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국내 최초로 일본 명작 단편을 인생, 재난, 근대, 동물, 광기, 남녀, 계절, 일상, 허무, 구원 등 10개의 주제로 출판했다. 이처럼 일본 문학을 주제별로 10권 발행한 것은 국내 출판에 전례가 없는 일이다. 작품 127편, 작가 42명, 역자 63명이 참여했다. 대표 기획위원은 최재철 한일비교문화연구소 소장(한국외대 전 일본어대학 학장)이다.
≪일본 명단편선≫을 기획한 의도는 무엇보다도 국내의 일본 문학 소개가 몇몇 현대 인기 작가의 대중적 작품이나 추리 소설류에 편중되어 있다는 사실에 안타까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우수한 일본 근현대 단편 명작들을 찾아, 전문가에 의한 질 높은 번역과 적절한 작품 해설 및 작가 소개, 풍부한 주석 등을 독자에게 제공해 가벼운 일본 문학을 소비하는 독서 풍조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번 기획의 목표는 이처럼 국내 독자들의 일본 문학에 대한 편식을 일깨우고자 함이 그 첫 번째다. 그리고 19세기 말 메이지 시대의 작품부터 전후(戰後)의 작품까지를 망라함으로써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본 흐름과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체계적 읽기를 지향하는 것이 두 번째다.전 10권에는 근현대 일본의 주요 작가들이 다 포함되어 있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다자이 오사무, 나쓰메 소세키, 사카구치 안고, 다니자키 준이치로, 시마자키 도손 등 한국에 널리 알려진 작가들의 작품 외에 가지이 모토지로, 니이미 난키치, 도쿠다 슈세이, 우메자키 하루오, 하야마 요시키, 히사오 주란 등 다소 생소한 작가들의 명작들도 포함되었다. 재일 한국인 작가 김사량의 작품도 들어 있다.
특히 일본 근현대 문학사에서 위상에 비해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접하기 어려웠던 초역 작품들이 여러 편 포함되었다는 것도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초역 작품들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한 줌의 흙> · <의혹>, 사카구치 안고의 <죽음과 콧노래> · <진주> · <전쟁과 한 명의 여인>,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증념> 등을 비롯해 이즈미 교카의 <그림책의 봄>, 이시카와 다쿠보쿠의 <두 줄기의 피> 등 20여 편이다.
‘완성도 높은 명단편선’이 되도록 번역은 원문에 충실하되 한국어로 읽히는 가독성을 고려하고, 각주는 직간접 일본 체험을 반영한다는 ‘문화 번역’을 따랐다. 요즘 일본 문학 작품 번역에 오류가 많고, 쉽게 생략하거나 원문에 없는 어휘를 집어넣어 가독성만을 노리는 세태와는 선을 긋고자 한 것이다.
역자들은 일본 문학을 전공한 전문가들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등 해외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전공자들도 참여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200자평
메이지 시대부터 전후(戰後)의 작품까지, 일본 근현대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명단편을 모았다. 주제별 단편집 10권 출간은 그동안 한국 출판계에 전례가 없는 일이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일본 근대 작품들을 읽은 독자라면 이 시리즈를 통해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본 흐름과 전체를 체계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근현대 문학 전문가의 정확한 번역과 전문적인 해설, 풍부한 주석은 독자를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격동하는 일본 개화기와 근대화, 전후 부흥의 현장으로 안내할 것이다. 제 6권에서는 나쓰메 소세키의 <첫째 날 밤의 꿈>을 비롯해 12편의 작품을 소개한다.
지은이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1867∼1916)
1893년 도쿄제국대학을 영문과를 졸업하고 1900년 국비 유학생으로 선발된다. 영국 유학 중 신경 쇠약에 빠진다. 귀국 후 도쿄제국대학 강사로 일했지만 다시 정신 질환을 앓는다. 고양이의 눈을 통해 러일 전쟁 당시의 세태를 풍자한 ≪나는 고양이다(吾輩は猫である)≫가 인기를 끌며 국민 작가로서 입지를 굳혀 대학 교수 직을 그만두고, ≪아사히 신문≫의 전속 작가가 된다. 대표작은 ≪도련님(坊っちゃん)≫, ≪풀 베개(草枕)≫, ≪산시로(三四郎)≫, ≪마음(こころ)≫, ≪노방초(道草)≫ 등.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 1972∼1896)
전통적인 교육 방식으로 문학을 가르치는 ‘하기노야(萩の舎)’에서 고전문학을 배웠다. 어머니와 여동생 등 세 사람의 생활을 책임지는 처녀 가장으로서 궁핍한 삶을 산다. ≪아사히 신문(朝日新聞)≫ 기자이자 문학가 나카라이 도스이에게 사사하며 소설을 발표한다. 대표작은 주로 단편소설로<키대보기(たけくらべ)>,<흐린 강(にごりえ)>,<십삼야(十三夜>, <눈 오는 날(雪の日)>, <섣달 그믐날(大つごもり)>, <처마에 걸린 달(軒もる月)> 등이다. ‘하기노야’의 스승 나카지마 우타코는 이치요를 헤이안 시대의 재녀 세이쇼나곤에 비유했다.
구니키다 돗포(国木田独歩, 1871∼1908)
일본 자연주의 문학의 선구자. 자연과의 대화를 통한 자기의 확립과 문학적 표현을 획득해 인생의 애상을 서정적으로 그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작은 자연 풍경 속의 조화로운 인간을 발견한 <잊히지 않는 사람들(忘れ得ぬ人々)>과 무사시노(武蔵野)의 자연미를 시적인 요소로 함축한 <무사시노>, 사교 클럽에 모인 사람들이 인생을 이야기하는 형식을 통해 돗포의 사상을 말하는 <쇠고기와 감자(牛肉と馬鈴薯)>, 아버지가 다른 여동생임을 모르고 결혼한 남성의 고뇌를 다룬 <운명론자(運命論者)> 등.
고이즈미 야쿠모(小泉八雲, 1850∼1904)
아일랜드계 영국 출신으로 일본에 귀화했다. 40세 때 신문사 특파원으로 일본에 왔고, 중학교의 영어 교사로 정착했다. 고이즈미(小泉) 집안의 딸과 결혼해, ‘고이즈미 야쿠모’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 도쿄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하여 강의하다가 외국인 교수의 고액 급여를 절반으로 삭감한 학교와 충돌해 해고된다. 그 후임이 나쓰메 소세키였다. 이후 와세다대학 교수로 임용되지만 반 년 만에 심장병으로 세상을 떠난다. 옛날이야기 듣기를 좋아해 부인이 들려주었던 이야기를 모아 ≪괴담(怪談)≫(1904)을 발표했다.
모리 오가이(森鷗外, 1862∼1922)
도쿄제국대학 의학부를 졸업하고 군의관으로서는 최고 지위인 군의총감에까지 오른다. 4년간 독일 유학을 가서 의학뿐만 아니라 서양 문학을 두루 섭렵했다. 평론가, 번역가, 시인, 소설가로 활약, 나쓰메 소세키와 쌍벽을 이루는 작가다. 단편 소설로 <무희>, <망상(妄想)> 등이 있고, 장편 소설로 ≪청년≫, ≪기러기(雁)≫ 등이 있다. <아베 일족(阿部一族)>, <산쇼 대부(山椒太夫)>, <다카세부네(高瀬舟)><한산 습득(寒山拾得)> 등 다수의 역사 소설과 역사 전기 ≪시부에 주사이(渋江抽斎)≫ 등을 남겼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1892∼1927)
외가에 양자로 들어가 두 이모가 그를 양육하는 환경에서 자랐다. ≪신사조≫ 창간호에 <코(鼻)>를 발표해 나쓰메 소세키의 격찬을 받는다. 초기에는 일본의 고전 작품에서 소재를 얻었다. ‘왕조물’, ‘기독교물’, ‘에도물’, ‘개화기물’, ‘현대물’ 등의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나생문(羅生門)>,<마죽(芋粥)> 등 150편 정도의 단편 소설을 남겼다. 건강 악화, 염세적 경향의 심화, 어머니의 정신질환, 누이 가족이 연관된 문제, 작품 창작 등의 스트레스로 35세 나이에 수면제 과다 복용으로 세상을 뜬다. 친구인 기쿠치 간이 그를 기념해 제정한 아쿠타가와상(芥川賞)은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문학상이 됐다.
와타나베 온(渡辺温, 1902∼1930)
1924년 잡지 ≪여성(女性)≫과 ≪고락(苦楽)≫이 실시한 영화 원안 현상 공모에 <그림자(影 Ein Märchen)>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한다. ≪신청년(新青年≫ 편집장 요코미조 세이시에게 발탁되어 하쿠분칸에 입사한다. 모닝코트를 입고 신사 모자를 쓰고 출퇴근한 일화는 온의 모더니즘에 대한 심취를 나타내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다니자키 준이치로 집에 원고를 부탁하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불의의 사고로 갑작스럽게 사망한다. 향년 27세. 주요 작품으로는 <그림자(影)>, <소녀(少女)>, <병사의 죽음(兵隊の死)>, <양성구유자의 혈통> 등이 있다.
호리 다쓰오(堀辰雄, 1904∼1953)
전쟁 당시의 불안정한 시류에 영합하지 않고 꿋꿋이 자신의 문학 세계를 고수한 작가다. 전쟁 말기부터 결핵 증상이 악화해 전후에는 거의 작품 활동을 중단한 채 4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문학은 서정성이 높아 시의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 소설이라는 평가를 얻었다. 대표작으로는 <성가족(聖家族)>, ≪아름다운 마을(美しい村)≫, <바람이 분다(風立ちぬ)>, <광야(曠野)> 등이 있다. 이 대표작들에는 사랑을 통해 죽음을 넘어선 곳에서 진정한 생을 발견하고자 하는 주제 의식이 드러나 있다.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 1906∼1955)
다자이 오사무와 더불어 ‘무뢰파(無賴派)’의 대표 작가. 그를 유행 작가로 만든 것은 1946년에 발표한 <타락론>과 <백치>였다. 에세이 <타락론>에서는 전쟁에 졌기 때문에 인간이 타락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인간에게는 타락의 본성이 있고 혼란은 필연적이며, 타락을 통해 다시 일어날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타락론>을 소설화한 것이 <백치>다. 이 두 작품을 통해 일약 전후 문학의 기수가 되었다. 쇄도하는 작품 주문을 소화하기 위해 각성제와 수면제를 과다 복용한 그의 실생활은 광란의 연속이었다. <광인 유서>를 남기고 뇌출혈로 사망했다.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1909∼1948)
부모의 사랑을 모른 채 유모의 손에서 자란다. 카페 호스티스와 투신자살을 기도했는데 혼자만 살아남은 체험이 평생 죄의식으로 남는다. 진통제 파비날 중독자가 된다. 치료를 위해 입원 중 아내의 불륜으로 이혼한다. 재혼 후 비교적 안정된 생활을 누리며 활발한 작가 활동을 한다. 패전 후 윤리적 기반을 잃은 일본 사회에 가장 어울리는 무뢰파 작가로서, 사카구치 안고, 오다 사쿠노스케 등과 함께 ‘데카당스 문학’ ‘무뢰파 문학’이라 불리며 패배감에 사로잡혀 있던 일본 젊은이들에게 열광적인 지지를 얻는다. 대표작은 ≪만년(晩年)≫, ≪사양(斜陽)≫, <달려라 메로스>, ≪쓰기루(津軽)≫, <여학생>, <비용의 아내> 등. 폐 질환이 악화되자 자전적 소설 ≪인간 실격(人間失格)≫을 남기고 카페 여급과 함께 저수지에 몸을 던진다.
히사오 주란(久生十蘭, 1902∼1957)
필명인 히사오 주란은 프랑스 유학 당시 스승이었던 거물급 연출가 샤를 뒬랭(Charles Dullin)의 일본어 발음에서 따온 것이다. 모험 소설, 추리 소설, 역사 소설, 유머 소설, 논픽션 소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활동을 했다. 대표작은 <해표도(海豹島)>, <곤충도(昆虫図)> 등이 있다. 작풍은 속도감 있는 문체와 세심한 인간 관찰에 따른 역설적인 논리, 빠르게 반전하는 전개가 주를 이룬다. 전쟁을 거치는 동안 이민자나 방랑자, 다문화, 파국, 표류 같은 국가의 비호에서 멀어진 인간의 모습은 작가가 중요하게 다루었던 문학적 주제다.
옮긴이
최재철(기획위원)
≪일본 명단편선≫(지식을만드는지식, 2015∼2021) 주제별 전10권을 기획했다. 한일비교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외국어대학교 및 동 대학원(일본문학) 수료, 도쿄대학 대학원(비교문학비교문화) 박사과정 수료.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일본연구소장, 외국문학연구소장, 도서관장, 일본어대학장과 세계문학비교학회장, 한국일어일문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사회 봉사로는 한국문학번역원, 대산문화재단, 대한민국학술원 등의 심사 위원을 역임하고, 서울시교육청동대문도서관과 협력하여 시민인문대학을 개설 운영한다.
이부용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비교문학·비교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및 동 대학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東京大學)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겐지 이야기(源氏物語)≫에 나타난 교육에 관한 연구로 학술석사 및 학술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에서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권정희
성균관대학교 졸업 후 시라유리(白百合)여자대학 대학원 아동문학전공 연구생 수료 후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초역문화과학전공 비교문학비교문화코스)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센슈대학과 경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의 BK박사 후 연구원과 초빙교수를 거쳐 현재 동대학의 비교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이다.
이정희
일본 쓰쿠바대학 대학원에서 석·박사과정을 수료했다(문학박사). 박사 학위논문은 <아베 고보 소설로 본 현대 일본 문화-아베 고보의 텍스트성(安部公房の小説から見る現代の日本文化-安部公房のテキステュアリティ)>으로, 당시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아베 고보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위덕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유진우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양어대학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석·박사과정을 졸업했다. 동남보건대학교 글로벌관광서비스과(일본어전공) 명예교수다. 모리 오가이 관련 다수의 논문이 있고, ≪일본 현대소설 선독≫, ≪문학, 일본의 문학−현대의 테마≫ 등의 저사가 있다.
김태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졸업.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 일본문화연구전공과정 석·박사과정을 수료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에서 <≪겐지 모노가타리≫의 인물과 표현-사랑의 인간관계를 중심으로>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부 강사로 재직 중이다.
이남금
전공은 일본 근대문학·일한 비교문학[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와 이광수(李光洙) 작품을 둘러싼 여성 표상과 일한 비교 젠더론 연구]이다. 일본 도쿄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대학원 박사과정을 만기 수료했다. 현재 도쿄 세이토쿠대학 국제학부 강사로 재직 중이다.
장유리
나고야대학(名古屋大学)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북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1930년대의 모던 문화 및 모더니즘 문학, 대중잡지 등을 연구하고 있다.
허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이후 통역대학원을 거쳐 일본 쓰쿠바대학 문예언어연구과 석박사과정을 수료했고, 바이코가쿠인대학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수원대학교 명예교수. 호리 다쓰오, 미시마 유키오 등 주요 작가 관련 다수의 논문이 있다.
김정희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초역문화과학과 비교문학 비교문화코스에서 석박사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일 고대사 및 고대 문학이고, 문학의 시선으로 역사를 다루는 등 문학과 역사의 융합적 연구를 하고 있다. 현재 가천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배가혜
한국외국어대학에서 일본어를, 동 대학원에서 일본 근대문학을 공부한 후 번역에 흥미를 느껴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일한 번역을 전공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사에서 기자 생활을 했으며 현재는 프리랜서 통번역사로 활동하고 있다.
전은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일본 근현대문학을 전공했으며, 전후 초현실적 작풍으로 인간 존재의 불안을 탐구한 아베 고보를 연구했다. 현재는 광고 기획과 편집 디자인 일을 하고 있다.
차례
첫째 날 밤의 꿈(第一夜) ― 나쓰메 소세키 / 최재철
눈 오는 날(雪の日) ― 히구치 이치요 / 이부용
귀거래(帰去来) ― 구니키다 돗포 / 권정희
오세이 이야기(お倩女のはなし) ― 고이즈미 야쿠모 / 이정희
할아버지 할머니(ぢいさんばあさん) ― 모리 오가이 / 유진우
호색(好色)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김태영
소녀(少女) ― 와타나베 온 / 이남금
어설픈 천사(不器用な天使) ― 호리 다쓰오 / 장유리
불타는 뺨(燃ゆる頰) ― 호리 다쓰오 / 허호
사랑하러 간다(恋をしに行く) ― 사카구치 안고 / 김정희
비용의 아내(ヴィヨンの妻) ― 다자이 오사무 / 배가혜
예언(予言) ― 히사오 주란 / 전은향
책속으로
1.
여자는 조용한 어조를 한층 높여,
“백 년 기다려 주세요”라고 각오한 듯한 목소리로 말했다.
“백 년, 내 묘지 옆에 앉아 기다리고 있어 주세요. 꼭 만나러 올 테니까요.”
나는 그저 ‘기다리고 있겠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까만 눈동자 속에 선명하게 보였던 내 모습이 희미하게 무너져 내렸다. 고요한 물이 움직여 비치는 그림자를 흩트리면서 흘러나왔다고 생각했는데, 여자의 눈이 딱 닫혔다. 긴 속눈썹 사이에서 눈물이 볼로 떨어졌다. -이미 죽어 있었다.
나는 뜰에 내려가 진주조개 껍데기로 구덩이를 팠다. 커다란 진주조개는 매끄러운 가장자리가 예리했다. 흙을 파낼 때마다 조개 뒷면에 달빛이 비쳐 반짝반짝 빛났다. 눅눅한 땅 냄새도 났다. 구덩이는 얼마 안 되어 팔 수 있었다. 여자를 그 안에 넣었다. 그리고 부드러운 흙을 살짝 덮었다. 덮을 때마다 진주조개 뒷면에 달빛이 비쳤다.
-나쓰메 소세키, <첫째 날 밤의 꿈>
2.
그러자 세일러복을 입은 소녀는 돌연 얼굴을 들어 올려 이부카 군을 보았다. 마치 이부카 군이 거기 구경꾼들 사이의 뒤쪽에서 엿보고 있는 걸 분명히 알고 있었던 것처럼. (하지만 방 안은 밝고 밖은 어두워서 이부카 군이 봤다고 생각하더라도 상대 쪽에선 안 보였을 수도 있다. 더욱이 이부카 군이 그곳에 같이 있다는 걸 신경 써야 할 이유 같은 건 없지만 어쨌건 너무도 갑자기 두 사람의 눈이 딱 마주친 것이다.) 창백한 얼굴에다 눈 끝으로 길게 뻗은 속눈썹까지 눈물에 반짝이며 귀여운 윤곽을 지닌 얼굴이다. 이부카 군은 그때 하마터면 소리를 지를 만큼 놀랐다. 갑자기 자기를 쳐다봐서만이 아니다. 이부카 군은 거기서 그야말로 자신이 연모하는 소녀에 다름 아닌 소녀를 발견했던 것이다.
-와타나베 온, <소녀>
3.
저는 가게에 들어선 작업복 차림의 일행에게 웃는 얼굴로 인사하면서 주인아주머니에게 속삭였습니다.
“아주머니, 죄송한데 앞치마 좀 빌려주세요.”
“이야, 미인을 데려다 놓으셨네. 이거 보통이 아닌데?”
손님 중 한 사람이 먼저 입을 열었습니다.
“유혹하지 마십쇼. 돈이 걸려 있는 몸이니 말입니다.”
주인 남자는 사뭇 진지한 얼굴로 말했습니다.
“백만 불짜리 명마(名馬)다, 이 소린가?”
또 다른 손님이 저급한 농담을 던졌습니다.
“명마도 암컷은 반값이라면서요.”
사케를 데우면서 저도 지지 않고 맞받아쳤습니다.
-다자이 오사무, <비용의 아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