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공지능, 그 영혼의 무게는 얼마인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본질, 특히 ‘영혼’이라는 개념과 어떻게 교차하는지를 철학적·문화적으로 조망한다. 고대 그리스의 ‘프시케’ 개념에서 출발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파스칼 등 서구 철학자들이 영혼을 어떻게 정의해 왔는지를 되짚는다. 영화 〈아이, 로봇〉, 〈프로메테우스〉, 일본 애니메이션 속 AI 캐릭터 등 대중문화 속 인공지능을 분석하며, 기계가 과연 감정과 의식, 초월성까지 지닐 수 있는 존재로 진화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챗봇, 섹스봇, 마인드 업로딩, 초지능 개발 같은 최신 AI 기술 흐름 속에서 인간의 영혼 개념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인간의 인격성과 도덕성, 영성은 단순히 계산 능력이나 기능으로는 구현될 수 없다. 진정한 인공지능의 미래를 위해서는 인간됨의 조건을 새롭게 성찰해야 한다.
200자평
인공지능이 단순한 기계 지능을 넘어 인간의 영혼과 인격을 가질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서구 철학의 영혼 개념과 AI 기술 발전을 연결하고, 일본 애니메이션과 서구 대중문화의 사례를 살피며 인간됨의 본질을 재조명한다.
지은이
박욱주
연세대학교 신과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의 연구교수로 재직 중인 저자는 연세대학교에서 종교철학 전공으로 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 대학 신과대 학부와 연합신학대학원에서 그리스도교 철학, 현대 실존철학과 현상학을 중심으로 종교철학 연구사 및 연구방법론에 대해 연구와 강의를 병행하고 있다(2016∼현재). 한국연구재단(NRF) 신진연구자 및 연구교수 지원사업을 통해 마르틴 하이데거, 디트리히 본회퍼,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종교적 실존 및 윤리에 대한 사유와 인공지능학의 융합연구를 수행해 왔다(2019∼현재). “수학적 추상화가 유발하는 인공지능 오작동: 윤리적 감성과 감정에 대한 레비나스의 고찰에 입각한 기술적 대안 탐구”(2023), “Artistic Beauty and Religious Sublimity”(2021), “Imagining Divine Beauty”(2020), “History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Dentistry”(2018) 등 스무 편 이상의 논문을 A&HCI, SCOPUS, KCI 등재학술지에 게재했다.
차례
영혼으로 진화한 인공지능
01 코다마와 엔트: 만물에 깃든 신
02 모르페와 프시케: 생명과 생각을 주는 영혼
03 코기토와 갈대: 합리와 비합리 사이의 영혼
04 말하는 우상과 오토마타: 생명을 담은 인형의금기
05 튜링과 다트머스: 모든 것이 가능한 기계
06 아톰과 마징가 Z: 공생공존의 알레고리
07 터미네이터와 메간: 적자생존의 알레고리
08 챗봇과 섹스봇: 마음과 몸의 새로운 동반자
09 에코와 플린트: 흉내 내기의 화신
10 고스트와 마기: 진화 혹은 초월의 기계
책속으로
1980년대 기상학 분야에서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기상 예측 연구가 시작되었고, 최근 딥러닝 기반 모델들을 활용한 기상 예측, 분석 연구가 활발하다. 전통적인 규칙 기반의 초창기 인공지능이 아닌, 오늘날 주로 사용되는 데이터 기반의 학습 방법을 사용하는 인공지능 연구의 실제 사례와 관측 데이터를 통해 기상 현상을 예측하려는 시도를 소개한다.
-04_“기상 패턴을 배우는 인공지능” 중에서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 화웨이, NVIDIA와 같은 많은 빅테크 기업들이 기상 예측 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NVIDIA는 디지털 어스를 개발하고자 하고, 화웨이는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예측 모델을 보유한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웹 플랫폼에 자사의 인공지능 모델을 탑재했다.
-06_“빅테크 기업의 기상 예측 경쟁” 중에서
기상학 분야에서는 오랜 시간 기상학자들이 컴퓨터를 활용해 계산, 분석, 예측을 진행해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다. 인공지능이 기상 현상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새로운 도구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시점에 인공지능이 기상 예측 및 의사 결정에 기상학자들과 어떻게 협력해 기여할 수 있을지 살펴본다.
-10_“기상학자와 인공지능의 협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