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헤겔은 1818년 여름 학기부터 1829년 겨울 학기까지 다섯 번에 걸쳐 ‘미학’ 또는 ‘예술철학’을 강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런데 정작 강의를 위해 그가 작성한 원고는 남아 있지 않다. 수강생들이 필기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정리해 놓은 원고 열두 편 정도만이 있을 뿐이다. 게다가 첫 미학 강의 자료는 아무것도 찾아볼 수 없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읽힌 ≪미학 강의≫는 헤겔의 제자 호토가 편집한 책이다. 베를린 강의에 사용한 헤겔의 수고와 수강자들의 필기 노트를 모아서 1835년(초판)과 1842년(개정판)에 세 권으로 출간했다. 그러나 호토가 미학도 완결된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헤겔 미학을 편집했다는 의혹이 최근 제기되었다. 1818년 하이델베르크 강의 노트뿐만 아니라 1820/21년 베를린 강의의 원자료를 편집에서 제외해 버린 사실 때문에 이러한 혐의는 더욱더 짙어지고 있다.
헤겔은 예술이 단지 지나가버려 이제는 돌이킬 수 없는 과거라고 그리워하거나 한탄만 하고 있지는 않다. 오히려 역사적 관점에서나 체계적 관점에서 헤겔은 더 강력한 ‘예술의 부활’을 바라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예술의 새로운 부활은 철학이 시대의 분열을 치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헤겔의 문제의식에서 볼 때 반드시 필요하다. 만일 철학이 예술의 도움을 받지 않는다면, 시대의 분열을 극복할 수 있는 헤겔의 대안 제시는 다만 추상적인 사유와 굳어버린 개념의 울타리 속에만 갇힌 채 아름답고 풍성하게 표현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분열을 극복한 절대 진리의 구체적 모습은 예술적 감성을 통해서 가장 먼저 표현되고 실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예술가는 한 시대의 아들이면서 동시에 다음 시대를 준비하는 ‘전위대’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술가의 역할을 헤겔은 어디서도 부정한 적이 없다. 헤겔의 미학을 통해 알 수 있는 한 가지 분명한 진리는, 우리 시대에 있어 예술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물음은 이미 죽은 헤겔에게 제기하거나 헤겔이 풀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우리 자신에게, 우리 시대의 예술가에게 우리 스스로가 제기하고 풀어야 할 문제라는 사실이다.
200자평
‘헤겔 미학’은 무엇인가? 헤겔은 진정 ‘예술의 종말’을 고했는가? 이 책은 헤겔 미학의 기본 사유를 확인해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미학의 보편적 부분과, 건축·조각·회화·음악·시문학 등 특수한 부분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담고 있다. 원전의 중요 부분 25%를 발췌해 헤겔 이론의 핵심을 쉽게 읽을 수 있게 했다.
지은이
게오르크 헤겔(Georg W. F. Hegel)
헤겔은 1770년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태어났으며, 1788년부터 1792년까지 튀빙겐 신학교에서 수학했다. 그 후 1793년부터 1800년까지 스위스의 베른과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가정교사 생활을 했는데, 이때 청년기 헤겔의 사상을 보여주는 종교와 정치에 관한 여러 미출간 단편들을 남겼다. 첫 저술 《피히테와 셸링의 철학 체계의 차이》가 발표된 1801년부터 주저 《정신현상학》이 발표된 1807년 직전까지 예나 대학에서 사강사 생활을 했다. 그 뒤 잠시 동안 밤베르크 시에서 신문 편집 일을 했으며, 1808년부터 1816년까지 뉘른베르크의 한 김나지움에서 교장직을 맡았다. 그리고 2년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역임한 후, 1818년 베를린 대학교의 정교수로 취임했다. 1831년 콜레라로 사망했으며, 자신의 희망대로 피히테 옆에 안장되었다. 주요 저서로 《정신현상학》, 《논리학》, 《엔치클로페디》, 《법철학 강요》 등이 있고, 그의 사후에 《미학 강의》, 《역사철학 강의》, 《종교철학 강의》 등이 제자들에 의해 간행되었다.
옮긴이
서정혁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칸트 철학으로 석사학위를, 헤겔 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교수로 철학, 디지털 리터러시, 글쓰기, 토론 등의 과목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헤겔의 미학과 예술론》, 《헤겔의 역사 철학과 세계 문학》, 《듀이와 헤겔의 정신철학》, 《철학의 벼리》, 《논증》, 《논증과 글쓰기》(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헤겔의 《법철학(베를린, 1821)》, 《예나 체계기획 III》, 《미학 강의(베를린, 1820/21)》, 《세계사의 철학》, 《법철학 강요》, 《교수 취임 연설문》, 피히테의 《학자의 사명에 관한 몇 차례의 강의》, 《학자의 본질에 관한 열 차례의 강의》, K. 뒤징의 《헤겔과 철학사》가 있다. 그 외 독일 관념론 및 교양 교육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차례
1820/21년 들어가는 말
예술의 개념
예술의 분류
상징적 예술
고전적(완성된) 예술
낭만적(근대적) 예술
1823년 들어가는 말
예술에 관한 통념
예술의 개념과 분류
보편적 부분
특수한 부분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1.
예술작품은 단순히 지나가 버리는 인상만을 주어서는 안 된다. 예술작품은 우리의 심정에 물음을 던지고 말을 건네며 메아리(Echo)를 울린다.
2.
예술은 조각에서, 낭만적 예술은 회화와 음악에서 그러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보편적 예술과 관련해서 보면, 이 세 가지 형식 모두를 초월해 대자적으로 자신을 확장하는 것이 바로 언어 예술(redende Kunst)이다. 이 밖에도 보편적 이념에 완전히 상응하지 않아서 조금씩 왜곡이 생기는 다른 많은 유사 예술들과 특수한 방식들이 있다. 예를 들어, 웅변술, 무언극술, 무용술(舞踊術), 정원술(庭園術, Gartenkunst) 등이 그러하다. 시 예술 중에서도 앞에서 언급한 세 가지 형식들로 표현되지 않는 방식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