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 지구촌고전 / 일본의 종교
일본의종교_사상_표지자켓_120824

일본의 종교

읽기   인티   인티  

            
원서명 日本の宗敎
지은이 무라카미 시게요시 (村上重良)
옮긴이 강용자
책소개

일본의 종교는 원시사회에서 고대·중세·근세·근대를 거쳐 현대에 달하는 긴 역사의 발자취와 함께 다채로운 전개를 이루며, 풍요로운 종교 문화를 만들어왔다. 오늘날의 일본 종교는 크게 불교, 신도, 기독교, 신흥종교의 네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일본 사회에는 이러한 여러 계통의 400개가 넘는 종교가 공존하고 있는데, 원시 농경 사회에서 시작하여 집단 종교의 조직을 계속 유지해 온 신도의 존재가 특이하다. 종교의 다원적인 병존과 의례 중심의 집단 종교인 민족종교의 존속이 일본 종교의 두드러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인의 사고 구조를 다른 말로 하면, 총체적으로는 일본 사상, 다소 협의로는 일본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철학이란 말에 대해선 동서양의 인식 차이가 있어, 동양에서는 철학보다는 사상이라는 포괄적인 용어가 더 적당할 듯하다. 특히 일본 사상이라면, 동양인의 인식 구조가 그러하듯, 우선 종교의 세계가 그 사상을 절대적으로 지배하는 배경이 될 것이다. 그래서 근대적 시각으로 일본 철학, 혹은 일본 사상을 취급한다 해도 그 전제로 일본의 종교에 대한 탐구는 필수적인 수순이 된다. 이는 동양에서의 공통적인 양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제까지 일본에 대해 문외한이었다 하더라도 본문을 한번 읽어보는 것으로 일본인과 일본 역사, 사회, 종교 등에 대해서 훌륭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군더더기 없는 명료한 설명도 훌륭하다.


 
200자평

일본을 알고 일본인을 알기 위해서는 그들의 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 이는 수천 년의 역사, 또 그 역사 속에서 남겨진 문학, 나아가 그들의 종교를 아는 일이다. 이 책은 일본의 철학·사상·종교를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길잡이다.


 
지은이

무라카미 시게요시는 1928년 도쿄에서 출생했다. 1952년 도쿄대학 문학부 종교학 종교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 대학 강사, 류코쿠(龍谷)대학 강사를 거쳐 현재 게이오(慶應)대학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의 종교, 특히 국가신도, 신종교, 현대의 종교 문제 등의 연구로 알려져 있다. 이 책의 자매편으로서 ≪세계의 종교≫(이와나미 주니어신서)가 있고, 그 외 ≪국가신도≫, ≪위령과 초혼≫, ≪천황의 제사≫(이상 이와나미신서), ≪일본 종교 사전≫ 등의 저서가 있다.


 
옮긴이

강용자는 일본 고쿠가쿠인대학(國學院大學)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만엽집(萬葉集)≫을 텍스트로 해 한일 간 고대 문화의 관계를 전공했으며 부산대학교, 동아대학교, 부경대학교, 경남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해양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의대학교를 거쳐 현재 창원대학교에 출강한다.
번역서로 ≪일본 풍토기≫(동아대학교 출판부, 1999), ≪여제(女帝)의 사랑-시인(詩人)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柿本人麻呂)≫(제이플러스, 2003), ≪인터넷 시대의 종교≫(도서출판 역락, 2005), ≪양생훈≫(지식을만드는지식, 2008), ≪풍토기≫(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일본의 종교≫(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법세 이야기≫(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만엽집≫(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萬葉 祈禱文化考>, <≪萬葉集≫에서 보는 他界觀>, <萬葉 ‘夢’考>, <萬葉 神觀考>, <萬葉 天皇考> 등이 있다.


 
차례

이 책을 읽는 법

I. 일본의 원시종교(原始宗敎)
조몬 시대(繩文時代)의 종교
벼의 농경의례
야마타이코쿠(耶馬台國)의 여왕 히미코(卑彌呼)
고분(古墳)
제사 유적
원시신도(原始神道)

II. 고대 종교
1. 고대국가와 신도·불교
고대신도
기키 신화(記紀神話)
불교 전래
아스카 불교(飛鳥佛敎)와 쇼토쿠 태자(聖德太子)
나라 불교(柰良佛敎)
대불개안(大佛開眼)
교키(行基)
도교와 유교의 전래
신기 제도(神祇制度)의 성립
2. 진호국가의 불교
천태종(天台宗)과 사이초(最澄)
히에이잔 엔랴쿠지(比叡山延曆寺)
밀교(密敎)와 진언종(眞言宗)
고야산(高野山)과 구카이(空海)
신불습합(神佛習合)
본지수적설(本地垂迹說)
어령 신앙(御靈信仰)과 천신(天神)
정토교(淨土敎)
말법사상(末法思想)
미륵(彌勒), 지장(地藏), 관음 사상(觀音思想)

III. 중세 종교
1. 가마쿠라 불교(鎌倉佛敎)
정토종(淨土宗)과 호넨(法然)
진종(眞宗)과 신란(親鸞)
시종(時宗)과 잇펜(一遍)
임제선(臨濟禪)과 에이사이(榮西)
조동선(曹洞禪)과 도겐(道元)
법화경(法華經)의 행자 니치렌(日蓮)
법화경 본문의 가르침
구불교의 개혁
2. 남북조(南北朝)·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의 종교
이세신도(伊勢神道)와 삼종(三種)의 신기(神器)
야마부시종교(山伏宗敎)·수험도(修驗道)
오산문화(五山文化)
잇코잇키(一向一揆)와 렌뇨(蓮如)
일련교학(日蓮敎學)과 법화잇키(法華一揆)
요시다신도(吉田神道)

IV. 근세 종교
1. 기독교
기독교의 전래
기독교의 발전
에도막부의 종교통제
시마바라난(島原亂)과 잠복 기독교
2. 막번제 사회의 종교
유가신도(儒家神道)
현세 이익 신앙의 유행
후지(富士)와 기소온타케(木曾御嶽) 신앙
존왕사상과 복고신도
여래교(如來敎)·구로즈미교(黑住敎)
천리교·금광교

V. 근대 종교
신불분리 분리와 배불훼석
국가신도
근대의 기독교
불교의 근대화
대본교(大本敎)·히토노미치·영우회(靈友會)

VI. 현대 일본의 종교
신교의 자유와 정교분리(正敎分離)
입정교성회·창가학회
오늘날의 일본 종교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일본 종교의 시작은 선토기 문화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나 석기를 사용하여 생활한 이 시대 사람들의 종교 생활이나 종교관에 대해서는 거의 알 수 없다. 조몬 문화 시대가 되면, 토기가 만들어지고 유적이나 출토품도 함께 많아져 이 시대 사람들의 종교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9쪽

6세기 중반 백제 성명왕(聖明王)은 일본의 긴메이 천황(欽明天皇)에게 상표문에 덧붙여서 금동제 석가상, 번과 천개, 경론 몇 권을 바친다. 이것이 일본의 공식적인 불교 전래로 538년(552년이라고도 한다)의 일이라고 한다.
-38~39쪽



서지정보

발행일 2012년 8월 16일
쪽수 272 쪽
판형 128*188mm ,  210*297mm
ISBN(종이책) 9788966803248   02200   18000원
ISBN(PDF) 9791130486987   05200   14400원
ISBN(EPUB) 9791130413495   05200   14400원
ISBN(큰글씨책) 9791130454962   03220   30000원
분류 인문, 지구촌고전, 지만지
종교학
Facebookgoogle_plus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가기
    • 주제로찾기
      • PR
      • 광고
      • 뉴미디어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문화콘텐츠
      • 미디어산업과정책
      • 미디어론
      • 방송/영상
      • 스피치와작문
      • 영화
      • 저널리즘
      • 정기간행물
      • 커뮤니케이션학
      • 한국어
    • 컴북스는?
    • 지만지가기
    • 주제로찾기
    •    지구촌고전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한국문학
      • 동시
      • 동화
      • 문학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희곡
    •    기타
    • 상세주제로보기
    • 청소년특선
      • 청년고전247(모바일)
      • 청년고전247(PC)
    • 태그
    • 지만지는?
    • 학이시습가기
    • 주제로찾기
    •    HRD
    •    공교육개혁과대안
    •    교수학습방법
    •    문해학습과실천
    •    이론&역사연구
    •    일상에서배우기
    •    진로설계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학이시습은?
    • 지식공작소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지식공작소는?
    • 노마
    •    노마는?
    • 기획시리즈
    • 오디오북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세계 환상문학 걸작선
      •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 한국동화 문학선집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 지만지 한국희곡 선집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
    • 자료실
    • 컴북스닷컴
    •    저자
    •    철학
    •    혁신
    •    편집
    •    디자인
    • 튜토리얼영상
    •    열람서비스
    •    컴북스캐시충전
    •    리딩패킷
    • 도서관의친구
    • 도서관을위한강연
    • 도서관을위한도서목록
    • 사서를위한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