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언론인들은 근본적으로 언론과 정부의 관계에 대해 기본적인 인식에서부터 정부와 확연히 다른 입장을 지니고 있다. 정책홍보 담당자들은 언론과의 관계를 견제와 공생 관계가 혼재된 관계라고 인식하는 반면에, 언론인들은 시종일관 언론과 정부의 관계를 견제 관계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본 인식의 차이는 당연히 정부의 정책홍보를 바라보는 시각에서부터 정책홍보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정보 홍보 담당자들은 언론이 정부를 바라보는 시각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정부 정책홍보에 임할 필요가 있다.
200자평
빈발하는 국정 위기 상황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정부와 국민 간의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국정 소통 연구가 왜 필요할까? 역대 정부의 PR 시스템을 분석하고 뉴미디어 시대의 PR 전략을 제안한다. 미국산 쇠고기 협상, 세종시, 4대강 개발 사업, 천안함 사태 등의 사례별 국정 소통 실태를 분석하고, 정부 신뢰 제고를 위한 국정 소통 증진 방안을 제시한다.
지은이
황상재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방송개발원(현 콘텐츠진흥원) 뉴미디어 연구팀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원으로 일했다. 미디어경영학회 회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조직커뮤니케이션 이해』(2006), 『국제커뮤니케이션』(2008)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포털미디어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2006) 등이 있다. 미디어 경영, 커뮤니케이션 전략, 뉴미디어 정책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한다.
손동영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조교수, 남플로리다 대학교 조교수로 일했다. 논문으로는 “Anatomy of interaction experience: Distinguishing sensory, semantic, and behavioral dimensions of interactivity”(2011), “Cultural difference in motivations for using social network sites: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and Korean college students”(2011), “A structural solution to communication dilemmas in a virtual community”(2007) 등이 있다. 커뮤니케이션 네크워크론, 매체사회학, 전략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한다.
조용현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이다. 극동대학교 강사(언론홍보학과 광고/홍보 전공), G커뮤니케이션즈 책임연구원, 한국미디어경영학회 간사로 일했다. 논문으로는 “다문화 기업에서 문화적 차이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 한국인과 중국인 직원을 중심으로”(2011), “한미 FTA 관련 주요 stakeholder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한미 FTA 타결 시점을 중심으로”(2010), “노사 커뮤니케이션 개념의 탐색적 고찰: 상호지향성 모델의 적용 가능성”(2010) 등이 있다. 조직 커뮤니케이션, 사내 커뮤니케이션 및 조직 문화 진단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한다.
박성순
한양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이다. EBS 위촉연구원,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편집간사, 한대신문 편집간사로 일했다. 논문으로는 “지상파방송사업자와 유료방송사업자 간 방송 분쟁에 대한 법적 판단 기준에 관한 연구”(2012), “한류 문화산업에 대한 비판적 제언과 전망”(2011) 등이 있다. 언론정책 및 제도, 언론법, 뉴미디어에 대한 연구를 한다.
차례
머리말
01 정부와 언론 관계 분석의 필요성
1. 연구 배경과 목적
02 정부와 언론 관계
1. 정책 홍보와 언론
2. 정부와 언론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시각
3. 정부와 언론 관계에 대한 설문 조사
4. 심층 인터뷰
5. 소결
03 역대 정권 홍보 변천과 실증 조사
1. 역대 정권 홍보 변천 과정
2. 노무현 정부(참여정부)의 정책 홍보 방식
3. 이명박 정부의 정책 홍보 방식
4.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정책 홍보 방식 비교 설문 조사
5. 심층 인터뷰
6. 소결
04 주요 정책 이슈에 대한 프레임 분석
1. 정부 정책과 갈등
2. 뉴스 프레임
3. 한미 FTA 이슈에 대한 프레임 분석
4. 행정중심복합도시 이슈에 대한 프레임 분석
5. 결과 요약과 정책적 제언
05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정부 정책 PR의 진단과 발전 방향
1. 인터넷 여론의 폭발력
2. 소셜 미디어의 등장과 여론 형성의 변화
3.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정부 정책 PR 현황과 제언
06 정책적 제언
1. 정부와 언론과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한 정책적 제언
2. 정책 이슈에 대한 프레임 분석 결과에 따른 정책적 제언
3.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정부 정책 PR의 진단과 발전 방향
참고문헌
설문지 <언론용>
설문지 <정부용>
책속으로
정부와 언론과의 바람직하지 못한 관계는 정부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초래하고 더 나아가 정부와 언론에 대한 국민 신뢰 저하라는 사회적 부작용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이 연구는 민주사회의 핵심 과제인 효율적인 정부 정책 홍보를 위한 ‘정부와 언론과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 방안’을 찾자는 목적하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_ “1장 정부와 언론관계 분석의 필요성” 중에서
신문의 책임성에 대한 부분에서는 다른 의견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의 정파성이라는 것은 신문이 다양한 의견을 국민에게 전달하는 데 있다는 입장이며, 국가 정책이라는 측면에서 언론(신문)이 사회 통합성을 이루어 나갈 수 있어야 하지 않느냐에 대한 질문에 대해 언론인들은 매체로서의 언론의 기능 축소를 근거로 들어 지나치게 큰 책임 요구는 어렵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_ “2장 정부와 언론관계” 중에서
역대 정부의 언론에 대한 정책 홍보 방안에 대한 고찰과 이후, 현재 정권인 이명박 정부와 노무현 정부의 정책 홍보 방안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는 문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부 홍보 담당자와 언론인들의 기본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함이며, 또한 설문 조사의 문항을 정교하게 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_ “3장 역대 정권 홍보 변천과 실증 조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