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지식정보사회에서 전자정부(electronic government)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패러다임 및 모델은 무엇인가? 이러한 변화 모델에 포함되어야 할 하위 체계에는 무엇이 있는가? 새 공공행정모델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공무원들의 업무 행태 및 업무 처리 방식, 행정 문화는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을 중심으로 지식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행정 이론 체계를 탐색한다. 다가올 고도정보사회 시대의 국가행정모형으로서 전자정부와 지식정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주력했다. 효율적인 하위 시스템, 즉 조직, 인력, 문화, 그리고 법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쟁점도 분석했다.
지은이
권기헌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 John F. Kennedy 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와 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상공부 미주통상과에서 근무하였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및 국정관리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국무총리상과 한국행정학회 학술상 등을 받았고, 성균관대학교 글로벌 전자정부연구소장, 국무총리 정부업무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차기(2015) 한국정책학회 회장에 선임되었다. 정책학 이론, 국가혁신론, 정책분석론, 미래예측론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며, 주요 저서로 『정의로운 국가란 무엇인가』, 『행정학 콘서트』, 『행정학: 미래지향적 국정관리의 창조적 탐색』, 『정책학: 현대정책이론의 창조적 탐색』 『정책분석론』 『정책학의 논리』 『미래예측학: 미래예측과 정책연구』 등이 있다.
차례
머리말
제1장 정보사회의 행정 패러다임과 행정 모형
1. 정보사회에 대한 이론적 조망
2. 정보화와 국가행정
3. 이 책의 분석 시각
제2장 정보사회의 공공행정모형
1. 행정학의 논의 구조
2. 정보사회의 행정 패러다임
3. 정보사회의 공공행정모형:네트워크 정부모형
4. 결론
제3장 정보사회의 행정조직모형
1. 서론
2. 정보사회의 조직 변화 방향
3. 새로운 행정조직
4. 결론:평가 및 행정조직 개혁 방향
제4장 정보사회의 행정 서비스와 행정 문화
1. 행정 문화, 행정 윤리, 미래의 행정 문화
2. 새로운 업무형태 및 처리방식
3. 결론:새로운 행정정보시스템과 행정 문화
제5장 정보사회의 법적?제도적 패러다임
1. 새로운 행정모형의 지향점
2. 법적.제도적 수용 방향
제6장 전자정부의 이론 I:전자정부의 개념
1. 문제의 제기
2. 전자정부의 개념에 대한 탐색적 고찰
3. 전자정부 추진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
제7장 전자정부의 이론 II:전자정부의 국가간 비교
1. 미국
2. 캐나다
3. 영국
4. 일본
5. 싱가포르
6. 호주
7. 핀란드
8. 선진국의 정보화 및 전자정부 구축정책 비교 평가
9. 결론
제8장 전자정부의 이론 III:전자정부의 비전과 현실
1. 21세기 전자정부의 비전
2. 민원인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정부(One & Non & Any Stop Service Government)
3. 종이 없는 사무실(Paperless & Buildingless Government)
4. 지식정부(Knowledge Government)
5. 투명한 정부(Transparent Government)
제9장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1. 행정정보화
2. 전자정부
3. 결론 및 시사점
제10장 지식정부와 정부혁신 I
1. 문제의 제기
2. 지식정부 논의의 이론적 배경
3. 지식정부의 개념과 비전
4. 우리나라 지식정부에 대한 평가
5. 지식정부에 대한 실증분석
6. 외국의 성공적인 사례
7. 외국 사례의 시사점
8. 국내의 성공 사례
9. 결론 및 시사점
제11장 지식정부와 정부혁신 II
1. 문제의 제기
2. 관료제적 패러다임의 위기
3. 지식정부론의 기본 명제
4. 지식정부의 구축을 위한 정책 제언
5. 지식정부와 정부혁신
제12장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