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1993년 여름 창간된 계간 ≪언론과 사회≫는 사회 속의 언론현상, 즉 사회라는 콘텍스트 속에서 언론이라는 텍스트가 갖는 다양한 관계와 그 의미에 관심을 갖는 전문연구자들에게 거침없이 열려 있는 새로운 연구와 논쟁의 장이고자 한다.
≪언론과 사회≫는 ‘사회 속의 언론’을 바라보는 연구자의 시각이나 그것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기반, 그리고 그에 대한 접근방법이 어떠하든 간에 학문적 엄격성과 충실성에 의거하는 한 모든 연구자에게 열려 있는 또 하나의 지적 공간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학술적 포럼을 지향하고 있다.
지은이
김수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정체성’ ‘젠더 이슈와 미디어 재현’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 <소녀 이미지의 볼거리화와 소비 방식의 구성 : 소녀 그룹의 삼촌 팬 담론 구성> 등이 있다.
김수정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 동 대학의 신문학과 석사학위를,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샌디에고(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 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있다. 대중문화와 문화이론을 전공으로 하며, 특히 텔레비전을 둘러싼 문화현상과 문화 세계화(한류)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저서로는 ≪TV 이후의 텔레비전: 포스트 대중매체 시대의 텔레비전 문화 정경≫(공저, 2012a), ≪관점이 있는 한국 방송의 사회문화사≫(공저, 2012b)이 있고, Rereading David Morley’s The Nationwide Audience, Interpreting transnational cultural practices: social discourses on a Korean drama in East Asian countries 등의 논문이 있다.
이정기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교수학습지원팀 책임연구원이다.‘로컬 콘텐츠연구원’ 연구위원을 겸하고 있다. 융합 이론과 방법론을 활용한 데이터 수집, 데이터에 기반을 둔 언론정책법제 연구를 지향하고 있다. 미디어 효과, 정치 커뮤니케이션, 교육 커뮤니케이션 연구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표현, 언론 그리고 집회결사의 자유≫(2011), ≪계획행동이론, 미디어와 수용자의 이해≫(2013), ≪온라인 뉴스 유료화 전략≫(2013)이 있다.
차례
‘집단적 도덕주의’ 에토스
: 혼종적 케이팝의 한국적 문화정체성
김수정 ㆍ 김수아
명예훼손 소송에 있어 ‘집단표시’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관련 판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