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제1장은 영화 분석에서 활용되어온 다양한 기호학적 분석 방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고, 이들 각각의 주요 기능과 역할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최근에 우리 사회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 일으켰던 영화들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특정 기호학적 방법이 어느 정도 적용 가능하며, 어느 정도의 분석력을 지니고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다른 미디어 영역이나 문화적 장르들에서 시도하였던 영상 분석들을 영화의 영상 분석에서 활용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제2장은 영화 분석에서 기호학적 분석 방법과 정신분석학적인 개념이 수렴될 수 있는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심리적이며 정신분석학적인 속성들이 많이 가미되어 있던 영화 <올드 보이>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정신분석적 개념을 기호학적 분석 방법과 병합하려고 하였다. 기호학적 분석 방법으로는 언어표현에 대한 서사구조 분석 방법과 영상화면에 대한 서사구조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등장인물들 사이의 갈등과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적 개념을 활용하였다. 그러고 나서 보다 심층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그레마스의 기호사각형 구조를 주요 분석 프레임으로 활용하였으며, 등장인물들의 변화 추이를 기호의 의미 변화의 추이로 간주하여 탄력적으로 적용하였다.
제3장은 일반 영화들에 대한 분석이 아니라 복수 영화 장르에 주목하였고, 특별히 복수 영화의 장르적 특성 파악에 주력하였다. 우리나라 복수 영화의 새로운 장르로 등장한 특정 영화감독의 영화를 선정하여, 이들 영화들이 지니고 있는 장르적 특성과 그에 따른 의미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영화 <친절한 금자씨>와 <복수는 나의 것>이란 두 영화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영화의 서사구조 파악은 물론이고 심층적 의미 파악을 위해 그레마스의 기호사각형과 행위주 모델을 주요 분석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특히 영상화면에 대한 의미 파악을 위해 영상화면에 대한 시퀀스 분석을 시도하였고, 각각의 시퀀스가 독자적인 영역 속에서 나름대로의 서사구조를 지니고 의미화하고 있음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제4장은 영화 분석에서 메츠의 거대통합체 분석을 시도하여 메츠의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효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메츠가 분류하였던 여덟 가지의 주요 통합체적 요소들을 중심으로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을 근간으로 하여 우리 사회에서 역사를 희화화하였고 광대를 통해 권력자를 조롱하였으며 동성애 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영화 <왕의 남자>를 선정하였다. 메츠의 거대통합체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공간에 대한 계열체 분석 방법을 시도하였고, 나아가 그레마스의 행위주 모델 분석 방법도 시도하였다.
제5장은 영화 자체에 대한 분석은 아니지만, 영화의 영상화면의 분석에 있어서 차용할 것이 많은 영화 포스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1960년대부터 최근까지의 멜로 영화의 포스터들을 중심으로 영화포스터의 표현 방식과 그에 따른 의미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화 포스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방법으로 사진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방법을 차용하였고, 심층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그레마스의 기호사각형 개념을 적용하였다. 그러고 나서 영화 포스터에 나타난 언어 표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영상화면의 의미와 결합시켰다. 영화 포스터에 대한 도형과 구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의미 파악을 시도하였다.
200자평
영화 분석에 기호학 개념과 구조 유형들을 적용, 새로운 기호학적 분석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한 저작이다. 기존의 다양한 기호학적 분석 방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고, 최근 우리 사회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킨 영화와 영화 포스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다른 미디어 영역에서 시도하였던 영상 분석 방법들을 영화 분석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지은이
백선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IAMCR(국제언론학회) 국제평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면서 크리스 바커와 교류하게 되었다. PACA(태평양아시아 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고, 한국기호학회의 부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와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및 이사, 한국방송학회 회장,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원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인터넷 공간의 진화와 미디어 콘텐츠』(공저, 2007), Media Coverage and Semiotics(2007),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007), 『미디어,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007)을 비롯하여 『전쟁보도와 미디어 담론』(2005), Television News, Images and Semiotics(2004), News, Signs and Culture(2004),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004), 『한국 언론 보도의 기호학』(2004), 『텔레비전 영상 기호학』(2003), 『정치담론과 인터넷』(2003),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2002), 『사이버 선거와 인터넷』(2001), 『언론보도와 신화적 인식』(1998), 『한국 선거보도의 기호학』(1997) 등이 있다. 역서로는 『미디어 담론』(2004), 『문화연구란 무엇인가』(2000) 등이 있다. 이 중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은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고, 『한국 선거보도의 기호학』과 『문화연구란 무엇인가』는 한국언론학회 희관 저술상을 수상했다.
차례
1. 영화, 기호학, 기호학적 분석 방법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의미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예
<친구>의 기호학적 분석
<올드 보이>의 기호학적 분석
<친절한 금자씨>의 기호학적 분석
<복수는 나의 것>의 기호학적 분석
<왕의 남자>의 기호학적 분석
영화 포스터의 기호학적 분석
텔레비전 영상화면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카메라 숏 기법의 의미와 피스크(J. Fiske)의 텔레비전 부호의 의미
영상화면에 대한 바르트(R. Barthes)의 ‘외시의미, 함축의미, 신화’ 분석
텔레비전 보도 영상의 서사구조와 담론 분석
영화 분석에 적용 가능한 기호학적 분석 방법
영화, 그 기호학적 분석의 즐거움
2. 영화에 대한 기호학과 정신분석학의 통합적 분석
영화 분석과 라캉의 개념과의 연계
라캉의 주요 개념
욕망에 대한 개념적 정의
상상계·상징계·실재계의 개념 및 연계성
영화 관련 정신분석학 개념
라캉의 개념을 통한 <올드 보이> 분석
서사구조
공간 및 시간체계
모티브
라캉의 개념 적용과 기호학적 분석의 의미
3. 영화에 대한 그레마스의 기호 개념과 구조 분석
복수영화 장르에 주목하는 이유
영화 분석의 프레임과 주요 분석 방법
<친절한 금자씨>에 대한 분석
서술구조
서술구조에 나타난 행위주들의 관계
행위주 모델을 근간으로 한 서사의 장르적 패턴
의미구조
<복수는 나의 것>에 대한 분석
서술구조
영화에 나타난 행위주들의 관계구조
행위주 모델을 근간으로 한 영화 장르적 패턴
한국 복수영화의 장르적 특성과 함축의미
4. 영화에 대한 메츠의 거대 통합체 분석
<왕의 남자>에 주목하는 이유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의미
<왕의 남자>에 나타난 결핍, 욕망 및 갈등의 기호학적 분석
<왕의 남자>의 서사구조: 거대 통합체 분석
<왕의 남자> 공간(놀이판)의 함축의미
<왕의 남자> 등장인물의 갈등관계
<왕의 남자>의 단락별 서사구조와 의미
<왕의 남자>의 단락별 등장인물의 대립구조와 의미
<왕의 남자>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의의
5. 영화 포스터의 의미소 분석과 신화 분석
영화 포스터에 주목하는 이유
영화 포스터 분석의 프레임과 주요 개념
신화
여성 관련 신화 및 이데올로기
멜로 영화 포스터의 기호학적 분석
시대별로 변화된 여성 이미지와 이데올로기
신화 분석과 그레마스 개념을 통해 본 영화 포스터의 여성 이미지
영화 포스터 이미지의 함축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