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저널리즘 인터뷰의 모든 것을 정리한다. 인터뷰가 무엇이고, 인터뷰에는 어떠한 형식이 있으며, 어떤 인터뷰가 좋은 인터뷰인지 알아본다. 저널리즘학적으로 인터뷰를 규정하고, 다양한 인터뷰 기술도 소개한다. 인터뷰와 관련된 미디어법 등에 관해서도 총체적으로 다루었다. 실제 인터뷰 사례와 인터뷰 기사가 실려 있어 이론과 실무를 함께 익힐 수 있다.
지은이
미하엘 할러
라이프치히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자 국제 저널리즘 전문 학술지 ≪메시지≫의 편집장이다. 바덴 지역신문 ≪바디셰 차이퉁(Badische Zeitung)≫의 견습 기자를 시작으로 스위스 바젤 지역신문 ≪바즐러 차이퉁(Basler Zeitung)≫, 취리히 주간신문 ≪벨트보헤 (Weltwoche)≫, 독일 시사주간지 ≪슈피겔(Der Spiegel)≫, 주간신문 ≪디 차이트(Die Zeit)≫ 등에서 편집과 취재 기자 생활을 했다. 저서로는 『조사연구(Recherchieren)』, 『르포(Die Reportage)』, 『매체 윤리(Medien-Ethik)』, 『매체 문화(Die Kultur der Medien)』, 『독립성의 이상(Leitbild Unabhangigkeit)』 등이 있다.
옮긴이
강태호
한국교원대학교 독어교육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고, 독일 부퍼탈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독어독문학회,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한국독일어문학회, 한국독일언어문학회 등에서 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은 “기록영화에 있어서 기록과 연출”(공저), “다큐멘터리에 있어서 주관성과 신빙성”, “기록문학과 기록영화의 장르 특성 비교 연구” 등이 있으며, 저서는 『독일현대문학의 이해』(공저), 역서는 『헤세로부터의 편지』가 있다.
차례
1장 인터뷰란 무엇인가?
1. 인터뷰와 관련된 장르
1.1. 저널리즘과 학문의 상호 영향
1.2. 범죄학적 인터뷰(심문)
1.3. 진단 인터뷰
1.4. 테스트 인터뷰
1.5. 여론조사
1.6. 거리 인터뷰(대중을 상대로 한 질문조사)
1.7. 심리치료 인터뷰
1.8. 요약: 인터뷰 장르의 특징
2. 인터뷰의 정의
2.1. 사전이나 교재의 인터뷰 정의
2.2. 대화적 의사소통 관계의 특징
2.3. 질문조사의 일반적 특징
3. 저널리즘 인터뷰
3.1. 저널리즘 인터뷰의 특징
3.2. 저널리즘 인터뷰의 유형
2장 저널리즘 인터뷰 형식
1. 테마: 누구에게 무엇에 관해 질문할 것인가?
1.1. 사건이 문제가 될 때
1.2. 인물이 문제가 될 때
1.3. 인물과 사건이 동시에 문제가 될 때
2. 인터뷰 상대자: 누구와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
2.1. 전문가
2.2. 목격자
2.3. 중심인물
2.4. 대중
2.5. 저명인사
2.6. 작가/사상가/예술가
2.7. 정치가
2.8. 영웅
2.9. 보통 사람
3. 프레젠테이션: 어떤 형식이 적합한가?
3.1. 직접 인용이 포함된 보고
3.2. 인터뷰 박스기사가 포함된 보고
3.3. 정형화된 인터뷰
3.4. 인물 스케치
4. 인터뷰 형식의 몇 가지 예
4.1. 저명인사와의 짧은 인터뷰
4.2. 예술가/사상가/작가
4.3. 테스트 인터뷰
4.4. 거리 인터뷰 ‘분위기 스케치’
4.5. 인물 스케치
4.6. 중심인물 인터뷰
4.7. 전문가 인터뷰
4.8. 보통 사람 인터뷰
4.9. 인터뷰 박스기사
4.10. 저명인사와 영웅 인터뷰
3장 인터뷰 방법
1. 인터뷰 사전 준비
1.1. 인터뷰 상대자 섭외
1.2. 인터뷰 계획
1.3. 인터뷰 대상과 목표
1.4. 인터뷰 상대자의 역할
1.5. 인터뷰 구성
1.6. 사전 대화
2. 인터뷰 진행
2.1. 질문하기
2.2. 특히 인터뷰 상대자의 답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질문 종류
2.3. 테마에 중점을 두는 질문의 종류
2.4. 대화 조종을 목적으로 한 질문의 종류
2.5. 질문 종류와 공정성
2.6. 대화의 조종
2.7. 논증
2.8. 정서적 의사소통 차원
3. 인터뷰 진행의 심리학
3.1. 인터뷰 상황: 표층과 심층
3.2. 비언어적 표현
3.3. 구성적 대화 전략
3.4. 의사소통의 문제
4장 미디어법과 인터뷰
1. 질문조사와 인터뷰에서 법적으로 중요한 요소
1.1. ‘방게만 사건’ – 인터뷰란 무엇인가?
1.2. 사건의 법적인 문제
2. 일반적인 개인 권리
2.1. 기본 원칙
2.2. 동의의 계율
2.3. 녹음의 가능성
3. 인터뷰 상대자의 영향권
3.1. 방송 인터뷰 영향권 행사
3.2. 인쇄매체 인터뷰 영향권 행사
3.3. 허가된 인터뷰의 철회
4. 저작권
4.1. 인터뷰 기자와 인터뷰 상대자
4.2. 사실 주장의 기록
4.3. 개인적인 특성을 지닌 진술의 기록
4.4. 편집진에 의한 원고 수정
4.5. 언론 공개 장소(지면)
4.6. 인터뷰 텍스트의 추가 인쇄
5. 인터뷰 내용에 대한 책임
5.1. 형사상의 책임
5.2. 민사상의 책임
5장 글로 기록된 대화 - 인쇄매체 인터뷰의 특수성
1. 폭넓은 인터뷰 상대자 후보 그룹
1.1. 소외집단 대표자
1.2. 다수의 인터뷰 참여자
2. 대화 상황의 다양성
2.1. 자유로운 장소 선정
2.2. 유동적인 대화 테마
3. 대화 진행의 특수성
3.1. 실험과 테스트
3.2. 코멘트
4. 정형화된 인터뷰 텍스트의 편집
4.1. 대화 상황 표현하기
4.2. 언어 환경, 유행어, 속어
4.3. 방언 인터뷰
4.4. 편집 작업
4.5. 추가 정보
5. 인쇄 허가는 언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5.1. 인터뷰 상대자의 인쇄 허가 규정
5.2. 편집진의 통상적인 방식
6. 보고 인터뷰 형식
6.1. 인용 보고
6.2. 인물 스케치
7. 인쇄매체 인터뷰는 사실적인가?
6장 방송 인터뷰 - 방송매체 인터뷰의 특수성
질문하기, 이야기하기, 반응하기: 방송매체 인터뷰에 관하여 – 하이너 케펠리
목소리와 이야기 방식
육체 언어
외모와 의상
즉흥 발언
인터뷰 사전 준비
방송 마이크에 대한 두려움
초반 긴장 완화하기
질문 목록 또는 키워드 메모?
인터뷰 도입부
대화 조종
전달자로서의 인터뷰 기자
테마와 테마 바꾸기
메타 의사소통: 생각하고 반응하기
말 끊기
나쁜 인터뷰 형태
책속으로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두 가지 목적을 이루고자 한다. 한 가지는 인터뷰를 ‘정보 획득을 목적으로 한 전문적인 질문조사’로 매체학적으로 규정하는 일이며, 또 한 가지는 저널리즘 현장 경험을 토대로 인쇄매체와 방송매체 인터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을 소개하는 일이다.
_ ‘서문’ 중에서
저널리즘의 관점에서 볼 때, ‘인터뷰’라는 단어의 어원사적 정의에 끼어들어간, 목적 없는 대화를 지칭하는 ‘Unterhaltung’이라는 단어로 인해 혼란이 가중되었다. 지역신문 기자가 편집장에게 가는 길에 우연히 시립극장의 극장장을 만나서 다음 시즌 공연계획에 관해 대화를 나누게 되었다면, 그것은 인터뷰인가? 텔레비전 토크쇼 진행자가 초대된 세 명의 저명인사들과 남성복의 최신 경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면, 그것은 인터뷰인가?
형식 없는 단순한 대화인지, 목적을 지닌 질문조사인지 또는 출판이나 방송될 가치가 있는 인터뷰인지는 대화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저널리스트의 의사소통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저널리스트는 정보 가치가 있는 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하며, 단순한 대화와 질문조사와 대담 사이의 차이점을 알고 이를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
처음에 이 실습생은 ‘인터뷰’란 단순히 저널리즘 질문조사와 같은 말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이 대화(혹시 이것도 인터뷰였는가?)의 진행 과정에서 모든 질문 상황이 저널리즘 인터뷰일 수는 없다는 점이 분명해졌다. 사실상 ‘인터뷰’는 임의의 질문이 아니라 언론사의 흐름 속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수용 과정을 통해 형성된 하나의 형식이다.
_ ‘1장 인터뷰란 무엇인가’ 중에서
추천글
인터뷰는 상대가 경험한 세계와의 만남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점에서 섬세함과 강인함을 동시에 요구하는 기술이다. 상대의 지위와 직업과 시대와 표현력 등 다면적 코드에 맞춰야 하고, 기꺼이 대화를 이어갈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 결과 말하고 싶지 않았던 사실, 기억 저편에 묻어 두었던 경험까지 말하게 해야 한다. 미하엘 할러의 『인터뷰』에는 이 모든 기술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인터뷰 기술을 연마하려는 이들의 시행착오 기간을 대폭 줄여 줄 것이다.
_ 손병우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기자로 산다는 것은 인터뷰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 취재와 기사 작성의 전 과정에 빠지지 않는 것이 인터뷰다. 그러나 이처럼 가장 기초적인 저널리즘 영역인 인터뷰는 동시에 가장 고난도의 저널리즘 형식이기도 하다. 이 책은 인터뷰의 세계에 대한 모든 것을 꼼꼼하게 풀어낸 백과사전이자, 인터뷰 기술 노하우를 전수하는 교과서다. 인터뷰어들이 현장에서 참고할 만한 실무적인 도움말과 함께 인터뷰 형식에 대한 매체학적 규정도 소개한다. 이런 책이 출간되고 언론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서구 저널리즘의 프로페셔널한 풍토와 역사가 부럽다.
_ 양성희 ≪중앙일보≫ 기자
방송기자 생활을 시작한 지도 12년째. 기자 생활을 하며, 가장 많이 한 일은 무엇일까? 자문해 보면 사람 만나는 일, 바로 인터뷰다. 그동안 경험을 통해 체득하고 이해한 인터뷰에 대한 생각의 조각들이 이 책을 읽는 동안, 하나의 퍼즐로 완성되는 느낌을 받았다.
_ 이성훈 KBS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