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박학한 무지’의 깨달음
서로 상반되어 보이는 속성들마저 절대적인 단일성 안에 포용하는 신을 알아보는 일이 신학에서 중요한 과제였다. 쿠자누스 또한 이슬람, 동방·서방 교회 등 다양한 종파 및 교파로 갈라선 ‘교회의 일치’에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었다. 1437년 콘스탄티노플에서 다른 종교인들과 대담을 마치고 로마로 돌아오는 바다 한가운데서, 그는 ‘인간이 알 수 있는 진리를 능가해, 납득할 수 없는 방식으로 납득할 수 없는 바를 알아듣는’ 특별한 체험을 했다. 그리고 그 체험을 ≪박학한 무지≫에 요약해 놓는다.
최대의 지식=최소의 지식
≪박학한 무지≫는 인간에게 최대의 지식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전제로 삼고 있다. 그런데 쿠자누스는 시작부터 이미 결론을 내렸다. 인간에게 최대의 지식은 결과적으로 최소의 지식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는 세 단계의 논증을 펼친다. 가장 먼저 검토하는 측면은 통상적으로 가장 명료하게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고 여기는 수학·기하학적 방식이다. 그다음으로는 가장 보편적이고 전체적인 차원의 지식으로 간주하는 자연학·천문학적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삶의 완성 및 구원과 직결된 지식으로서 강생(降生)한 신 예수 그리스도, 곧 종교·신학적 방식을 통해 최대의 참된 지식을 검토한다.
니콜라우스 쿠자누스를 바라보는 두 시선
니콜라우스 쿠자누스에 대한 연구자들의 평가는 두 방향으로 나뉜다. 하나는 팔켄베르크 및 카시러 등의 평가다. 그들은 쿠자누스가 중세를 마감하고 근대를 여는 길목에서 물질과 정신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의 토대를 제공했다고 보았다. 다른 하나는 빌페르트, 슈탈마흐, 자콘 등의 평가다. 그들은 쿠자누스를 아리스토텔레스의 ‘순수 현실태’ 이론을 과감하게 확장한 모험적인 사상가로 내다보았다. 순수 현실태로서 절대자[神]를 고려하는 그의 태도는 분명 현실태와 가능태로 구분되는 만물의 처지를 초월한다는 점에서도 근대주의적 사고방식이 유보하거나 포기한 길이다.
200자평
‘박학’과 ‘무지’라는 모순된 언표의 결합 안에 진리를 함축하고 있다. 인간이 깨칠 수 있는 최대의 ‘지(知)’란 무엇인가. 진리에 닿기 위해 끝까지 그를 좇다 보면, 우리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사실에 직면한다. 최대의 ‘지(知)’는 결국 ‘무지(無知)’였다.
지은이
니콜라우스 쿠자누스는 1401년 독일 모젤 강 유역의 쿠에스(Kues)에서 태어났다.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당시 교양 과정인 자유 학예(artes liberales: 문법·수사학·논리학·대수학·기하학·음학·천문학)를 이수하고, 파도바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Doctor decretorum)를 받았으며, 쾰른 대학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1431년에 개회한 바젤 공의회의 신앙위원회 위원으로 발탁되어 다양한 종교 및 종파의 신앙고백 형식의 일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그에 따라 ≪공동체의 친밀성(De usu communionis)≫, ≪교회의 일치(De concordantia catholica)≫, ≪박학한 무지(De docta ignorantia)≫, ≪가늠에 관하여(De conecturis)≫, ≪가려 계신 하느님(De Deo abscondito)≫, ≪하느님을 찾아서(De quaerendo Deum)≫, ≪하느님의 자녀-됨(De filiatione Dei)≫, ≪성부께서 비추신 빛(De dato patris luminum)≫ 등을 집필했다.
1450∼1455년에는 교황 사절(Delegatus apostolicus) 직분을 겸하면서 독일과 보헤미아,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지역 분쟁을 해결하는 데 공헌했다. 1464년 8월 11일 교황 비오 2세의 명에 따라 터키 십자군 원정을 준비하고자 베네치아로 가던 중 산악 도시 토디에서 갑자기 숨을 거두었다. 그의 시신은 그가 첫 본당을 맡았던 빈콜리의 성 베드로 쇠사슬 성당에 안치되었고, 뒤에 그의 심장은 그가 생전(1458년)에 고향 쿠에스에 봉헌했던 성 니콜라우스 병원의 부속 소성당으로 이전되었다.
옮긴이
조규홍은 독일 오토ᐨ프리드리히대학교(밤베르크)에서 <영원의 모상으로서 시간(Zeit als Abbild der Ewigkeit): 플로티노스의 <영원과 시간에 관해(Enn. III 7)> 해제 및 번역>(Peter Lang, 1999)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귀국 후 여러 대학에 출강하였고, 현재는 농사와 번역 일을 병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간과 영원 사이의 인간존재≫(성바오로, 2002), ≪플로티노스≫(살림, 2006), ≪플로티노스의 철학≫(누멘, 2008), ≪행복을 위한 마음공부≫(누멘, 2018)가 있고, 번역서(해제 포함)로는 한국연구재단 명저 번역 지원 사업 아래 ≪다른 것이 아닌 것≫(나남, 2007), ≪플로티노스의 중심 개념: 영혼ᐨ정신ᐨ하나≫(나남, 2008), ≪사랑에 관하여: 플라톤의 <향연> 주해≫(나남, 2010)가 있으며, 그 밖에 번역서로 ≪엔네아데스≫(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플라톤주의와 독일 관념론≫(누멘, 2010), ≪헬레니즘 철학사≫(한길사, 2011), ≪원인론≫(대전가톨릭대학, 2013), ≪신약성경신학 1-4권(공역)≫(가톨릭, 2007-2015),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신학대전 해설서 1-3권(공역)≫(수원가톨릭대학, 2019-2021), ≪일반인을 위한 교의신학≫(가톨릭, 2017), ≪신학과 교회≫(수원가톨릭대학, 2022), ≪사랑, 신과의 만남≫(가톨릭, 2023) 등이 있다.
차례
제1권(헌정사∼26장)
제2권(서언∼13장)
제3권(1∼12장)
참고 문헌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만일 그대가 낱말들을 전이시켜 이해하면서 자신을 [문자적] 표지(이해 수준)에서 끌어 올려 진리로 나아간다면, 그 낱말들은 [그대가] 기막힌 기쁨(쾌감)을 체험하도록 안내해 줄 것이다. 왜냐하면 그대는 박학한 무지를 통해 이 길에서 [진리를] 성취할 것이기 때문이다.
-31~32쪽
우리는 박학한 무지를 통해 보다 더 참된 것이 무엇인지 밝혀 주고자 한다. 왜냐하면 [인간은] 단순하게 최대치에 이르지는 못하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렇듯 [인간은] 신이 아닌 이상 절대적인 가능성으로든 절대적인 형상으로든 아니면 현실태로든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82쪽
우리의 박학한 무지는 “그러므로 [실제] 행하라!” 하고 외친다. “그대가 그것(행위) 안에서 그대를 발견하도록” 말이다.
-9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