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오늘날 우리나라 방송 환경은 미디어 빅뱅으로 일컬어질 만큼 무섭게 변하고 있다. 이전의 방송 환경 변화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방송 통신 융합, 새로운 매체의 등장 등 주로 외부적인 변화에 적응하는 것이라면,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는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미디어 이용 형태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최근 방송을 시작한 위성 DMB와 사업자 선정이 이루어진 지상파 DMB는 진일보된 디지털 방송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체적 측면, 산업적 측면, 이용자 측면에서 이전의 방송 매체와는 다른 새로운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방송 환경의 변화 속에서 그동안 방송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해 왔던 지상파 방송들의 당면 과제를 조명하는 논문들을 모은 책이다.
지은이
서범석
배명고등학교, 중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PR 광고전공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광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 중국 북경대학교 신문방송학원 광고학과 초청으로 중국광고에 대한 연구를 하고 돌아왔다. 현재 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대학으로 옮기기 전에는 (주)LG화학의 광고과장, 마케팅부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광고학회 회장, 한국언론학회 광고홍보연구회 회장, 한국옥외광고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매일경제 광고학술공로상, 대한민국 근정포장 등을 수상하였다. 『광고기획론』, 『한국광고사』, 『광고와 소비자』, 『옥외광고론』, 『현대광고의 이해』, 『현대사회와 광고』, 『광고 미디어 그리고 거래질서』, 『광고전략 에센스』 등 저서와 광고학 관련 다수의 논문이 있다.
오미영
가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를 거쳐 중앙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KBS 아나운서와 ≪한국일보≫ L.A. 지사 기자를 역임했다. 저서로
차례
1부 방송과 사회
1.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 분석:발전 과정과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2. TV 토론에 나타난 의제가 수용자의 의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제16대 대통령 선거 TV 합동 토론을 중심으로
3.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방송 저널리즘 윤리 재정립에 관한 연구:
– 보도의 선정성.폭력성과 디지털 영상 조작을 중심으로
4.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과 탈북자의 사회준거틀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 문화 계발 효과와 문화 동화 이론을 중심으로
2부 시청자와 프로그램
5. 시청 행태에 근거한 프로그램 유형 분류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
– 시청 행태와 유형 분류의 일치성을 중심으로
6. 지상파 TV의 프로그램 편성 패턴 연구:
– 2004~2005년 프로그램 개편을 중심으로
7. 주5일 근무제 실시가 TV 시청에 미치는 영향 연구
3부 시장 변화와 방송
8. 국내 방송 광고 유통 및 거래 질서에 대한 실증 연구:
– 광고주를 중심으로
9. 문화적 근접성 평가와 아시아 시장에서의 한국 프로그램 유형에 대한 연구:
– 한국 드라마의 스토리 라인을 중심으로
10. 독일 민영 방송사의 인터넷 방송 연구:
– RTL의 경영.조직, 콘텐츠, 수익 모델 측면을 중심으로
11. 인터넷 저작권과 정보 공유:P2P를 중심으로
4부 시청자 권리와 방송
12. 텔레비전 시청과 미디어 교육
13. 국내 시민 참여 방송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
14. 디지털 방송 시대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 방안 연구