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에세이만화는 작가가 자신의 삶을 소재로 스스로 작품의 화자가 되어 동시대의 현실을 독자와 공유하는 스타일의 만화를 통칭하는 것이다. 작가의 자전적 서사와 개인적 담화의 유행은 21세기 들어 만화뿐 아니라 문화계 전반에 나타난 현상으로, 이는 국내외 정치사회적 변화는 물론 디지털 패러다임 도래와 맞닿아 있다. 에세이만화는 소재의 범위와 서사 구조를 확장해 장르의 다양성을 확장한다. 또 고백이나 고발로 객관적인 자기 성찰의 기능을 해 치유의 효과를 낳기도 한다. 지금, 전 세계적인 에세이만화 현상의 의미를 읽는 일은 향후 만화의 장르가 진화해 갈 방향과 소비 영역을 넘어 사회·문화적으로 확대되는 만화의 기능적 측면까지 가늠케 할 것이다.
지은이
조윤숙
전주대학교 게임콘텐츠학과 교수다. 1994년 서울문화사 신인만화가공모전으로 데뷔했으며, 독립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몽상가’에서 단편 애니메이션 작업을 했다. 중앙대학교에서 매체 연구의 관점에서 만화를 연구했고, 이후 만화 작업 확장을 위해 캘리포니아 이스트베이주립대학교에서 멀티미디어와 게임 디자인을 공부했다. ‘칸칸상상’이라는 만화 관련 콘텐츠 제작 회사를 설립해 학생, 지역 단체들과 웹툰, 페이퍼 토이, 패키지 디자인, 만화 매뉴얼, VR 게임 스토리 개발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지역브랜드 마케팅을 위한 캐릭터패키지 디자인 연구”(2016), “대중적 표현매체로서의 포툰의 매체적 특성 및 기능에 관한 연구”(2010), “협동성 교육을 위한 움직임 기반 아케이드 게임 디자인 연구”(2008) 등이 있다.
차례
01 에세이만화의 범위와 기준
02 에세이만화의 등장 배경
03 일상툰: 사색적 자아
04 취향·취미만화: 쾌락적 자아
05 자전만화: 고백적 자아
06 르포만화: 저널리스트적 자아
07 에세이만화와 만화 치료
08 에세이만화와 교육
09 에세이만화와 의료
10 에세이만화 프로젝트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에세이만화 / 조윤숙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판타지 복합장르 애니메이션의 구조 / 이혜원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할리우드 장편 애니메이션의 내러티브 구조 / 박재우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성환 / 방희경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승운 / 서찬휘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현재 영미권의 에세이는 작자의 논리적 분석력을 보여 주는 ‘중수필’에 가까운, 학계의 ‘리포트(report)’나 ‘페이퍼(paper)’ 등과 혼용되어 쓰이는 용어다. 한편 한국에서 에세이는 수필의 사전적 개념대로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인생이나 자연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느낌이나 체험을 생각나는 대로 쓴 산문 형식의 글로서 화자가 작가와 동일하기 때문에 작가의 개성이나 인간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유머, 위트, 기지가 들어 있는 ‘경수필’의 개념에 가깝게 쓰이고 있다.
‘에세이만화의 범위와 기준’ 중에서
1990년대 후반, 누구나 쉽게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자유롭게 콘텐츠를 생산해 게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많은 사람들이 직접 제작한 이미지, 텍스트 등을 게시하기 시작했고, 이는 곧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입소문을 통해 퍼져 나가기 시작했다. ‘만화로 그린 일기’에 가깝던 초창기의 일상툰은 다양한 개인 창작물의 일종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소소한 일상을 스케치한 만화를 인터넷 게시판과 개인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그중에서 유명해진 작품들은 단행본이나 캐릭터 상품으로 제작되는 등 자체 수익 모델을 만들며 만화계의 판도를 바꿔 가기 시작했다.
‘에세이만화의 등장 배경’ 중에서
이렇게 자전적이고 사색적인 이야기에서 작가는 대부분 실제 모습과 거리가 먼, 카툰화된 캐릭터를 통해 형상화되지만 독자는 캐릭터의 목소리를 작가의 자기 고백으로 상정한 ‘투명한’ 읽기를 하게 된다. 작가의 자기 고백은 개인적 인간관계나 내면 의식에서 유래하는 슬픔이나 우울, 고독, 무기력, 허무 같은, 보통은 사회에서 ‘부정적’이라 교육받은 감정부터 외부의 거대한 사회적 현상에 훼손되지 않는 나만의 사적인 생활을 창조하고 지켜 간다는 데서 오는 행복, 만족감, 자존감 등의 긍정적 감정까지 포괄한다.
‘일상툰: 사색적 자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