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914년부터 1918년까지 계속된 제1차 세계대전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1920년부터 상상할 수 없는 인플레가 유럽 전체를 휩쓸었으며 경제공황이 밀려왔고 사람들이 기다릴 수 있는 것은 가난, 죽음의 불안, 그리고 암흑뿐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비탄, 마음의 고통, 무의식적 증오심과 적개심 등으로 신음했다. 이때부터 프로이트는 여전히 종래의 개인심리학을 바탕으로 삼고 있으면서도 사회학적 주제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프로이트 이후의 정신분석학자들이나 심리학자들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전체가 개인심리학에 치우쳐 있다고 비난하지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확실히 사회심리학 쪽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이트는 학대증(Sadismus)과 피학대증(Masochismus)의 원천을 리비도라고 보았으며, 말기로 갈수록 이러한 리비도의 영역 역시 확대된다. 말기의 프로이트는 리비도를 에로스(삶의 충동)와 타나토스(죽음의 충동)로 구분한다.
≪문화에서의 불안≫은 충동의 욕구와 문화의 제약 사이에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갈등 관계를 다루고 있다. 원래 프로이트는 이 책의 제목을 ≪문화에서의 불행(Das Unglück in der Kultur)≫이라고 붙였지만, 출판할 당시에는 불행을 ‘쾌적하지 못함(Unbehagen)’으로 바꾸었다. 다양한 문화 현상의 내면을 통찰할 경우 우리는 충동의 욕구와 이성적 자아의 억압을 수없이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에서 크고 작은 갈등이 생긴다. 이러한 갈등은 ‘쾌적하지 못함’의 정서를 유발한다. 특히 자아의 억압이 현대 문화에서 강할수록 ‘쾌적하지 못함’은 커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문화에서의 불안≫을 통해서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적으로 문화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충동적 욕구와 자아의 억압 간의 갈등을 어떻게 해명하는지, 그리고 문화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쾌적하지 못함이 어떤 것이며, 그것들을 과연 어떻게 해결하는지를 고찰할 수 있다.
200자평
독특한 정신분석학 체계를 확립한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세계까지 들추어냈다. 프로이트는 의식을 가리켜 엄청나게 큰 빙산의 수면 위로 나와 있는 지극히 작은 한 부분이라고 했고, 무의식이야말로 바다 밑에 숨겨져 있는 엄청난 빙산 덩어리라고 했다. 인류 전체의 삶을 움직이는 근원적인 힘은 무의식적 에너지인 것이다. 다양한 문화 현상에서 발견되는 충동과 이성적 자아의 억압, 이러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다룬다.
지은이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마르크스, 니체와 함께 현대 3대 혁명 사상가다. 의식 일변도의 심리학을 해체하고 종래에는 은폐되었던 무의식의 세계를 들추어냄으로써 의식과 무의식의 균형을 추구하고 건강한 정신 상태를 되찾으려고 노력했다.
1856년 5월 6일 모라비아의 프라이베르크에서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과 빈 대학 의학부에서 학업성적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출중한 학생이었다. 대학에서 브뤼케 교수의 지도를 받으면서 해부학과 생리학에 심취했다.
1885년 파리 살페트리에르 병원장 샤르코 밑에서 장학생으로 약 5개월간 연구하면서 히스테리와 최면술에 특히 관심을 가졌는데, 이것은 장차 정신분석학을 창안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동기가 된다. 1886년 프로이트는 마르타 베르나이스와 결혼했으며, 개인 병원을 개원하고 신경증 환자들을 치료하기 시작했다. 프로이트는 치료와 동시에 정신 신경증에 관한 많은 자료들을 수집하고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꿈의 해석≫과 ≪정신분석학 입문 강의≫ 등 두 권의 방대한 저서를 출판하면서 심리학을 넘어서 메타심리학으로서의 정신분석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독자적으로 창안하게 되었다.
1906년에는 카를 구스타프 융이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신봉자가 되었으나 1914년 융은 프로이트의 리비도 이론이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에 반대해 프로이트와의 결별을 선언한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자신의 정신분석학을 계속해서 연구하면서 ≪쾌락 원리의 저편≫(1920), ≪자아와 이드≫(1923), ≪환상의 미래≫(1927), ≪문화에서의 불안≫(1930) 등을 출판했다. 1938년 프로이트는 딸 아나 프로이트와 함께 히틀러의 유대인 박해를 피해 런던으로 망명했다. 1923년부터 1939년 죽을 때까지 16년 동안 서른세 번에 걸친 구강암 수술을 받으면서도 끊임없이 연구와 저술에 온 생애를 바쳤다.
옮긴이
강영계는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건국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이며 중국 서북대학교 객좌교수이고 한국니체학회 고문이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와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교환교수로 연구했고, 건국대학교 문과대학장과 부총장, 한국니체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기독교 신비주의 철학》(철학과현실사), 《사회철학의 문제들》(철학과현실사), 《니체와 예술》(한길사), 《정신분석 이야기》(건국대 출판부), 《헤겔, 절대정신과 변증법 비판》(철학과현실사), 《청소년을 위한 철학 에세이》(해냄), 《사랑학 강의》(새문사), 《마르크스, 니체, 프로이트 철학의 끌림》(멘토프레스) 등이 있다. 역서로는 스피노자의 《에티카》(서광사), 브루노의 《무한자와 우주와 세계》(한길사),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지식을만드는지식), 《인간적인 것, 너무나 인간적인 것》(지식을만드는지식), 《도덕의 계보학》(지식을만드는지식), 《선과 악의 저편》(지식을만드는지식), 쾨르너의 《칸트의 비판철학》(서광사), 하버마스의 《인식과 관심》(고려원), 프로이트의 《문화에서의 불안》(지식을만드는지식), 《꿈의 해석》(지식을만드는지식) 등이 있다.
차례
문화에서의 불안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1.
어떤 과정에서 그토록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기묘한 문화 적대감이라는 입장에 도달했을까? 내 생각은 다음과 같다. 그때그때의 문화 상태에 대한 심원하고도 장기간에 걸친 불만은 특정한 역사적 계기에 있어서 비난이 제기되는 토대를 마련했다. 이 계기들 중 마지막 계기와 그 이전의 계기를 알고 있다고 믿는다.
2.
그래서 이제는, 두 가지 ‘천상의 힘들’ 중 하나인 영원한 에로스가 자신과 마찬가지로 불멸하는 적과의 투쟁에서 분발하기를 기대해야 한다. 그러나 누가 성공과 결과를 예견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