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언론 위기 시대, 언론인 위한 교과서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7년 만에 개정판 발간
저널리즘은 그동안 이 산업을 버텨준 광고수익 모델이 무너지며 심각한 위험을 마주하고 있다. 언론이 시민의 지지를 잃어가는 현상은 또 다른 위기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표완수)은 저널리즘 위기의 시대에 언론을 위한 지침을 담은 번역서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원제 The Elements of Journalism, 빌 코바치·톰 로젠스틸 저, 이재경 옮김) 개정 4판을 발간했다.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은 미국 언론에서 100여 년에 걸쳐 만들어진 저널리즘 원칙을 정리한 현직 언론인과 예비 언론인의 필독서로 꼽히는 책이다. 이번 네 번째 개정판은 2001년 초판이 나온 이래 20년, 2014년 세 번째 개정판이 나온 지는 7년 만이다.
개정 4판은 저널리즘을 둘러싼 정치, 경제, 기술, 문화적 맥락의 급격한 변화상을 반영한다. 특히 디지털 기술이 미디어 환경을 급속히 바꾸고 새로운 매체를 만들어 내면서, 기존 매체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매체와 인물들이 탄생했다. 4판에 새롭게 추가된 부분은 이렇게 새로 등장한 인물들과 그들이 시도하는 디지털 실험을 소개하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특히 이들이 저널리즘의 핵심 원칙을 지켜내기 위해 변화하는 생태계에서 어떠한 노력을 하고, 그 노력이 언론 현장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지도 세밀하게 설명한다.
빌 코바치와 톰 로젠스틸은 이번 4판에서 저널리즘 환경과 관련한 세 개의 흐름을 특히 강조한다. 첫째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독재적 정치 지도자들이 민주주의와 언론의 자유를 겁박하는 현실이다. 미국의 트럼프 전 대통령, 필리핀의 두테르테, 러시아의 푸틴, 중국의 시진핑, 브라질의 볼소나로 등 정치 지도자들은 독단적 권력을 휘두르며 취재를 방해하고, 언론사와 기자를 협박하거나 가짜뉴스 생산자로 몰아붙인다. 저자들은 이들이 광범위하게 보급된 SNS를 활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자기 권력의 이익을 위해 저널리즘을 압박해 왔다고 판단한다.
두 번째 흐름은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 등 플랫폼 기업들의 부정적 역할이 강화되는 추세다. 저자들은 특히 플랫폼 기업들이 디지털 생태계의 정보유통 네트워크를 장악한 상태에서 이익 극대화를 위해 사람들을 끊임없이 소집단으로 쪼개는 행태를 걱정한다. 이는 각 개인의 특성과 집단의 성격에 맞춰서 광고를 팔기 위한 표적 마케팅 전략의 산물이다. 플랫폼 기업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엄청난 수익을 챙겨 왔다는 것이 그들의 판단이다. 문제는 이러한 플랫폼 기업의 영업 전략이 공동체를 분리하고, 공중들 간의 대화를 단절시켜 결국 민주주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저자들이 주목하는 세 번째 흐름은 사회의 양극화, 의식의 극단화 추세다. 이는 특히 미국 사회의 경우, 트럼프 전 대통령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진단이다. 부족화라고도 표현되는 이 현상은 인종과 성별, 진보와 보수, 부자와 가난한 사람, 늙은이와 젊은이 등으로 사회가 쪼개지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 또한 민주주의의 기본 전제인 깨어 있는 시민들의 모임인 공중의 형성을 구조적으로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동한다.
저자들은 “위기에 빠져있는 분야가 해야 할 첫 번째 과제는 그 분야를 초기부터 이끌어왔던 근본적인 가치들을 기억해 내는 일”이라고 말한다. 먼 나라 저널리즘이 처한 위기는 한국 저널리즘이 마주한 위기 크게 다르지 않다.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은 한국 언론이 위기를 극복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처방이 될 것이다.
200자평
미국 언론계에서 100여 년에 걸쳐 실천을 통해 만들어진 저널리즘의 원칙 10개를 정리한 책이다. 미국뿐 아니라 세계 20여 개 국가에서 중요한 저널리즘 교재로 쓰이고 있다. 디지털 혁명이 뉴스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흔드는 혼란기가 계속되면서, 이 책의 가치는 역설적으로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은 우리 기자와 시민이 공유하는 저널리즘 가치를 세계적 윤리 기준, 기사 품질 기준과 견줘 생각할 기회를 마련한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개정 4판에서는 세계 각국 정치 지도자들의 민주주의와 언론 자유에 대한 위협, 플랫폼 기업들의 부정적 역할 강화, 사회 양극화와 의식의 극단화 추세 등 저널리즘 환경과 관련해 특히 세 개의 흐름을 강조한다.
지은이
빌 코바치(Bill Kovach)
≪뉴욕타임스≫의 워싱턴 지국장을 역임했다. ≪애틀랜타 저널 컨스티튜션(The Atlanta Journal Constitution)≫의 편집인과 하버드대학 니먼 펠로십(Nieman Fellowship) 큐레이터를 지냈다.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the committee of concerned Journalists) 창립 회장이었고, 우수한 저널리즘 프로젝트(Project for excellence in Journalism)의 자문위원이었다.
톰 로젠스틸(Tom Rosenstiel)
버지니아주 알링턴에 있는 미국언론연구소(American Press Institute)의 소장이다. 우수한 저널리즘 프로젝트의 책임자를 역임했고, 저널리즘을 염려하는 언론인 위원회 부회장으로 일했다. 그전에는 ≪LA타임스≫의 미디어 담당 기자, 뉴스위크의 의회 출입 기자로 일했다. 『저널리즘의 새로운 윤리: 21세기를 위한 원칙들』 등 여러 권의 저널리즘 관련 책을 저술하고 편집했다.
옮긴이
이재경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하와이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학위를,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MBC 기자, 한국언론연구원 연구위원을 지냈다. 2007년부터 윤세영저널리즘스쿨(YJS) 책임교수를 맡고 있다. 저서로 『텔레비전 뉴스의 품질』(공저, 2020), 『기사의 품질』(공저, 2018), 『한국형 저널리즘 모델』(2013), 『인터넷 취재보도』(공저, 2010), 『기사작성의 기초』(공저, 2005) 등이 있다.
차례
옮긴이 서문
네 번째 개정판에 부쳐
서문
01 저널리즘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알고자 하는 본능
저널리즘의 탄생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대의 자유 언론
조직된 협력적 지성으로서의 저널리즘
기자의 민주주의 이론
공중연동의 이론
새로운 도전
02 진실: 첫 번째 그리고 가장 혼란스러운 원칙
저널리즘의 진실
진실에는 과정이 필요하다: 사실 검증
진실에 도전하는 새로운 저널리즘 규범들
오늘의 저널리즘적 진실
03 기자는 누구를 위해 일하는가?
독립에서 고립으로
거리 두기의 반작용
시민은 고객인가?
벽
독립을 위한 5개의 핵심요소
04 사실 확인의 저널리즘
객관성의 의미 상실
객관성 아니면 도덕적 명료성?
현실에서 사용되는 객관적 방법
주장 저널리즘 대 사실 확인 저널리즘
“나를 믿어 주세요” 시대가 아니다 “나에게 보여 주세요” 뉴스 시대다
객관적 방법을 사용한 저널리즘의 실제 사례
추가하지 마라
속이지 마라
투명하라
취재원을 오도하지 마라: 투명성의 다른 측면
오도하는 취재원들을 부지런히 드러내라
위장취재: 특별한 경우에 한해, 수용자에게는 설명돼야
자신만의 보도: 자기 스스로 하는 취재에 의지하라
겸허한 자세로 보도하라
디지털 시대의 사실 확인에 대한 도전
오보에 대응하기: 몇 가지 도구들
진실의 샌드위치
거짓 정보에 대한 제목 쓰기
편견
사실 확인의 기법들
서사적 기사: 갈등을 흥미롭게 전하기
모순을 더 자세히 드러내라
상대방의 동기를 물어라
더 많이 더 잘 들어라
이것은 듣기다. 인터뷰가 아니다
인터뷰 주제를 정직하게 접근하라
진실의 다원적 뿌리들
05 정파로부터의 독립
마음의 독립
독립의 진화
현실에서의 독립
독립의 재평가
투명성, 독립, 그리고 속이기
독립과 계급 혹은 경제적 지위
다원성과 저널리즘의 독립
독립의 의미
선입견을 가려내는 기법들
팀으로 일하라
이름 붙이기를 피하라 –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06 권력을 감시하고 목소리 없는 사람들에게 목소리를 제공하라
원래적 의미의 탐사보도
해석적 탐사보도
수사에 관한 보도
제한된 감시견 역할
감시견 역할의 약화
기소로서의 탐사보도
07 공공 포럼으로서의 저널리즘
최초의 소셜미디어
지역에서 공공포럼을 다시 요구하고 다시 만들기
08 기사 흡인력과 독자 관련성
인포테인먼트와 선정주의 유혹
몇 가지 혁신적인 접근 방식
인터넷의 힘을 펼쳐 보여라
진실에 봉사하는 서사적 이야기
09 뉴스를 포괄적이면서도 비중에 맞게 만들어라
표적 인구집단의 오류
은유의 한계
과장하라는 압력
방문자 통계 분석
저널리즘을 위한 새로운 시장조사법
새로운 뉴스 소비자
10 저널리즘을 실천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양심을 따라야 하는 의무를 지닌다
양심을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
정직의 문화
진정한 목표는 ‘지적 다양성’이다
개인의 양심에 대한 압력
양심과 다양성이 잘 자라는 편집국 만들기
시민의 역할
11 시민의 권리와 책임
집단 지성으로서 뉴스의 미래
시민의 권리장전과 책임
감사의 글
미주
찾아보기
책속으로
4판을 준비하며, 우리는 또 다른 질문을 마주한다. 사람들은 이제 기본 원칙들이 유효한지를 묻지 않는다. 그들은 우리가 그러한 원칙들을 새로운 환경에 맞게 설명해 줄 수 있는지를 묻는다. 우리는 또 한 차례 근본적인 변화의 순간을 지나고 있고, 그러한 순간들은 다시 근본적인 원칙을 상기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이다.
“네 번째 개정판에 부쳐” 중에서
사람들은 다음 언덕 너머 세상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직접 체험할 수 없는 일을 알고 싶은 욕구다. 미지의 대상에 대한 지식은 안정감을 준다. 그렇게 되면 인생을 계획하고 협상할 수도 있다. 이 정보를 교환하는 행위는 공동체를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 또 인간관계를 만드는 계기이기도 하다.
“01_저널리즘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중에서
우리는 앞으로 “저널리즘의 진실(journalistic truth)”은 단순한 정확성(mere accuracy)을 넘어선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그것은 사실들을 추려가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처음 기사와 시민들과 취재원, 그리고 기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된다. 이 저널리즘의 첫 번째 원칙-다시 말해, 진실에 대한 이해관계를 초월한 추구-은 궁극적으로 저널리즘을 다른 모든 종류의 커뮤니케이션으로부터 분리하는 특징이다.
“02_진실: 첫 번째 그리고 가장 혼란스러운 원칙” 중에서
“나를 믿어라(Trust me)” 시대였다. 이제 권력은 뉴스 소비자로 이동했다. 우리는 이제 “나에게 보여 주세요(Show me)” 시대로 진입했다. 이제 우리는 친구의 추천, 검색 결과, 소셜미디어의 연결, 이메일로 보내오는 뉴스, 선별되고 집합된 전달 방식 등을 통해 뉴스를 소비한다.
“04_사실 확인의 저널리즘” 중에서
이미 잘 알려진 문제나 상식화된 얘기를 폭로하는 일은 탐사보도를 왜소화한다. 언론은 이 상황에서는 양치기 소년이 된다. 이는 공중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능력을 낭비하는 짓이다. 왜냐하면 너무 사소한 일들을 너무 자주 다루면 공중이 돌아서기 때문이다. 이는 또 감시견 정신을 오락거리로 전락시키는 일이기도 하다.
“06_권력을 감시하고 목소리 없는 사람들에게 목소리를 제공하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