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왕궈웨이의 새로운 문예비평 패러다임
왕궈웨이의 문예미학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인간사화≫에 대한 역주서다. 시대의 선후에 따라 전국시대에서 청 초에 이르는 시인, 사 작가, 사 작품을 논해 중국 사를 총체적으로 접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원의에 가장 부합하는 판본을 번역의 텍스트로 삼아 ≪인간사화≫의 진면목을 두루 살필 수 있다.
다방면으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중국 근대의 저명한 학자 왕궈웨이의 ≪인간사화≫를 번역하고 꼼꼼히 주를 달았다. 사화는 사 창작의 본질, 수사, 사 작가와 작품 및 시대에 대한 평가, 사 작가들의 행적이나 창작 배경 등을 논하는 것이다. 일찍이 서양의 철학과 미학, 문예 사상 등을 접했던 왕궈웨이는 사 창작을 하면서 중국과 서양의 문예 미학을 융합해 참신한 문예 미학관을 정립하고, 새로운 문예비평의 패러다임을 세웠다. 이 결과물이 ≪인간사화≫로, ‘경계(境界)’를 문예 미학의 최고 이상으로 내세우고 있다.
≪인간사화≫ 전체 내용을 살필 수 있는 완전한 역주서
≪인간사화≫는 원래 왕궈웨이가 생전에 친히 64조목으로 편정하여, <국수학보(國粹學報)>에 발표했는데 후인들이 연구하고 주소하는 과정에서 유고를 수집해 증보하여 권1 ≪인간사화≫ 64조목, 권2 ≪인간사화 미간고(未刊稿)≫ 50조목, 권3 ≪인간사화 산고(刪稿)≫ 13조목, 권4 ≪인간사화 부록(附錄)≫ 28조목의 체제를 구성했다. 판본에 따라 권수나 조목 수가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나 왕궈웨이의 원의에 가장 부합하는 체제로 평가받는 삼민서국본의 편차로, 이를 번역의 텍스트로 삼아 ≪인간사화≫ 전체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왕궈웨이의 문예미학의 핵심 ‘경계’
왕궈웨이는 ‘경계’를 문학의 최고 이상으로 여겨 문학의 예술 미학을 추구했으면서도, 또한 인간의 삶과 인생 근원 문제를 둘러싸고 사유를 진행하여 인간의 완미한 경지를 추구하는 인간 미학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또한 그의 경계설은 중·서 문예 미학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경계’설은 중국 전통의 천인합일·물아일체 등의 관념, 노장(老莊) 등의 무위자연 철학 사상, 중국 전통의 미학·문예 사상 등에 연원을 두고, 서양의 칸트, 쇼펜하우어, 니체 등의 철학, 미학, 문예 사상의 영양을 섭취하고 각종 미학, 철학 개념을 빌려 이루어졌다.
200자평
왕궈웨이의 문예미학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인간사화≫에 대한 역주서다. 시대의 선후에 따라 전국시대에서 청 초에 이르는 시인, 사 작가, 사 작품을 논해 중국 사를 총체적으로 접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원의에 가장 부합하는 판본을 번역의 텍스트로 삼아 ≪인간사화≫의 진면목을 두루 살필 수 있다.
지은이
왕궈웨이(王國維)
왕궈웨이(王國維, 1877∼1927)는 자가 징안(靜安), 호는 관탕(觀堂)으로 저장(浙江) 하이닝(海寧)에서 태어났다. 근대 중국의 저명한 학자로 문학, 희곡, 미학, 사학, 갑골학, 돈황학, 금석학, 역사·지리학, 판본·목록학 등의 여러 방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일찍이 칸트, 쇼펜하우어, 니체 등의 철학·미학 사상을 연구했으며, 서양의 철학, 미학, 문예 원리로 중국 고전 문예를 비평한 인물이다. 어려서부터 전통 교육을 받고, 과거를 보기 위해 공부했지만 항저우(杭州)에 향시를 치르러 갔다가 마지막 시험을 치르지 않고 돌아왔다. 이로써 과거에 대한 미련을 버렸다.
1894년 청일(淸日)전쟁 후, 변법유신 운동이 일어나고 서양 학문이 밀려들자, 왕궈웨이는 서양 학문을 접한다. 1898년 상하이(上海)로 가서 캉유웨이(康有爲), 량치차오(梁啓超) 등이 주축이 되어 발간하던 개혁 사상 대변지 〈시무보(時務報)〉의 서기, 교정원을 맡았다. 여가 시간을 이용, 뤄전위(羅振玉)가 세운 동문학사(東文學社)에 들어가 영어, 일어, 수리, 철학, 물리, 화학 등을 공부했다. 이때 뤄전위는 우연히 왕궈웨이의 자질이 뛰어남을 알아보고 다방면에서 도움을 주게 되는데, 이로써 뤄전위와 왕궈웨이의 평생의 만남과 우의가 시작되었다. 1901년 뤄전위의 도움으로 일본 유학을 갔지만 반년도 못 되어 병으로 귀국했다. 뤄전위의 추천으로 상하이난양공학(上海南洋公學), 퉁저우사범학교(通州師範學校), 쑤저우사범학교(蘇州師範學校)에서 교편을 잡고 철학, 심리학, 윤리학 등을 가르쳤다. 1906년 뤄전위를 따라 베이징으로 가서 교육부의 직무를 맡았다. 이 시기에 미학, 문학 이론, 희곡 예술사를 연구해 《인간사화(人間詞話)》, 《송원희곡고(宋元戱曲考)》를 저술했다. 1911년 신해혁명 후, 뤄전위를 따라 일본으로 가서 교토(京都)에 머물렀는데, 청조의 유로(遺老)로 처세했다. 이 시기 고문자학, 음운학, 고기물학(古器物學), 갑골문, 사학 등의 연구에 몰두했다. 1916년에 귀국해 상하이에 거주했는데, 유태인 하둔[Silas Aaron Hardoon, 중국식 표기는 하퉁(哈同)]의 초빙을 받아 〈학술총간〉의 편집을 맡았고, 아울러 하둔이 설립한 창성밍즈대학(倉聖明智大學)의 교수를 겸했다. 이 시기 갑골문, 고고학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 1923년 청 대(淸代)의 마지막 황제 푸이(溥儀)의 문학 시종이 되었는데, 다음 해 펑위샹(馮玉祥)이 베이징정변을 일으켜 푸이를 출궁시키고 황제의 존호를 폐하자, 비분강개하여 진수이허(金水河)에 투신해 청을 위해 순국하려 했다. 1925년 칭화대학(淸華大學) 국학연구원 교수로 초빙되어, 량치차오·자오위안런(趙元任)·천인커(陳寅恪)와 함께 칭화대학 국학연구원의 ‘네 명의 석학 지도교수’가 되었다.
1927년 6월 2일 이허위안(頤和園)의 쿤밍호(昆明湖)에 몸을 던졌다. 그는 유서에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50년의 파란 많은 인생, 단지 한 번의 죽음만은 겪어보지 못했다(五十之年, 只欠一死).
이러한 세상 변란을 겪으니, 도의(道義)에 두 번의 치욕은 받을 수 없구나(經此世變, 義無再辱).”
왕궈웨이의 영혼은 떠났지만, 여러 학술 방면에서 이룬 성취로 그는 “중국 근 300년의 학술을 종결한 사람, 최근 80년래 학술을 창조한 사람”으로 평가된다.
옮긴이
조성천
조성천(趙成千)은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에서 〈왕선산 시론 연구(王船山詩論硏究)〉로 석사학위, 〈왕부지(王夫之) 시학(詩學)의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홍익대 강사를 거쳐 현재 을지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문학 비평을 전공, 중국 시론(詩論)을 연구했는데, 왕부지의 문예 사상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그 저서로 《왕부지 시가 사상과 예술론 연구》, 역주서로 《강재시화(薑齋詩話)》 등이 있다. 그 논문으로 〈중국 시론상 ‘흥회(興會)’의 역사성과 문예 미학적 의의〉, 〈왕부지 시론상의 온유돈후(溫柔敦厚)론〉, 〈王夫之의 李白詩歌 품평론〉, 〈왕부지 두보 시가 창작에 대한 비평론〉, 〈왕부지의 역대 시론 수용 양상〉, 〈왕부지의 두보 시가에 대한 호평론(好評論)〉, 〈王夫之의 蘇軾 詩文 비판론 初探〉, 〈王夫之 《夕堂永日緖論·外編》의 ‘經義’ 論 고찰〉, 〈王夫之 〈連珠〉의 형식과 표현수법 연구〉, 〈王夫之 《連珠二十八首》의 明朝에 대한 志操·忠貞사상과 反淸의식 고찰〉, 〈王夫之의 시가와 음악의 화해 미학〉 등이 있다. 이외에, 왕부지의 《薑齋文集》에 대한 다수의 역주 연구가 있다.
차례
권1 인간사화
1. ‘사(詞)’는 ‘경계(境界)’를 최상으로 여겨
2. ‘창조하는 경계’, ‘묘사하는 경계’가 있어
3. ‘자아가 있는 경계’, ‘자아가 없는 경계’가 있어
4. ‘자아가 없는 경계’는 ‘우미’, ‘자아가 있는 경계’는 ‘굉장’
5. 자연 경물이 예술로 묘사될 때 서로의 관계나 제약에서 벗어나야
6. 인간의 희로애락 또한 마음속의 경계
7. 한 글자로 경물의 경계를 완전히 드러내
8. ‘경계’의 우열은 작품 내용, 정교한 언어에 의해서 구분
9. ‘흥취’·‘신운’은 표면만을 말하는 것에 불과, ‘경계’로 근본을 탐구해야
10. 이백은 기상으로 뛰어나
11. 풍연사는 깊고 아름다우며 넓고 간약, 온정균은 정묘
12. 온정균, 위장, 풍연사의 가사와 사풍
13. 이경의 사는 황량하고 쓸쓸한 감회가 있어
14. 온정균, 위장, 이욱의 뛰어난 점
15. 이욱에 이르러 시야가 넓고 감개가 깊어
16. 사 작가는 아이의 천진한 마음을 잃지 않는 사람이라야
17. 서사 시인은 세상 경험이 많아야 하지만, 서정 시인은 그럴 필요는 없어
18. 피눈물로 쓴 이욱의 사
19. 풍연사의 사는 북송 시대의 기풍을 열어
20. 위응물, 맹호연의 명구라도 풍연사의 사보다 좋을 수 없어
21. 구양수의 명구는 풍연사의 사에 근거하지만 더욱 세련
22. 구양수는 풍연사의 사풍을 배우려
23. 봄풀의 영혼을 노래한 가락들
24. 안수의 작품은 《시경·겸가》와 시인의 깊은 정취를 최고로 표현
25. 삶과 세상의 근심을 노래한 시와 사
26. 문학도 문학 수양과 예술 능력을 배양, 연마하는 과정을 거쳐야 위대한 작품이 나올 수 있어
27. 구양수의 사는 호방한 가운데 진지하며 들뜨지 않은 정취가 있어
28. 진관은 불행한 신세를 노래하여 운미와 정취가 흘러넘쳐
29. 진관의 사는 〈답사행〉에 이르러 처참하고 격양돼
30. 역대의 시와 사 가운데 기상이 비슷한 작품들
31. 사에는 도연명과 설수의 기상이 적어
32. 전아와 음란의 구별은 정신에 있고 외형에 있지 않아
33. 주방언은 음조에는 뛰어나지만, 뜻에는 뛰어나지 못해
34. 사는 대체자 사용을 꺼려
35. 대체자로 뛰어남을 삼는다면 사가 필요 없어
36. 주방언은 경물의 본질을 파악하고, 강기는 안개 사이로 경물을 본 것 같아
37. 사 작가의 문재에 따라 작품 수준이 결정돼
38. 경물에 대한 노래는 소식이 최고
39. 경물 묘사에서 시인의 감정과 언어 사이에 간격이 있는 작품들
40. ‘간격이 있는 것’과 ‘간격이 없는 것’의 구별
41. 참된 감정과 경물을 묘사해야 ‘간격이 없는[不隔]’ 작품이 될 수 있어
42. 강기의 사는 ‘의경’을 강구하지 않아 언외의 맛, 현외의 소리가 없어
43. 신기질의 사는 성정과 경계가 있어서 뛰어나
44. 소식은 광달, 신기질은 호방, 두 사람과 같은 흉금이 있어야 그들을 배울 수 있어
45. 소식과 신기질은 초탈의 정취가 있고, 강기는 속세에 구속돼
46. ‘광자’·‘견자’·‘향원’ 부류의 사 작가
47. 사 작가의 상상은 과학 이치와 밀접하게 부합
48. 주제와 유희재의 말을 빌려 사달조와 주방언을 평가
49. 주제의 평가만큼 오문영의 사는 아름답지 않아
50. 오문영과 장염의 사풍(詞風)을 그들의 사구(詞句)로 개괄하면
51. 시는 사영운·사조·두보·왕유의 작품이 천고의 장관, 사는 납란성덕의 변새 작품이 그러해
52. 납란성덕은 자연스런 눈과 언어로 사물을 관찰하고 감정을 표현
53. 사는 감정을 표현하는 새로운 체제가 되어 높은 성취에 도달
54. 문학 체제는 구투와 구속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에서 창조되어
55. 제목은 작품의 뜻을 표현할 수 없어, 제목이 생겨 시와 사가 없어져
56. 대가의 작품은 가슴 깊이 파고들고, 이목에 생생하게 펼쳐져
57. 시나 사의 창작에서 금기해야 할 사항
58. 전고를 사용하지 않아도 출중한 문재를 드러낼 수 있어
59. 시와 사의 체제
60. 시인은 우주와 인생에 대해서 반드시 그 내부로 들어가고 또 그 외부로 나와야
61. 시인은 반드시 외부 경물을 경시하면서도 중시해야
62. 음란과 비속은 허황되고 진실하지 못한 말의 병폐
63. 마치원의 〈천정사〉는 절구의 묘경을 깊이 체득
64. 작가에 따라 잘하고 못하는 장르가 있어
권2 인간사화 미간고
1. 좋아하는 강기의 사 두 구절
2. 시와 사는 교제 도구가 됨으로써 쇠락
3. 문의를 정확하게 이해해야
4. 남송의 사는 천박한데, 근인들은 도리어 숭상
5. 나는 장조 짓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6. 내 친구 선훙의 사는 안수와 안기도의 풍격을 가지고 있어
7. 나는 사의 새로운 경계를 개척하고 최고의 예술 경지를 추구
8. 장르의 발전은 국민의 문화 수준과 연관되고 창작 규율과도 관계있어
9. 하주의 사는 진실한 뜻이 적어
10. 배우기 쉽지만 잘 쓰기 어렵고, 배우기 어렵지만 잘 쓰기 쉬운 장르
11. 시와 사는 감정을 억제하지 못해 발생하는 예술
12. 문학상의 관습은 천재를 죽여
13. 서정 문학으로 시와 사의 예술 특성
14. 경계는 근본, 기질·신운은 말단
15. 나의 ‘경계’가 있어야, 남의 ‘경계’도 내 것이 될 수 있어
16. 순전히 감정만을 표현한 언어로 절묘한 경지에 이른 작품들
17. 장조로 뛰어난 작품들
18. 신기질의 〈하신랑〉은 신묘의 경지에 이르러
19. 신기질, 한옥의 사는 북곡 사성통압의 선례
20. 장춘림, 항홍조의 사는 장점은 있지만, 납란성덕과 비교할 수 없어
21. 하상의 장염 사에 대한 평가
22. 주제의 장염 사에 대한 평가
23. 사론가들의 북송 사와 남송 사에 대한 평가
24. 당·오대·북송의 사는 “천연 향기와 본래의 색”, 명 대의 사는 “채색한 꽃”
25. 왕사정의 사
26. 담헌, 주샤오짱의 사는 뛰어나지만, 자연스럽고 신묘한 경지에는 이르지 못해
27. 송징여, 담헌의 사는 감흥 기탁이 심오하며 미묘해
28. 왕펑윈의 사를 읽으면 감정을 억제할 수 없어
29. 작품 해석에서 장혜언의 왜곡
30. 사달조의 평가는 하상보다는 강기의 관점을 따르고 싶어
31. 시와 사는 자연·청신·진실의 정감이 중요, 자구 찾아 고심하는 것은 정신 낭비
32. 북송 사에는 좋은 구가 있지만, 남송 이후로는 없어져
33. 주밀과 장염의 사는 무미건조
34. 사달조, 장염의 구는 경구라 할 수 없어
35. 문천상의 사는 풍격이 높고 경계도 있어
36. 북송 사와 사달조 이후의 남송 사
37. 사집 《초당시여》와 《절묘호사》의 비교, 평가
38. 《고금사화》는 송·명 대에 존재했고, 청 대 심웅이 편찬한 것은 다른 것
39. 사 작가는 시인의 시각을 가져야지, 정치가의 시각을 가져서는 안 돼
40. 송 대의 필기는 믿을 수 없어
41. 좋은 구는 있으나 훌륭한 작품은 없고, 훌륭한 작품은 있으나 좋은 구는 없어
42. 가무·기예인의 사가 될지언정 속인의 작품이 될 수 없어
43. 구양수라야 〈접련화〉 같은 작품을 쓸 수 있어
44. 애정 가사는 지을 수 있지만, 경박하고 교묘한 말은 지을 수 없어
45.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에도 충실한 뜻을 가져야
46. 역대 시집과 사집에는 평선 준칙, 의취, 예술 풍격에서 비슷한 유형이 있어
47. 명 말, 청 초 및 청 중기·말기 사론에서 두 가지 잘못된 점
48. 소식과 강기의 ‘광달’의 차이
49. 사는 서정 문학이라서 내재미가 더욱 중요
50. 모든 사물은 창작의 소재, 창작은 열정으로 진행해야 하며 해학·엄중이 병존해야
권3 인간사화 산고
1. 시와 사에서 쌍성과 첩운의 문제
2. 쌍성, 첩운은 평측의 구속을 받지 않아
3. 시와 사의 제목은 자연과 인생 때문에 일정한 제목이 없어
4. 경물을 묘사한 언어는 바로 감정을 표현한 언어
5. 진실한 감정을 표현하면 공자 문하에서도 삭제되지 않아
6. 〈장상사〉는 옛날 가사, 백거이가 지은 구가 아니다
7. 화응의 〈장명녀〉
8. 원 대 잡극의 선성이 되는 작품들
9. 치어와 그 연출 형식
10. 《존전집》의 편집 연대와 편집자
11. 훌륭한 음악은 창시를 잘해야 하지만 계승도 잘해야
12. 문학 체제는 창시·발전·쇠락의 과정이 있고, 우수한 작가와 작품은 발전의 극성 시기에 나와
13. ‘음란한 사’, ‘저속한 사’, ‘유희의 사’
권4 인간사화 부록
1. 쾅저우이의 사
2. 쾅저우이의 〈동선가〉, 〈소무만〉은 ‘의경’이 주방언과 유사
3. 주샤오짱의 〈완계사〉는 필력이 웅건하며 빼어나
4. 쾅저우이의 듣는 노래 중에 〈만로화〉가 뛰어나
5. 황보송의 사 중에 〈억강남〉은 정취가 심원
6. 위장의 사는 감정이 심후하고 언어가 아름다워
7. 모문석의 사
8. 위승반의 사
9. 고형의 사
10. 모희진의 사
11. 염선의 사는 〈임강선〉 제2수가 뛰어나
12. 장필의 〈완계사〉가 그윽하며 염려
13. 손광헌의 사
14. 주방언의 예술 성취는 두보와 같아
15. 주방언의 사에 대한 강환의 평가는 ‘지언’을 한 것
16. 주방언의 사는 사람 마음에 깊이 파고들어
17. 주방언은 분노·불평 속에 온화·완곡이 풍부하고, 빠름과 느림, 청탁과 억양이 조화를 이루어
18. 운요집 가운데 〈천선자〉
19. 하언은 명 대 사의 명맥을 진작시켜
20. 판즈허우 《인간사》 서문(1) : 문학은 경물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감흥을 심원하게 기탁해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
21. 판즈허우 《인간사》 서문(2) : 문학의 관건은 ‘의’와 ‘경’의 심미 결합에 있어
22. 구양수의 〈접련화〉
23. 주방언의 《청옥안》
24. 진관의 〈화당춘〉은 청출어람의 묘미가 있어
25. 강기의 사는 그래도 내용은 있지만, 장염은 단지 걸인과 같아
26. 주방언의 사는 억지로 꾸미는 병폐가 있어
27. 장염을 숭상하는 이유는 모방하기 쉬워서
28. 역대 사 작가에 대한 나의 관점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1
문학이란 작가가 내부로는 자신의 뜻을 충분히 펼치고 외부로는 독자를 충분히 감동시키는 것으로, 그 관건은 ‘작가의 뜻[意]’과 ‘경물[境]’ 두 가지일 뿐이다. 최상의 문학은 ‘작가의 뜻’과 ‘경물’이 혼연일체가 되는 것이고 그다음은 경물이 뛰어나거나 혹은 작가의 뜻이 뛰어난 것이다. 만약 그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빠지면 문학이라고 할 수 없다.
2
세 사람이 주방언 사를 따라 지었고, 두 사람이 주방언 사에 주석을 달았다. [강환(强煥)본에도 주석이 있는데, 이 내용은 (명나라) 모진의 발(跋)에 보인다.] 사대부에서 부녀자에 이르기까지 주방언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없었으나, 각종 근거 없는 유언비어도 이로부터 일어났다. 그러나 그의 사가 이처럼 사람 마음에 깊이 파고들지 않았다면, 어떻게 이와 같은 경지에 도달할 수 있었겠는가?
3
시인은 모든 외물을 모두 정신 유희(문학 창작)의 소재로 본다. 그러나 그들의 유희는 열정으로 진행해야 한다. 때문에 해학과 엄중 이 두 가지 특성 가운데 하나라도 빠지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