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993년 여름 창간된 계간 ≪언론과 사회≫는 사회 속의 언론현상, 즉 사회라는 콘텍스트 속에서 언론이라는 텍스트가 갖는 다양한 관계와 그 의미에 관심을 갖는 전문연구자들에게 거침없이 열려 있는 새로운 연구와 논쟁의 장이고자 한다.
≪언론과 사회≫는 ‘사회 속의 언론’을 바라보는 연구자의 시각이나 그것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기반, 그리고 그에 대한 접근방법이 어떠하든 간에 학문적 엄격성과 충실성에 의거하는 한 모든 연구자에게 열려 있는 또 하나의 지적 공간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학술적 포럼을 지향하고 있다.
지은이
강보라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있다. 영상콘텐츠의 생산과 생비자의 정체성 간의 관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미디어 담론의 재현과 수용 과정을 탐색하는 데에 관심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포장마차의 풍경사>, <텔레비전 리얼리티 게임쇼의 게임성과 실재성> 등이 있다.
김상호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저서 및 논문으로 ≪미디어의 이해≫(역),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nd the Extinction Vortex: Technology as Denial of Death≫, <한국 텔레비전 테크놀로지의 사회적 수용>, <기술 논의의 전개과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해롤드 이니스의 커뮤니케이션 사상>, <엔텔레키를 중심으로 해석한 맥루한의 미디어 개념>, <맥루한 매체이론에서 인간의 위치>, <확장된 몸, 스며든 기술: 맥루한 명제에 관한 현상학적 해석> 등이 있다.
양은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위험사회에서의 위험담론의 생산’, ‘글로벌리제이션과 미디어 재현’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민족의 역이주와 위계적 민족성의 담론 구성>, <글로벌 위험 보도와 국가주의> 등이 있다.
유선영
이화여대 신문방송학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전공으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공회대학교 HK교수, Journal of Inter-Asia Cultural Studies 편집위원(현). 저서 및 논문으로는 식민시기 문화사의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면서 식민지 근대성, 대중문화, 주체성의 역사에 천착하여 <한국 대중문화의 근대적 구성>(박사학위논문, 1993)을 비롯한 <홑눈 정체성의 역사>(1998), <근대적 대중의 형성과 문화의 전환>(2009), ≪한국미디어사회문화사≫(2007), <편쌈소멸의 문화사: 식민지의 근대주의와 놀이 대중의 저항>(2010), <식민지의 스티그마정치>(2011), <답례로서 연예:1920년대 문화적 민족주의의 연예>(2014) 등 다수를 발표했다.
이완수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언론학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주리대학교 저널리즘 스쿨에서 수학했다. 헤럴드경제 청와대 출입기자와 국제부장을 지냈다. 현재 동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논문과 책으로 <메멘토 모리의 정치학>, <경기국면에 따른 경제커뮤니케이션 효과의 비대칭성>, <미디어 이벤트유형 연구>, ≪경제와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다. 경제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죽음에 대한 사회적 기억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다.
조항제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책임연구원, 미국 텍사스대학교 방문교수, 한국언론정보학회 편집위원장과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한국의 민주화와 미디어권력≫, ≪한국 방송의 역사와 전망≫, ≪한국 방송의 이론과 역사≫, ≪한국 공영방송의 정체성≫ 등이 있고, 역서에는 ≪민주주의와 공론장≫이 있다.
최명일
한양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남서울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대통령 죽음에 대한 집단기억>, , <한국과 미국의 PR 연구 경향 분석> 등이 있다. 주 관심분야는 헬스 커뮤니케이션, 위험커뮤니케이션, 공공캠페인 등이다.
차례
박정희의 역사적 유산에 대한 미디어의 기억형성(memory-building) 방식: 미디어의 이념적 차이와 기억의 차이 비교
이완수 · 최명일
위험에 처한 몸: ‘생활습관병’의 사회적 구성과 위험의 개인화
양은경
건강 먹거리 담론 수용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강보라
미디어 존재론: 시몽동의 ‘개체화’를 통해 본 매클루언의 미디어론
김상호
시각기술로서 환등과 식민지의 시각성
유선영
Critical Forum
한국언론의 공정성 재조명: 윤석민의 ≪미디어공정성 연구≫
조항제
저자 소개 (가나다순)
원고 작성 요령
원고 투고 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