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웹툰의 가장 큰 경쟁력은 역동적인 개방성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향유를 활성화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 월드를 구축해 가는 개방적인 스토리텔링 전략이다. 웹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역동적인 개방성과 향유라는 공통분모를 고려할 때,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웹툰의 또 다른 경쟁력이 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 월드의 정체와 구현 방안을 고민하고, 핵심 동력인 향유의 양상과 상관해 그 구체를 탐구해 볼 것이다. 웹툰의 미덕을 살리며 미래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최적의 방안이 될 것이다.
지은이
박기수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문화콘텐츠전략연구소 소장이다. 한양대학교에서 “애니메이션 서사의 특성 연구”(2001)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문학평론을 하다가 <신세기 에반게리온>과의 운명적인 조우로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 콘텐츠진흥원 기획창작 아카데미 자문위원, KBS 미디어비평 자문위원을 지냈고 UC어바인 방문교수(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Visiting Scholar)를 다녀왔다. 연구의 관심 분야는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리터러시, 향유, 팬덤, HCI 등으로 현장성 강한 실천적 학문의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2015), 『국경을 넘어서는 애니메이션(アニメは 越境する)』(공저, 2010), 『애니메이션 서사구조와 전략』(2004) 등 20여 권의 저서와 “웹툰의 트랜스 미디어스토리텔링 전략 연구”(2016)를 비롯한 8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차례
0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체
02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
03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
04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
05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향유
06 트랜스미디어 스토리 월드의 구현 과정
07 원천 콘텐츠로서 웹툰의 매력
08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가능성
09 <미생>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10 웹툰의 미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가치 있는 즐거운 체험을 활성화하지만 동시에 그 이면에는 강력한 경제적 동기가 있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중심 동력은 주도적인 체험과 그로 인한 즐거움 그리고 그것을 지속시키는 가치 창출에 있다. 그와 함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주도적인 동력이 강력한 경제적 동기에서 창출되고 있다는 것도 분명하다. 콘텐츠 산업이 고도화될수록 수익 창출을 위해 대규모 자본의 투입과 리스크 헤지(risk hedge) 전략의 강화는 자연스럽게 프랜차이즈의 구축과 강화를 요구한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체’ 중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유형 분류에 대한 선행연구의 성과는 분명하다. 그 성과는 유형 분류의 논리적 기준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뿐만 아니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획 혹은 전략 수립의 준거를 마련해 주었다는 것으로, 반드시 주목해야 할 지점이다. 왜냐하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 분류는 단순한 범주화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지니고 있는 탈중심적이고 개방적인 형태의 자기 증식적 서사를 지속적으로 조형하며 확장적으로 구현하려는 기획과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 중에서
향유는 향유자와 텍스트 사이의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대화 과정이다. 즉, 향유는 향유자가 텍스트에 개입·참여함으로써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즐기는 과정으로 주체적인 만큼 창조적이라는 의미다. 이러한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즐김의 과정은 생산자와 향유자의 경계를 해체함으로써 향유가 곧 또 다른 생산이 될 수 있는 지속적인 즐김의 연쇄를 만들어 낸다. 이것은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향유자에 의해 매우 자의적인 양상으로 전개되며, 그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양상의 발산과 수렴의 이율배반적인 긴장을 즐기는 것이 향유의 매력이기도 하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향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