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이 책은 디지털 시대로의 진입에 따른 영상매체의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용성과 그 효과를 다룬 경험적 연구서이다. 특히 영상매체의 태동 및 디지털 영상매체의 성장 배경을 전통적 대중매체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함께 검토하였고, 영상매체의 수용과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제적 현안을 전개하였다.
지은이
오세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5년 현재 안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술로 “90년대 스타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텔레비전 영상의 문화적 의미와 미학적 가치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차례
제1장 영상매체의 연구
1. 커뮤니케이션 연구영역으로서의 영상매체
2. 영상매체연구의 의의
제1장 정리와 연습문제
제2장 영상매체의 이해
1. 영상매체 발전과 사회 변화
2. 디지털 시대와 영상매체의 위상
제2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3장 영상매체의 특성
1. 영상의 개념과 인식
2. 영상매체의 특성
3. 텔레비전 영상의 특성
제3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4장 영상매체기술의 사회적 전개
1. 매체기술의 현실화 과정
2. 영상매체기술의 사회적 확장
3. 수용자 속박과 무한한 잠재성
제4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5장 디지털 영상매체의 확산
1. 개념과 의의
2. 분류
3. 수용적 특성
제5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6장 영상매체와 문화
1. 대중매체와 문화 연구
2. 영상매체의 문화 생산 구조와 의미
4. 영상문화의 상징과 정체
5. 영상문화의 가치
제6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7장 영상매체의 미학적 가치
1. 영상매체의 일상성
2. 매체미학:미적 대상과 미적 체험
3. 영상매체의 미학적 요소
4. 영상매체의 미학적 가치:관찰에서 체험으로
5. 시뮬라시옹과 스펙타클적 사회로의 진입;현실에서 ‘구성된 현실’로
제7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8장 메인 스트림으로서의 영상매체
1. 데이터스피어:권력 기반의 도구에서 대중의 무기로
2. 열린 토론
3. 영상 혁명:대안 매체의 전략적 힘
제8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9장 바이러스 배양으로서의 영상매체
1. 경험의 대체와 지식의 몰수
2. 생물학적, 심리학적 악영향과 매체 모방의 불행
3. 본질의 제거와 대중의 소외
제9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10장 사회 구조
1. 조직 관계와 권력 관계
2. 커뮤니케이션 구조:매체 시스템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로
3. 커뮤니케이션 양식:시간 개념의 변화와 공간 감각의 확대
제10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11장 심리와 수용성
1. 지각
2. 인지
3. 인성
4. 수용적 역학
제11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제12장 미래 가치와 전망
1. 기술 가치
2. 시장
3. 사회적 가치와 정책적 전망
제12장의 정리와 연습문제
추천글
이 책은 디지털과 영상에 대해서 그동안 출간된 수많은 전문 서적을 뛰어넘는 그 무엇인가를 담고 있다’. 기술, 사회, 문화를 적절히 배합하여 디지털과 영상을 다루고 있는 통합성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성은 책의 목차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 책이 뛰어난 구성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내가 주시하던 대로 저자는 기술결정론자라기 보다는 사회문화론자의 입장에 서 있다. 그리고 단순히 학문적인 연속성 상에 놓이기 보다는 직접 영상산업의 현장으로 뛰어들어 나름대로 수년 동안 실무의 실과 허를 경험하고 이 책을 마무리하는 놀라운 지구력을 발휘했다. 그러니 이 책은 이와 비슷한 제목을 가진 다른 전문 서적과 차별화되는 또 하나의 바탕을 이룬 것이다. 내가 이 책을 감히 추천하려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 전석호(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 책은 디지털 미디어가 대중매체로부터 어떻게 진화되어왔는가 뿐만 아니라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매체기술적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 미학적 관점 등 다각적인 시각에서 검토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메시지에 대한 수용자 개인의 지각, 인지, 인성, 프라이버시 등과 같은 ‘미시적 관점 또는 개인적 효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만하다.
– 유홍식(서울여대 언론영상학과 교수)
저자는 영상매체의 기술적 특성과 기능에만 함몰되지 않고 수용자의 역할과 사회문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영상매체의 사회적 부작용에 대한 분석은 전세계적 흐름인 디지털 기술에 집중되어 있는 산업적 기대가치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디지털시대의 영상매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 최용준(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