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설신어≫는 후한(後漢) 말에서 동진(東晉) 말까지 약 200년 동안 실존했던 제왕과 고관 귀족을 비롯해 문인·학자·현자·승려·부녀자 등 700여 명에 달하는 인물들의 언행과 일화 1130조를, <덕행(德行)>편부터 <구극(仇隙)>편까지 36편에 주제별로 수록해 놓은 이야기 모음집이다. 당시의 문화·예술·정치·학술·사상·역사·사회상·인생관 등 인간 생활의 전반적인 면모를 담고 있어 중국 중고시대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필독서다.
≪세설신어≫는 그 자체로 훌륭한 산문 작품으로 위진 시대 언어 예술의 높은 품격을 보여준다. 번잡한 수사학이 극성했던 당시의 문학 풍토에서 고도의 간결미와 함축미를 지니고 있는 ≪세설신어≫의 담백한 문장은 한 줄기 청신한 바람이었다. 위진 시대를 대표하는 철학은 형이상학적인 심오한 철리를 논하는 현학(玄學)이었다. 주로 속세를 벗어나 펼치는 고상한 담론인 청담(淸談)으로 표현됐다. ≪세설신어≫는 청담의 대가들에 대한 기록은 물론이고 청담의 다양한 주제와 방법 등이 집약되어 있어 청담의 보고라 할 수 있다. 현학과 청담에 능해야만 비로소 명사로 행세할 수 있었던 당시 문사들에게 ≪세설신어≫는 자연히 ‘명사들의 교과서’로 인식됐다.
≪세설신어≫의 수준 높은 사유 활동의 면면은 중국 미학사상의 한 장을 차지하기에 충분하다. 우리나라에는 이미 통일신라대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시대 이규보를 비롯해 여러 문인 학자들이 즐겨 애독하고 그들의 시문에 폭넓게 수용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기풍이 조선시대까지 계속 이어졌기 때문에 ≪세설신어≫는 국내의 한문학 연구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이다.
≪세설신어≫는 일반 독자가 이해하기에 녹록한 책은 아니다. 짧은 이야기 안에 밀도 높은 철학과 역사가 담겨 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곳곳에 숨어 있는 비유와 암시, 유머와 기지, 조롱과 독설, 함축적이고 추상적인 품평어를 이해해야 하며, 무엇보다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은 원전의 1130조의 고사 가운데 전체 내용을 균형 있게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주요한 137조를 가려 뽑은 것이다. 각 편에는 이해를 위해 해당 편목에 대한 설명을 실었으며 번역문과 원문 뒤에 해당 고사에서 비롯한 고사성어를 첨부했다. 가볍고 얕은 언사가 난무하는 지금 우리 사회에서 이 책은 진정으로 맛있는 말과 멋있는 말이 무엇인지 가르쳐 주고 우리의 사유 수준을 한층 높여줄 것이다.
200자평
제2의 백가쟁명(百家爭鳴) 시대였던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기 약 200년 동안 실존했던 다양한 인물들의 독특한 언행과 일화를 36가지 키워드로 정리해 평가한 인간백과다. 중국 중고시대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필독서. 우리나라에도 통일신라 때 전해져 널리 읽혔다. 깊이 있는 해설이 돋보이고, 페이지마다 갈무리돼 있는 고사성어를 읽는 재미도 점입가경이다.
지은이
403~444. 중국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송(宋)나라의 문학가로 팽성(彭城) 수리[綬里 : 지금의 강소성 동산현(江蘇省 銅山縣)] 사람이다. 유송(劉宋) 개국 황제인 유유(劉裕)의 조카로, 임천왕(臨川王)에 봉해졌으며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단양윤(丹陽尹)·형주자사(荊州刺史) 등을 역임했다. 사후에 시중(侍中)과 사공(司空)에 추증되었으며 강왕(康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문학을 애호하고 많은 문인들을 초빙하여 그들과 함께 여러 저작을 편찬했다. ≪세설신어≫ 외에 ≪유명록(幽明錄)≫, ≪선험기(宣驗記)≫, ≪소설(小說)≫, ≪서주선현전(徐州先賢傳)≫, ≪강좌명사전(江左名士傳)≫, ≪의경집(義慶集)≫, ≪집림(集林)≫ 등 많은 작품을 저술했는데, ≪세설신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망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옮긴이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에서 <세설신어연구(世說新語硏究)>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에서 <위진남북조지인소설연구(魏晉南北朝志人小說硏究)>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 중문과 교수,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객원교수(2004∼2005), 같은 대학교 페어뱅크 센터(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객원교수(2011∼2012)를 지냈다. 전공 분야는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이다.
그동안 쓴 책으로 ≪중국 문학의 흐름≫, ≪중국 문학의 향기≫, ≪중국 문학의 향연≫, ≪중국 문언 단편 소설선≫, ≪유의경(劉義慶)과 세설신어(世說新語)≫, ≪위진세어 집석 연구(魏晉世語輯釋硏究)≫, ≪동아시아 이야기 보고의 탄생−태평광기≫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중국 연극사≫, ≪중국 유서 개설(中國類書槪說)≫, ≪중국 역대 필기(中國歷代筆記)≫, ≪세상의 참신한 이야기−세설신어≫(전 3권),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전 4권), ≪세설신어 성휘운분(世說新語姓彙韻分)≫(전 3권), ≪태평광기(太平廣記)≫(전 21권),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전 8권), ≪봉신연의(封神演義)≫(전 9권), ≪당척언(唐摭言)≫(전 2권), ≪열선전(列仙傳)≫, ≪서경잡기(西京雜記)≫, ≪고사전(高士傳)≫, ≪어림(語林)≫, ≪곽자(郭子)≫, ≪속설(俗說)≫, ≪담수(談藪)≫, ≪소설(小說)≫, ≪계안록(啓顔錄)≫, ≪신선전(神仙傳)≫, ≪옥호빙(玉壺氷)≫, ≪열이전(列異傳)≫, ≪제해기(齊諧記)·속제해기(續齊諧記)≫, ≪선험기(宣驗記)≫, ≪술이기(述異記)≫, ≪소림(笑林)·투기(妬記)≫, ≪고금주(古今注)≫, ≪중화고금주(中華古今注)≫, ≪원혼지(寃魂志)≫, ≪이원(異苑)≫, ≪원화기(原化記)≫, ≪위진세어(魏晉世語)≫, ≪조야첨재(朝野僉載)≫(전 2권),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소씨문견록(邵氏聞見錄)≫(전 2권) ≪옥당한화(玉堂閑話)≫ 등이 있다.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에 관한 여러 편의 연구 논문이 있다.
차례
1.
<벼슬은 본래 썩어서 악취가 난다(官本是臭腐)>
어떤 사람이 은중군[殷中軍 : 은호(殷浩)]에게 물었다.
“어찌하여 장차 직위를 얻게 될 때에는 관(棺)의 꿈을 꾸고, 장차 재물을 얻게 될 때에는 분뇨의 꿈을 꾸는 것입니까?”
은중군이 대답했다.
“벼슬은 본래 썩어서 악취가 나기 때문에 장차 그것을 얻게 될 때에는 관과 시체 꿈을 꾸고, 재물은 본래 분토이기 때문에 장차 그것을 얻게 될 때에는 오물 꿈을 꾸는 것이오.”
당시 사람들은 그의 말을 탁월한 해석이라 생각했다.
人有問殷中軍 : “何以將得位而夢棺器, 將得財而夢屎穢?” 殷曰 : “官本是臭腐, 所以將得而夢棺屍. 財本是糞土, 所以將得而夢穢穢汙.” 時人以爲名通.
2.
<돌로 양치하고 냇물로 베개 삼는다(漱石枕流)>
손자형[孫子荊: 손초(孫楚)]이 젊었을 때 은거하고 싶었는데, 왕무자[王武子: 왕제(王濟)]에게 당연히 ‘돌로 베개 삼고 냇물로 양치한다.’고 말해야 할 것을 ‘돌로 양치하고 냇물로 베개 삼는다.’고 잘못 말했다. 왕무자가 말했다.
“냇물로 베개 삼을 수 있고 돌로 양치할 수 있소?”
그러자 손자형이 말했다.
“냇물로 베개 삼는 것은 귀를 씻고자 함이고, 돌로 양치하는 것은 치아를 갈고자 함이지요.”
孫子荊年少時欲隱, 語王武子當‘枕石漱流’, 誤曰‘漱石枕流’. 王曰: “流可枕, 石可漱乎?” 孫曰: “所以枕流, 欲洗其耳. 所以漱石, 欲礪其齒.”
3.
<매실을 생각하며 갈증을 풀다(望梅止渴)>
위(魏)나라 무제[武帝: 조조(曹操)]가 행군하다가 물 긷는 곳으로 가는 길을 잃어버려 군사들이 모두 목말라하자, 영을 내려 말했다.
“앞에 큰 매실 숲이 있는데, 달고 신 열매가 많으므로 갈증을 해소할 수 있다.”
병사들은 그 말을 듣자 입에서 모두 침이 생겼다. 무제는 그 기회를 타고서 앞의 수원(水源)에 도달할 수 있었다.
魏武行役, 失汲道, 軍皆渴, 乃令曰: “前有大梅林, 饒子甘酸, 可以解渴.” 士卒聞之, 口皆水出. 乘此得及前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