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저자는 2004년 3월부터 초중등학교에서 영화교육이 부분적으로나마 진행되기 시작하면서 체계적인 영화교육을 위한 개념과 이론, 교재 등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이러한 측면의 미비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합니다. 저자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교육으로서의 영화교육이 모든 사람을 스티븐 스필버그감독으로 만들 필요가 없다고 강조합니다. 초·중등교육에서의 영화교육은 기술적인 전문교육보다는 최소한의 영상 이미지를 통해 자신과 타자 간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소양교육이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이미지와 영상을 적절히 해독하는 ‘영화로서의 영화’ 교육에서 시작하여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영화교육, 나아가 영상 미디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구사하는 시네리터러시를 갖추어 교육의 진정한 목적에 부합되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영화교육의 확대는 21세기 정보화시대에 필요한 인재 양성의 교육적 측면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사항입니다. 비록 다른 나라들에 비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한국영화의 힘이 폭발하기 시작한 최근의 추세에 뒤떨어지지 않게 이제부터라도 영화교육을 위한 시스템, 즉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재개발, 교사프로그램을 구축할 당위적 상황이라는 것이 저자가 강조하는 바인 것입니다.
저자 이아람찬은 영화학을 전공하고, 전공학생들 뿐 아니라 초?중등교육 과정에서의 영화교육의 체계화를 위해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였고, 현재 영국에서 선진국의 영화교육 동향을 연구하면서 우리나라 영화교육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초?중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영화에 대한 소양을 함양시키기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는 교사들 뿐 아니라 다양한 학습현장에서 영화를 주제 혹은 소재로 한 교육의 필요성에 관심을 가진 많은 사람들에게 앞으로 열려나가야 할 영화교육의 기본지침을 제공하는 유익한 교재가 될 것입니다.
200자평
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호주 등에서는 1950년대부터 영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각예술, 영화교육, 미디어교육의 범주 안에서 영화교육을 진행해 왔다. 한때 영화분야에서 앞서있던 구소련 등 사회주의국가에서는 영화를 오락보다는 대중에 대한 체제교육과 선전선동의 매체로 활용하기도 했다.
지은이는 초중등학교에서 영화교육이 부분적으로나마 진행되기 시작하면서 체계적인 영화교육을 위한 개념과 이론, 교재 등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이러한 측면이 미비하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해 영화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비록 다른 나라들에 비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이제부터라도 영화교육을 위한 시스템, 즉 교육목표, 교육과정, 교재개발, 교사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은이
이아람찬
동국대학교 대학원 영화학과를 졸업하고 건국대학교와 충북대학교에서 영화이론을 강의했으며, 2005년 현재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교(University of Southampton)에서 영화이론 박사논문과 한국과 영국의 영화교육 양상을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영화교육과 관련된 연구로는 ‘영화교육의 패러다임’, ‘영상교육, 그 대안을 찾아서 : 시네리터러시(cineliteracy)를 중심으로’, ‘초.등 영화교육을 위한 기초교육개념 연구'(공동연구), ‘고등학교 영화교재 분석 및 대안교과서 연구'(공동연구) 등이 있으며, 한국영화학회 영화교육위원회 정책연구원 및 중학교 영화교과서 집필위원으로 활동했다.
차례
저자서문
제1장 영화교육의 개념
1. 영화교육의 개념
2. 문화예술로서 영화교육
3.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2장 영화교육의 목표
1. 영화교육의 중요성
2. 영화교육의 목표
제3장 영화교육의 내용
1. 영화교육의 다양한 스펙트럼
1.1. 통합교과 형태의 영화교육
1.2. 독립교과 형태의 영화교육
1.3. 전문교과 형태의 영화교육
2. 영화교육의 내용
제4장 영화교육과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정의적 접근
1.1. 교육과정의 개념
1.2. 교육과정 변화의 흐름
2.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과 논쟁
2.1.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
2.2.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논쟁
3. 영화교과 교육과정
3.1. 영화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모델
3.2. 구성주의를 통한 영화교육
3.3. PBL 중심의 영화교육
3.4. 영화교과 표준 교육과정
제5장 영화교육 교수.학습 이론 및 평가
1. 영화교육이론
1.1. 피터스의 영화교육 접근방법
1.2. 캐멜린의 영화교육 접근방법
2. 심리발달과 영화의 이해
3. 영화교육위원회의 교수·학습 방법
4. 전자교과서와 이러닝을 통한 영화교육
4.1. 영화교육과 전자교과서
4.2. 영화교육과 이러닝
5. 영화교육에서의 평가
제6장 영화교과 교사론
1. 영화교육의 주체로서 교사
2. 영화교사의 교육
3. 영화교육에서 교육설계 프로그램
4. 교사양성 프로그램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