션을 공부했고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작 표현 연구, 캐릭터 디자인, 애니메이션 기획 등을 주로 가르치고 연구하는 한편, 꾸준히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공공기관 평가위원,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위원, 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 자문위원, 문화기술(CT)R&D전략기획추진단, 디지털콘텐츠정책포럼 위원, 무주 태권도원 핵심 콘텐츠 제작 총감독으로 활동한 바 있다. 한국애니메이션학회 회장, 국제애니메이션영화협회 한국지부(ASIFA Korea) 부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애니메이션으로 <효민 아빠의 생일 파티>(2017), <꿈이 이루어지는 흥천사(정릉원찰)>(2015), <아생여당 애니메이션>(2014), <지수화풍>(2014), <태권 히어로즈>(2013), <속리산 도깨비>(2009), (1999), (1998)을 제작했다. 주요 저서로는 『고등학교 미술』(2011), 『디지털콘텐츠제작을 위한 애니메이션 워크북』(2009), 『디자인분야 논문작성실제』(2001), 『광고와 마아케팅』(1991) 등이 있다.
차례
01 애니메이션 미장센과 미학
02 애니메이션 이미지와 디자인
03 캐릭터와 배경
04 색채와 선의 매력
05 이미지와 사운드
06 애니메이션 운동 이미지와 움직임의 창조
07 창조적 상상력, 대상물 속성에 의한 극적 장면 연출
08 타이밍 연출
09 특수효과와 편집
10 뉴미디어 출현에 따른 애니메이션 연출 방식 다양화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루이스 자네티(Louis Gianetti)는 체계적 미장센 분석을 위한 요소로 프레임(frame), 구도와 디자인(composition and design), 지배 공간(territorial space), 접근 양식(proxemic patterns), 열린 양식과 닫힌 형식(open and closed forms)으로 큰 범주로 잡고 15가지의 세부적인 요소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했다. 이런 미장센 분석은 실사영화의 미장센 이론으로 정립되면서 최근 디지털 기술 발달에 실사영화, 애니메이션, 디지털 영화 등 각기 다른 특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애니메이션 미장센과 미학’ 중에서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배경 디자인은 움직임과 TV 시청 경험의 중심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대략 구분된다. 캐릭터가 화면에서 움직인다고 해서 시청자의 주목을 끄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배경은 정적이고, 캐릭터의 행동을 뒷받침하는 분위기 연출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학적 측면에서는 캐릭터와 배경 디자인은 똑같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관객들은 캐릭터는 가장 잘 기억하지만 배경 그림에 대해서는 비중을 적게 두는 경향이 있다.
‘캐릭터와 배경’ 중에서
애니메이션에서 성격 표현은 가장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그것을 실현하는 데는 회화 기법, 연출법, 타이밍 등을 교묘하게 구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성격은 선, 크기 그리고 자세(line, size and pose)로 표현할 수 있다. 선의 모든 요소, 즉 두꺼움, 정밀함, 긴장감 그리고 선과의 관계성들은 그리는 과정에서 실험되고, 증명되고 또한 조정되어야 한다. 상냥한 기분일 때에는 부드러운 곡선으로, 공격적인 기분일 때에는 투박하고 긴장감을 느끼게 하는 선, 즉 유기적 관계에 의한 변화 있는 표현이 요구된다.
‘색채와 선의 매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