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한국야스퍼스학회의 두 번째 단행본으로, 현대인들의 소외된 영혼을 치유할 수 있는 사유에 방점을 찍었던 첫 번째 책(≪칼 야스퍼스, 비극적 실존의 치유자≫)과는 달리 폭넓은 야스퍼스 철학의 면모를 보여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야스퍼스 철학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친 사상가들과의 비교 연구를 시도하고 있는데, 독자들은 노자에서 프랑클에 이르는 동서고금을 망라하는 다양한 철학자들을 한 권의 책에서 만나게 된다. 덕분에 형이상학, 정치학, 정신분석학 등 여러 가지 분과 철학들을 접할 수 있어 철학 일반에 대한 입문서 역할을 겸한다는 것도 이 책이 지닌 미덕이라고 하겠다.
소장학자부터 원로 교수, 해외 저자들의 논문을 수록한 이 책은 야스퍼스 철학의 전체를 보여 주기 위해 그의 화두였던‘철학함’을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한다. ‘철학하기’야 말로 실존이 되기 위한 전제일 뿐만 아니라, ‘실존됨’자체의 요소이기 때문이다.
현존재에서 벗어나 실존이 되는 것은 존재 차원의 변화이기에, 경험적이거나 비언어적인 요소를 갖기도 한다. 그 때문에 믿음의 차원(<철학적 신앙: 야스퍼스와 플로티노스 비교를 중심으로>)에서 혹은 동양적인 사유(<야스퍼스의 초월자와 노자의 도(道)에 대한 이해 방식의 공통성>)로서 야스퍼스의 철학을 살펴보기도 하지만, 그러한 논의에서조차 명증한 사유의 불꽃은 한 순간도 꺼지지 않는다. 사유의 흐름은 나의 실존됨에서 머물지 않고 타인과 세계의 실존됨에까지 나아가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사와 정치(<야스퍼스의 칸트 ≪영구평화론≫ 해석: 폴커 게르하르트, 위르겐 하버마스와 대비해> 등), 예술(<야스퍼스와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본 과학 기술 시대의 예술의 역할>) 등 세계의 다양한 영역에서 실존됨의 가능성을 제기한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야스퍼스의 사유가 형성될 수 있었던 개인사적인 고찰과 학문적 영향 관계도 놓치지 않는다. 그의 철학에서 해석학(<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적 현상학과 후설의 현상학>)이나 지멜(<지멜과 야스퍼스에서의 삶과 정신의 문제 >)의 영향을 읽어 내기도 하며, 제자였던 아렌트와의 관계(<반나치주의 철학: 하나 아렌트와 카를 야스퍼스>)도 상세하게 복원하고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철학자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야스퍼스가 그랬듯 ‘철학하기’ 즉 삶과 철학의 관계를 고민할 것을 요구한다.
200자평
야스퍼스의 철학에 영향을 미친 아홉 명의 사상가들과 야스퍼스의 관계를 밝힌 논문들을 엮었다. 실존철학의 태두로 기억되는 야스퍼스의 다양한 면모가 드러나는데, 그의 화두였던 ‘철학하기’가 그것들을 관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자, 플로티노스, 칸트, 지멜, 후설, 하이데거, 아렌트, 하버마스, 프랑클 등과의 관계를 다룬 논문들은 형이상학, 정치학, 정신분석학 등 다양한 분과 철학을 망라하고 있어서 철학 입문서의 역할도 겸한다.
엮은이
박은미는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건국대학교 교양학부 강의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칼 야스퍼스, 비극적 실존의 치유자≫(공저), ≪삶이 불쾌한가-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철학의 눈으로 읽는 여성≫(공저) 등이 있다.
박혁은 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와 에를랑겐대학교에서 정치학, 철학, 신학을 공부했다. 에를랑겐대학에서 하나 아렌트의 정치철학에 관한 논문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지금은 대학에서 강의하고 있다.
백승균은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서양 철학을 전공했다. 독일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계명대학교 철학과에서 재직했고, 대한철학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는 계명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다. 저서로 ≪변증법적 비판이론≫, ≪철학적 인간학≫, ≪호스피스 철학≫, ≪세계사적 역사인식과 칸트의 영구평화론≫, 역서로 ≪삶의 철학≫, ≪역사의 기원과 목표≫, ≪비판이론서설≫, ≪인식의 철학 I. II.≫ 등이 있다.
신옥희는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종교철학을 전공했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고 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이화여대 명예교수다. 저서로 ≪일심과 실존: 원효와 야스퍼스의 철학적 대화≫, ≪철학하는 방법≫(공저), 역서로는 ≪철학적 신앙≫,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등이 있다.
이진오는 연세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서양 철학을 전공한 후, 독일 튀빙겐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경희대학교 연구박사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칼 야스퍼스, 비극적 실존의 치유자≫(공저), 역서로는 ≪니체와 기독교≫가 있다.
정영도는 영남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뮌헨대학교 세니오렌스타디움(SENIOREN-STUDIUM)에서 5년간 수학했다. 현재는 동아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다. 저서로는 ≪야스퍼스 철학의 근본문제≫, ≪니체의 사랑과 철학≫, ≪현대유럽철학≫ 등이 있고, 역서로는 ≪야스퍼스의 철학 사상≫, ≪초월자의 암호≫등이 있다.
최양석은 연세대학교 철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는 강릉원주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칼 야스퍼스, 비극적 실존의 치유자≫(공저)가 있다.
홍경자는 한양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철학과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칼 야스퍼스, 비극적 실존의 치유자≫(공저), ≪인문치료학의 모색-인문학의 치유적 활용≫(공저)가 있다.
핀츠는 철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을 공부한 후 독일 콘츠탄츠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로고테라피 치료사(LOGOTHERAPEUTIN) 자격 과정을 이수한 후에는 1998년 의미-정향 상담 연구소(INSTITUT FÜR SINN-ORIENTIERTE BERATUNG)를 설립했다. 주요 저서로는 ≪DIE KUNST DER BERATUNG≫이 있다.
람브레히트는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사회학 정교수(PROFESSOR FÜR SOZIOLOGIE AN DER UNIVERSITAÄT HAMBURG)로 재직했으며, 퇴직 후 독일 브레멘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PHILOSOPHIE, LITERATUR UND POLITIK VOR DEN REVOLUTIONEN VON 1848≫와 ≪DEMOKRATIE UND GESCHICHTSPHILOSOPHIE DES 20. JAHRHUNDERTS≫(공저) 등이 있다.
차례
서문
정영도 야스퍼스의 초월자와 노자의 도(道)에 대한 이해 방식의 공통성
최양석 철학적 신앙: 야스퍼스와 플로티노스 비교를 중심으로
백승균 야스퍼스의 칸트 ≪영구평화론≫ 해석: 폴커 게르하르트, 위르겐 하버마스와 대비해
홍경자 지멜과 야스퍼스에서의 삶과 정신의 문제
이진오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적 현상학과 후설의 현상학
신옥희 야스퍼스와 하이데거의 관점에서 본 과학 기술 시대의 예술의 역할
박혁 정치, 철학, 자유: 아렌트와 야스퍼스의 자유 개념
람브레히트 반나치주의 철학: 하나 아렌트와 카를 야스퍼스
박은미 의사소통과 실존적 상호소통: 하버마스와 야스퍼스의 소통 개념에 관해
핀츠 ‘실존적 예술’로서의 상담: 빅토어 프랑클과 카를 야스퍼스의 밀접한 연관성에 대해
지은이에 대해
책속으로
야스퍼스가 말하는 현존(재)적 소통은 하버마스가 말하는 영향 발휘를 목적으로 하는 전략적 행위의 연결과 유사하고 야스퍼스가 말하는 실존적 상호소통은 하버마스가 주장하는 의사소통 행위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 야스퍼스 역시 하버마스와 마찬가지로 유보 없는 개방성을 주장한다. 야스퍼스의 소통도 서로에게 물음을 허용함으로써 자신을 열어젖히고 상대방을 열어젖히는 개방의 과정이다. 야스퍼스에게 “물음은 영혼의 비판과 정화를 위한 도구”이기 때문에 소통 안에 있는 실존은 소통 안에서 점점 더 정화되어 간다. 야스퍼스의 실존은 정화의 과정을 견지해 내기 때문에 의사소통 행위에서의 자기기만의 문제나 전략적 행위의 과잉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의사소통과 실존적 상호소통: 하버마스와 야스퍼스의 소통 개념에 관해>
아렌트는 소통하는 철학에 대한 야스퍼스의 방법론을 우선은 소크라테스의 산파술과 유사한 것으로 보지만 야스퍼스의 소통이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말한다. “소크라테스와 같이 야스퍼스에게도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난 실존을 영위하는 철학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야스퍼스에게는 질문하는 자가 갖는 소크라테스적 우월함이 결코 없다. 왜냐하면 소통 안에서 철학자는, 근본적으로 그가 그들에게 호소하듯 그들도 그에게 호소할 수 있는, 자신과 평등한 사람들 아래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정치, 철학, 자유: 아렌트와 야스퍼스의 자유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