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웹툰은 독자의 읽는 재미를 강화시켰다. 만화 수용 과정이 출판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웹으로 전환되면서 기존의 ‘본다’라는 의미에서 텍스트의 변용, 해석에 적극 ‘참여한다’라는 의미로 확장된 것이다. 이는 타 매체와 구별되는 웹툰 콘텐츠 고유의 재미를 근원적으로 설명한다. 이 책에서는 웹툰을 이해하는 여러 가지 방식 중에서 매체적 특성이 콘텐츠 수용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이로써 어떤 방식의 작품이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현재성을 탐구할 수 있다. 또한 웹툰의 비평적 관점을 확장하는 도구로서 웹툰 퍼포먼스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홍난지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교수다. 세종대학교 영상만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웹툰의 희극성에 관한 연구”(2014)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만화가협회 만화문화연구소장으로 웹툰가이드(www.webtoonguide.com)에 칼럼을 연재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개그웹툰의 자기반영적 패러디에 관한 연구”(2015), “병맛만화의 서사구조에 관한 연구”(2014), “디지털만화의 감성자극 요인에 대한 유형 연구”(2014) 등이 있다.
차례
01 웹툰 매체의 특성
02 웹툰의 수용 과정
03 퍼포먼스 이론의 전개
04 웹툰 퍼포먼스
05 이벤트형 웹툰 퍼포먼스
06 이야기 반영형 웹툰 퍼포먼스
07 대화형 웹툰 퍼포먼스
08 축제와 제의적 공간으로서 웹툰
09 독자의 즐거움
10 웹툰 퍼포먼스의 기능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웹툰 텍스트가 읽히는 과정은 독자의 참여로 완성된다. 독자는 정지된 이미지를 보지만 홈통을 이용해 시간과 움직임을 자의적으로 연출하면서 만화 스토리를 연결시킨다. 텍스트 외적인 참여는 출판 만화에서는 독자 엽서나 출판사에서 제공한 이벤트에 응모하는 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웹툰은 업로드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매체의 특성상 ‘댓글’이 활발해지면서 더욱 손쉽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동일한 취향과 관심사를 한데 연계할 수 있는 웹 게시판 문화는 독자들을 네트워크화할 수 있다.
‘웹툰 매체의 특성’ 중에서
독자는 댓글로 감상평을 남기고, 작품에 공감하며 텍스트를 재생산한다. 여기서 생겨난 네트워크는 단순히 좋아하는 작품에 대한 감상평만 공유하는 것이 아니고 작품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궁금증을 해소하는 기반이 되기도 한다. 웹툰 연재 플랫폼의 댓글 창에는 이런 내용들이 종종 올라온다. 실례로 2014년 네이버웹툰에서 연재된 컷부의 <소년들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56화 연재분에 궁금증을 느낀 독자들이 댓글로 웹툰 읽기의 어려움을 토로했고 이를 공감하는 내용의 댓글이 달렸다. 그중 “난 오늘도 댓글을 보기 위해 웹툰이라는 과정을 거쳤을 뿐”이란 댓글은 독자들이 댓글로 얻는 유희가 있음을 추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웹툰의 수용 과정’ 중에서
일반적으로 작품을 감상할 때 나타나는 카타르시스를 비극에서는 연민과 공포, 희극에서는 공감과 조소라고 일컫는다. 비극이 정서적 동일시를 통해 몰입을 돕는 역할을 한다면, 희극의 경우 우월성을 통해 관찰자의 시선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다. 희극의 카타르시스 중 ‘조소’라는 것은 비웃음으로 해석되며 비웃음은 작품에 대한 몰입보다는 작품과 거리두기로 실현된다. 그러므로 다양한 작품들을 거리두기를 하며 감상하는 것은 웹툰이라는 시간과 공간의 영역에서 나름의 규칙에 따라 일정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놀이에 참여하는 것이다.
‘독자의 즐거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