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21년 개정판, 무엇이 달라졌나?
첫째, 2장 ‘온라인 수업 내비게이터’는 수업 모형별 수업 과정을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보완하고, ‘온라인 수업·강의 도구 내비게이터’를 추가하여 언제 어떤 도구를 사용하는지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실시간 화상 강의 시스템인 Zoom 관련 장은 최신 버전 변화 내용을 대폭 추가하여 수정했고, 구글 미트와 구글 잼보드 관련 장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부분을 보완하고 최신 확장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셋째, 5장에서 의견 수렴과 퀴즈 도구인 멘티미터 활용 방법을 추가로 소개했다.
코로나19가 열어젖힌 미래교육 판도라의 상자… 크나큰 도전을 맞이한 교수자들을 위한 책
코로나19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혁명’이라는 수식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면서도 그 의미를 실감하지 못했던 교수자들에게 도전 과제를 던져 주었다. 저마다의 방법을 찾아 비대면 수업을 진행했으나, ‘어떻게 해야 가장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을 할 수 있는가?’라는 고민은 여전히 남아 있다. 감염 확산세가 줄어들고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면 지금의 비대면 수업 상황은 종료되겠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전의 교육 방식을 그대로 반복하지는 않을 것이다.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시작된 것이다. 그렇다면 교수자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체계적인 비대면 수업 설계, 준비 방법을 알려주는 책
비대면 수업을 체계적으로 설계, 준비한다면 대면 수업 수준의 질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대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비대면 수업의 특장점을 살린 수업이 가능해진다. 하나의 수업 내에서 대면, 비대면 활동을 결합해 전체 수업의 질을 제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교수자들은 기존 이러닝(e-learing) 경험과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에듀테크(Edutech)를 결합한 다양한 사례를 학습해야 한다. 이 책은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효과적 학습을 위해 필요한 기술적, 교육적 준비가 무엇인지 알려줌으로써 그 필요에 답한다.
여전히 좋은 수업은 학생 중심 수업!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 학생들을 위한 최적의 수업 모형을 찾아 주는 책
대면 수업이든 비대면 수업이든, 여전히 좋은 수업은 ‘학생 중심 수업’이다. 그렇다면 ‘디지털네이티브 세대’라 불리는 학생들을 중심에 두는 수업은 어떤 모습일까? 이 책은 강의 중심, 토의·토론 중심, 팀 활동 중심, 실기·실습 중심 수업 모형과 단계별 에듀테크 활용 방안을 제시해 학생 중심 수업 디자인을 돕는다. 단순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것에서 한걸음 나아가 수업 계획, 운영,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학생 중심으로 다시 설계하게 해 준다.
줌(Zoom) 회원 가입부터 네이버 폼을 활용한 과제 피드백까지! 이 책 하나면 수업 계획·운영·평가 가능
온라인 화상 회의 도구인 줌(Zoom), 구글 미트, 패들렛 등의 주요 디지털 기술 활용법을 친절하고 상세하게 담아내 교수자들이 이 책을 매뉴얼을 보듯 참고할 수 있도록 했다. 카카오톡, 네이버 폼, 페이스북 라이브 등 일상적으로 활용하던 도구들을 온라인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도 담았다. 수업 설계부터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00자평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교수자와 학생들, 언택트 시대에 더 좋은 수업을 만들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 20여 년간 교수방법 교육을 한 전문가들이 쓴 비대면 수업 지침서, 참고서다. 수업 운영 방안과 에듀테크를 결합한 다양한 교육 모형과 모형별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초·중·고, 대학, 학교 밖 교육 현장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다.
지은이
민혜리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연구교수다. 한국교육컨설팅학회장을 지냈고 ≪대학 교수‧학습 연구≫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육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교육 지원을 맡아 티칭 지원 연구와 사업을 총괄하고 있으며 수업 컨설팅, 교수법 교육과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형 수업컨설팅』(공저, 2012), 『대학의 교수학습방법과 실천 전략』(공저, 2011) 등이 있다.
서윤경
서울여자대학교 기초교육원 부교수 및 교수·학습센터 교수법 지원 전담교수다. 2004년부터 교수법 지원을 전담해 교수개발 업무를 수행 중이다. 한국교육컨설팅학회 총무이사이며, 대학교육개발전문가협의회장을 지냈다. 한양대학교에서 교육공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개발, 소셜러닝 도구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교육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소셜미디어와 교육』(공저, 2015)이 있다.
윤희정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 교수학습센터장, 대학교육개발전문가협의회장이다.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교육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대학교육개발센터 연구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학습센터 교수학습지원팀장, 서강대학교 교수학습센터 연구교수를 지냈다. 숙명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등에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해 가르쳐 왔고, 대학별 교수학습센터 주관 교수학습 전략 특강을 진행했다. 전국 여러 대학의 수업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논의하는 수업컨설팅을 실시하면서 대학별 수업 노하우를 제공했다. 저서로는 『한국형 수업컨설팅』(공저, 2012)이 있다.
이상훈
쿨디자인 대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고등교육연수원 대표 강사, 대한민국 최초의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 MVP, 인재경영 ‘대한민국 기업교육 명강사’(7년 연속)로 선정되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법무연수원 등에서 PPT·동영상·인포그래픽·ZOOM 등의 활용 방법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파워포인트 바이블』(2016), 『파워포인트 2016 길라잡이』(2016), 『잡스처럼 기획하고 키노트로 완성하라』(2012), 『회사에서 바로 통하는 파워포인트 2010』(공저, 2011), 『프레지 기본 활용 실무테크닉』(2011), 『포토샵으로 만드는 POWERPOINT DESIGN』(2006), 『끌리는 프레젠테이션의 아주 단순한 원리』(2006), 『파워포인트 노하우 129』(2005) 등이 있다.
김경이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교수학습개발원 원장으로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 전국 대학 교수학습개발원 협의체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관심 분야는 학습자 참여를 촉진하는 수업을 위한 수업 컨설팅, 교수법 교육, 대학 교수학습 지원 모형 개발 등이다. 관련 연구로는 “대학의 학업부진 학생들을 위한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공저 2019), “대학 교수학습센터 역할 수행 및 요구 분석 연구”(공저, 2018)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대학에서의 학습자 중심 교육』(2012)이 있다.
차례
1장. 온라인 수업 혁명의 시작
1. 이미 시작된 미래
2. 에듀테크의 재발견
3. 협력과 공유의 새로운 교육공동체(교사학습공동체)
4. 교육 공간의 변화가 이끌어 내는 교사와 학생의 역할 변화
5. 언컨택트 시대, 여전히 학생 중심 수업이 좋은 수업
6. 온오프 전환을 보장하는 교육 환경 조성
7. 학생 중심 수업 디자인을 위한 최적의 수업 모형 찾기
2장. 온라인 수업 내비게이터
3장. 수업 모형
1. 강의 중심 수업
2. 토의·토론 중심 수업
3. 팀 활동(프로젝트) 중심 수업
4. 실기·실습 중심 수업
4장. 온라인 수업 영상 만들기
1. 슬라이드쇼 녹화: 파워포인트
2. 화면 캡처: 반디캠
3. 판서 영상: 아이패드
4. 동영상 편집 및 자막 추가: 곰믹스
5장. 실시간 온라인 수업 운영
1. 온라인 실시간 강의 도구: Zoom
2. 의견 수렴과 퀴즈 도구: 멘티미터
3. 구글 기반 온라인 강의 도구: 구글 미트
4. 라이브 방송 강의 도구: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6장. 상호작용과 소통 촉진
1. 상호작용 도구: 패들렛
2. 실시간 온라인 협업 도구: 구글 드라이브, 구글 문서
3. 설문과 퀴즈: 구글 설문지, 네이버 폼
7장. 더 궁금한 몇 가지 FAQ
1. 저작권
2. 접근권: 온라인 수업에서 장애 학생 지원
3. 수업 에티켓: 보호와 존중이 있는 라이브 수업
부록
팀 구성표
프로젝트 수행 계획서
팀 활동 관찰표
책속으로
이 책은 이런 시기의 교육적 문제를 해결하고,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효과적 학습을 위해 어떤 교육적 모형과 기술적·교육적 준비가 필요한지에 대답하고자 한다. 비대면 수업은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용어로 이미 우리에게 친숙한 교육 방식이 된 지 오래다. 이러닝은 효과적인 교수 학습의 한 형태로 인정받고 있으며, 매우 혁신적인 성공 사례들을 다수 보여 주었다. 따라서 기존 이러닝의 교육적 경험을 통해 의미 있는 교육 모형과 방법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현 상황의 변화는 지금까지 이러닝의 영역이 아니라고 생각한 영역까지 이러닝이 확대·침투했고 전통적인 교육과 이러닝이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경험하게 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비정상적인 비대면 수업 상황은 곧 정리될 것이지만, 비대면 수업을 준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얻은 성과들을 확산한다면 교육적 지평을 확대하고 전체적인 수업의 질 향상과 변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강의 준비와 수업 중의 소통, 과제 부여, 학습 활동 계획 등이 포함된 최적의 수업 모형을 수업 방법과 상황별로 설정하고 각 교수자들이 자신의 상황과 수업의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활용하도록 했다. 교수자들은 수업 모형의 내용과 절차를 자신의 수업과 비교하여 비대면 수업을 새로운 방식, 더 효과인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각 수업 모형은 향후 대면 수업, 즉 교육 공간에 변화가 생겨도 우수 수업의 준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 4쪽
비대면 수업 상황이 교수자들에게 교실의 공간을 넘어서는 교육의 확장과 교육 활동의 변화를 요구했다면,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교수자들이 스스로 교실 공간을 열어젖히고 교육의 목적과 가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면서 협력을 통해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택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실험이 되고 있다.
-9쪽
많은 교수자들이 혁신적인 기술과 다양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수업을 운영하지만, 좋은 수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생들의 경험 자체가 학습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며(황은희 외, 2019), 학생의 자기 주도성을 강조하는 활동과 경험 중심의 수업 설계만이 혁신의 열쇠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 2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