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태고화상어록≫은 태고의 선사상이나 고려 말의 불교사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문헌이다. 그는 상당 설법에서나 수좌와 사대부를 대상으로 쓴 글에서 시종일관 화두 참구를 강조했다. 그는 화두 참구의 기본으로서 ‘무자’ 화두를 중시했다. 그가 정형화된 스타일로 ‘무자’ 화두를 제시했던 것은 14세기 이후 고려 선종계의 사상적 흐름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간화선이 정형화, 형식화되어 불교계를 풍미한 것은 당시 ≪몽산법어(蒙山法語)≫, ≪선요(禪要)≫ 등 간화선의 매뉴얼로 정리된 선 문헌이 수용되고 유행했던 분위기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그가 깨친 후에 반드시 본분 종사, 즉 조사로부터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던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실제 그 자신이 네 차례나 깨달음의 체험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46세라는 늦은 나이에 원에 들어가 석옥에게 인가를 받았던 것은 간화선의 정형화와 관련된다고 하겠다. 아울러 태고가 인가라는 형식을 굳이 원의 조사에게서 받고자 했던 것은 원 불교계를 순례하는 풍조가 유행하던 시대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태고가 주장한 ‘무자’ 화두 일변도의 화두 참구나 유심정토설의 표방, 임제선 법통설 등은 당시 불교계의 흐름을 대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고려 말의 불교가 이러한 사상적인 슬로건을 표방한 것은 한마디로 선종이 절대화되던 경향을 반영한 것이자, 불교계의 흐름을 그러한 방향으로 주도하고자 하던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다시 말해 고려 불교계에서 화엄종, 천태종, 법상종 등의 다양한 종파와 함께 존재하던 선종이 고려 말에 이르러 불교계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스스로의 우월성과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한 의도에서 표방한 슬로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선종 절대화의 경향은 간화선 일변도의 경향으로 나아감으로써 결국 수행 방법론의 다양성을 상실하는 폐단을 가져왔다. 나아가 이러한 경향은 불교의 새로운 단계로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들고, 당시 주자학이 수용되면서 불교 비판론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불교가 현실적인 대응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한계를 노출했던 것이다.
이 책은 상하 2권으로 된 ≪태고화상어록≫ 중, 고려 말 불교사의 흐름과 관련해 태고가 제기한 간화선 수행론의 특징이 무엇이며, 그 주된 대상이 누구인가를 이해할 수 있는 글을 중심으로 발췌 번역했다.
200자평
고려 말의 선승인 태고보우(太古普愚)의 법어와 가송(歌頌)을 모은 것으로, 시자인 설서(雪栖)가 우왕 11년(1385) 무렵에 상하 2권으로 편집했다. 상권의 상당(上堂), 시중(示衆), 법어(法語), 가음명(歌吟銘) 중에서 고려 말 불교사의 흐름과 태고의 간화선 수행론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글을 발췌 번역했다.
지은이
고려 말의 대표적인 선승이며, 태고는 호이고, 법명이 보우다. 그는 출가 이후 일관되게 간화선 수행법을 통해 깨달음을 얻었고, 간화선을 절대시해 이후 불교계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는 특별한 스승이 없이 화두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었고, 46세에 중국으로 가서 선지식을 두루 찾았다. 그가 원에 간 것은 중국 임제종의 법통을 계승하고자 한 것으로 결국 석옥청공에게 인가를 받고 귀국했다. 이후 그는 백운암, 태고암 등에 머물렀고, 공민왕에 의해 왕사에 책봉되어 원융부를 통해 교권을 장악했다. 이후 신돈이 등장하면서 속리산에 유폐되는 등 고난을 겪기도 했다. 조선 후기에 태고법통설이 제기된 이후 지금까지 한국 선불교의 정통 선사로서 추앙되고 있으나 1960년대 조계종이 성립되면서 지눌법통설이 제기되어 논쟁이 거듭되고 있다.
옮긴이
부산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본학술진흥회의 초청으로 고마자와 대학 불교학부에서 2년간 박사 후 과정을 이수했고, 교토대학에서 연구원으로 있었다. 현재 신라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공은 한국사상사이며, 근대 불교, 동아시아 불교사 분야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고려후기 간화선 연구≫(혜안출판사, 2004) 등이 있으며, 최근의 논문으로 <선문염송집의 편찬과 종문통요집>, <일연의 선사상과 송의 선적>, <근대불교의 지향과 굴절> 등이 있다.
차례
서문
발문
상당(上堂)
1. 영녕선사(永寧禪寺)에서 한 설법
2. 봉은선사(奉恩禪寺)에서 한 설법
3. 지정 17년 정유 정월 15일 왕궁의 진병(鎭兵)을 위한 설법
4. 다시 삼각산 중흥선사(重興禪寺)에 주지로 들어가면서 한 설법
5. 희양산 봉암선사에 주지로 취임하면서 한 설법
6. 가지산 보림선사(寶林禪寺)에 주지로 취임하면서 한 설법
7. 자씨산 영원선사에 주지로 취임하면서 한 설법
8. 상당
시중
법어
1. 공민왕이 마음 법문을 청하다
2. 방산거사(方山居士) 제학(提學) 오수(吳倕)에게 답하다
3. 무제거사(無際居士) 장해원사(張海院使)에게 주는 글
4. 최 진사에게 주는 글
5. 사제거사(思齊居士)에게 주는 글
6. 정당(政堂) 염흥방(廉興邦)에게 주는 글
7. 낙암거사(樂庵居士)에게 염불의 요점에 대해 주는 글
8. 백충거사(白忠居士)에게 주는 글
9. 무능거사(無能居士) 박성량(朴成亮) 상공(相公)에게 주는 글
10. 당선인(當禪人)에게 주는 글
11. 진선인(眞禪人)에게 주는 글
12. 의선인(宜禪人)에게 주는 글
13. 담당(湛堂) 숙장로(淑長老)에게 답함
14. 문선인(文禪人)에게 주는 글
15. 소선인(紹禪人)에게 주는 글
16. 가선인(可禪人)에게 주는 글
17. 상선인(祥禪人)에게 주는 글
18. 안산군(安山郡) 묘당부인(妙幢夫人)에게 주는 글
가음명(歌吟銘)
1. 태고암가(太古庵歌)
2. 잡화삼매가(雜華三昧歌)
부록 : 원증국사탑명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난해하고 까다로운 문장으로 날카로운 말을 쓰는 것은 다만 향상의 종승(宗乘)을 파묻을 뿐만 아니라, 곧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잃고 말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부처와 조사도 문자나 언어를 세우지 않고, 마음으로 마음을 전하고 법으로 법에 도장 찍어 대대로 이어 쉬지 않고 전했던 것이니, 지금도 그런 사람이 없는 것은 아니다.
34~35쪽
출가해서 도를 닦는 이는 명예와 이익을 구하지 않고, 주지가 되기를 바라지 않고 의식을 꾀하지 않아야 한다. 남의 공경이나 찬탄을 구하지 않고, 즐겨 절도를 지켜 나쁜 옷과 나쁜 음식으로 바위틈에 몸을 감추고 출세하기를 꾀하지 않아야 비로소 집을 떠나 도를 배우는 이의 할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요즘 사람들은 다만 제 힘으로 구하지 않고 남의 세력을 의지해 구하니 내가 어찌하겠는가?
52~53쪽
마음눈인 화두를 한곳에 매어 두고 다만 또렷하고 분명하며, 분명하고 또렷하게 치밀히 참구해야 한다. 비유하자면 어린애가 어머니를 생각하듯이, 굶주린 사람이 밥을 생각하듯이, 목마른 사람이 물을 생각하듯이 해서, 그만두려고 해도 그만둘 수 없어 생각나고 또 생각날 것이니, 이것이 어찌 애를 써서 되는 일이겠는가?
6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