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철학적 인간학이란 의미상 ‘인간에 관한 철학적 고찰’을 가리킨다. 인간에 대한 물음은 인간의 근본 특징에 대한 것이며, 역사적으로 볼 때 철학은 이러한 인간의 근본 특징을 전제하지 않은 적이 한 번도 없었다. 그러나 셸러는 오늘날 제기되는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문제가 종래의 ‘인간론(Menschenslehre)’과는 다르다고 분명히 선을 긋는다. 종래의 철학에서 설명된 인간의 근본 특징이란 인간의 다른 문제(예를 들어 ‘인식’이나 ‘실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청된 근본 전제였다. 철학적 인간학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철학적’이라는 말과 ‘인간학’이라는 말을 분리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인간학이란 본래 ‘동물학(Zoologie)’의 한 갈래인 사실과학의 분과를 가리키는 말이고, 종래의 철학적으로 다뤄져 온 인간론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인간이 철학과 과학을 매개하는 새로운 종합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셸러는 현대인이 인간에 관한 개별 과학적 지식과 부분적 이해는 많이 가지고 있지만, 그러면서도 인간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 즉 인간 ‘그 자체’에 대한 전체적이고 통일적인 통찰은 결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인간에 대한 전체적 통찰이 결여된 원인을 셸러는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즉 오늘날 인간 지성을 대변하는 실증과학은 모든 것을 ‘감각적 소여(sense-data)’로 환원해 봄으로써 인간조차도 한갓 육체에 갇힌 존재로 파악할 따름이다. 여기서 종래의 절대자로 취급되어 온 ‘신’은 공허한 반향(反響)일 뿐이고, 오히려 실증과학은 유한한 사물과 선을 절대자의 위치로 고양시킴으로써 이로부터 물신숭배 또는 우상숭배가 나타나게 되었다. 바로 이러한 물신숭배로부터 벗어나 인간을 실증과학의 한계에서 구원하는 것이야말로 셸러가 지향하는 철학적 인간학의 당면 목표이고, 이 목표를 수행해 가는 가운데 인간 그 자체의 전체성도 회복된다는 것이 철학적 인간학의 주요 쟁점이다. 이에 따르면 인간이란 단순히 육체적 존재도, 신의 피조물도 아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존재는 세계와 신 사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세계와 인간, 신의 삼자 관계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 때에만 비로소 인간의 전체성도 회복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셸러는 세계, 인간, 신의 삼자 관계의 해명을 통해 철학적 인간학을 구축하려 했다.
200자평
‘철학적 인간학(philosophische Anthropologie)’의 창시자인 막스 셸러의 사상을 압축적으로 보여 주는 책이다. 철학적 인간학은 전혀 이질적인 학문 갈래인 철학과 과학을 인간이라는 하나의 사실을 매개로 해서 오늘날 새롭게 종합하려는 시도다.
지은이
막스 셸러(Max Scheler, 1874∼1928)
독일 남부 뮌헨에서 태어나 뮌헨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 예나 대학교에서 의학, 천문학, 사회학을 공부했으며, 1902년에 예나 대학교 강사 시절에 후설을 만나 현상학적 방법론에 관해 연구했다. 그 후 쾰른 대학교와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지냈다. 셸러는 사회학과 철학, 종교 등 다방면에 걸쳐 학문적 관심을 보이는데, 특히 현상학적 방법에 의한 ‘실질적 가치 윤리학’의 정립과 ‘철학적 인간학’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져 있고, 만하임(K. Mannheim)과 더불어 ‘지식 사회학’의 창시자로도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저서에는 《윤리학에서 형식주의와 실질적 가치 윤리학》(1916)과 《가치들의 전도에 관해》(1919), 《공감의 본질과 형식들》(1923), 《사회학과 세계관학에 관한 저작집》(1923), 《지식의 형태와 사회》(1926), 《우주에서 인간의 위치》(1928) 등이 있고, 1980년에는 셸러 전집이 스위스 베른의 프랑케 출판사에서 15권으로 간행되었으며, 이후에도 계속 유고집이 발간되고 있다.
옮긴이
이을상
부산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정훈 장교로 3년 근무하고 육군 중위로 예편했다. 1993년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동아대, 부경대, 동의대, 동서대 등에서 강의했고, 현재는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전임 연구원으로 있다. 특히 막스 셸러의 저서 번역 작업에 노력해 왔고, 생명 윤리학 분야와 진화 윤리학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가치와 인격》(박사 학위 논문, 서광사, 1996), 《인간과 현대적 삶》(공저, 철학과현실사, 2003), 《죽음과 윤리》(백산서당, 2006), 《인격》(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O. F. 볼노 외, 문원, 1994), 《윤리학에 있어서 형식주의와 실질적 가치 윤리학》(M. 셸러, 서광사, 1998), 《공리주의》(J. S. 밀,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지식의 형태와 사회》(M. 셸러, 한길사, 2007) 등이 있고, 그 밖에도 다수의 논문과 기고문이 있다.
차례
제1판 머리말
제7판 머리말
서론 : 현대에서 인간의 자기 문제성
1장 심적 세계의 구조 : 식물, 동물, 인간
감각 충동 : 식물
본능
연상적 기억
실천적 지능
2장 새로운 원리 : 정신
세계 개방성
자기의식
정신의 순수한 활동
동물과 인간의 본질적 차이
3장 정신의 특수 작용으로서 이념화 작용
본질 인식과 현실 체험
인간 :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자
4장 승화의 문제 : 정신의 근원적 무능과 유력화
‘고전적’ 학설에 대한 비판과 ‘부정적’ 학설에 대한 비판
세계 과정으로서 승화
5장 마음과 몸의 통일 그리고 정신과 생명의 대립
데카르트에 대한 비판
자연주의적 이론에 대한 비판
클라게스 이론에 대한 비판
6장 인간과 세계 근거
종교의 기원
형이상학의 기원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1.
동물에게도 이미 지능이 부여되어 있다면, 도대체 무엇으로 우리는 인간과 동물 사이에 정도상의 차이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무엇이 있다고 하겠는가? 인간과 동물 사이에는 본질적 차이가 있는가? 아니면 지금까지 다루어 온 본질적인 심적 단계를 넘어서 전혀 다른 그 무엇이 인간에게 존재하는가? 선택과 지능에 의해서는 전혀 맞지도 않고, 완전히 설명되지도 않는, 인간에게만 특별히 주어진 그 무엇이 존재하는가?
2.
정신과 생명은 서로 화합한다. 이 둘을 근원적인 적대 관계로 몰아가거나 근원적인 투쟁 상태로 몰아가는 것은 근본적으로 오류다.
“가장 심오한 것을 생각하는 자가 가장 생명적인 것을 사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